[2009/09/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조회 수 3690 추천 수 81 2009.09.22 09:50:55
오늘 문제는 바로 이것입니다.
명절에 찾아뵙지 못할 것 같아 미리 찾아뵙고 인사드리는 것을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문제를 내겠습니다.

어제는 벌초하러 가신 분들이 많으셔서 고속도로가 무척 밀렸나 봅니다.
이마도 이번 주도 그럴 것 같습니다.

명절에는 어르신을 찾아가서 인사를 드리는 게 도리입니다.
그러나 부득이 그럴 수 없을 때는
그전에 미리 찾아가서 인사를 드리기도 합니다.
아름다운 우리 문화라고 생각합니다.

오늘 문제는 바로 이것입니다.
명절에 찾아뵙지 못할 것 같아 미리 찾아뵙고 인사드리는 것을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오늘도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이자는 길미로]

어제 이번 달 카드 청구서가 왔는데 내야 할 돈이 무려 200만 원이 넘네요.
비록 몇 개 외국 학회 연회비와 6월에 외국학회 참가비를 미리 내서 그렇긴 하지만,
월급보다 많은 카드비를 어찌 내야 할지 막막하네요. ^^*

쥐꼬리만 한 월급 받아서 이렇게 저렇게 쓰고 나면 언제 돈을 모을지......
돈을 모아야 저축하고, 저축을 해야 이자가 붙고, 이자를 붙어야 돈을 불릴 텐데......
오늘은 돈 좀 모아볼 각오로,
'이자'말씀 좀 드릴게요.

이자(利子)는 '남에게 돈을 빌려 쓴 대가로 치르는 일정한 비율의 돈'이라는 이름씨(명사)입니다.
이것은 다 아시죠?
이 '이자'라는 낱말은 국립국어원에서 '길미', '변', '변리'로 다듬은 말입니다.
어려운 한자이거나 일본어투 말을 여러 학자가 모여 쉬운 한자나 순 우리말로 다듬었는데,
'이자'라는 낱말이 바로 거기에 해당합니다.

변(邊)은 '변리'라는 뜻이고,
변리(邊利)는 '남에게 돈을 빌려 쓴 대가로 치르는 일정한 비율의 돈'을 뜻하는 낱말입니다.
'이자'의 풀이와 같습니다.
'길미'는 '빚돈에 대하여 일정한 비율로 무는 돈'입니다.
이자, 변, 변리, 길미 모두 같은 뜻입니다.

이렇게 뜻이 같은 낱말이 있다면,
당연히 한자말보다 우리말을 쓰시는 게 좋습니다.
곧, '이자'를 쓰지 않고 '길미'를 쓰시는 게 좋다고 봅니다.

국립국어원에서 '이자'를 다듬으면서,
'길미'와 함께 '변'과 '변리'를 넣은 까닭은 모르겠지만,
이자를 갈음하여 변이나 변리를 쓰는 것보다는 '길미'를 쓰시는 게 훨씬 좋아 보입니다.

저는 언제 돈 모아 길미 좀 챙겨볼지...
빨리 돈을 모아야 길미가 돌아오고,
그 길미를 모아 또 길미를 칠텐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02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580
2416 [2007/07/02] 우리말) 선호가 아니라 좋아함입니다 id: moneyplan 2007-07-02 3835
2415 [2007/07/03] 우리말) 갑절과 곱절 id: moneyplan 2007-07-03 3776
2414 [2007/07/04] 우리말) 과반수와 반수 id: moneyplan 2007-07-04 3669
2413 [2007/07/04] 우리말) 후덥지근과 후텁지근 id: moneyplan 2007-07-04 3707
2412 [2007/07/05] 우리말) 잔불과 뒷불 id: moneyplan 2007-07-05 3414
2411 [2007/07/06] 우리말) 뒷다마와 뒷담화 id: moneyplan 2007-07-06 3710
2410 [2007/07/09] 우리말) 평창이 안타까워서... id: moneyplan 2007-07-09 4050
2409 [2007/07/10] 우리말) 금자탑 id: moneyplan 2007-07-10 3608
2408 [2007/07/11] 우리말) 점점 나아지다 id: moneyplan 2007-07-11 3673
2407 [2007/07/12] 우리말) 격강이 천리라 id: moneyplan 2007-07-12 3686
2406 [2007/07/13] 우리말) 짧은 편지 id: moneyplan 2007-07-13 4390
2405 [2007/07/16] 우리말) 엉터리 말 몇 개 id: moneyplan 2007-07-16 4091
2404 [2007/07/18] 우리말) 평방미터가 아니라 제곱미터 id: moneyplan 2007-07-18 3730
2403 [2007/07/24] 우리말) '뱃속'과 '배 속' id: moneyplan 2007-07-24 3394
2402 [2007/07/25] 우리말) 공멸은 피해야 합니다 id: moneyplan 2007-07-25 3544
2401 [2007/07/26] 우리말) 생률이 아니라 날밤입니다 id: moneyplan 2007-07-26 3635
2400 [2007/07/27] 우리말) 싱글맘 id: moneyplan 2007-07-31 3746
2399 [2007/07/28] 우리말) 가위표와 가새표 id: moneyplan 2007-07-31 3824
2398 [2007/07/30] 우리말) 담백한 게 아니라 깔끔한 것 입니다 id: moneyplan 2007-07-31 3569
2397 [2007/07/31] 우리말) 탈레반, 정말 밉네요 id: moneyplan 2007-07-31 3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