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몇 년 전 한가위때 보낸 편지를 붙입니다. ^^*


오늘까지만 일터에 나오고 내일 새벽에 고향으로 갑니다. ^^*
우리 겨레의 3대 명절은 설, 단오, 한가위입니다.
그 가운데에서도 '한가위'가 가장 큰 명절이죠.
오죽하면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만 같아라."라고 할까요.

추석, 한가위, 중추절, 가배절 따위로 부르는 팔월 보름.
오늘은 한가위의 뿌리를 볼게요.
뭐 깊게 생각할 것도 말 것도 없습니다.
"크다"라는 뜻의 '한'과 "가운데"라는 뜻의 '가위'가 합쳐진 낱말로
8월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입니다.

어떤 분은
'가위'는 '가배'에서 온 말이라고도 합니다.
'가ㅂ.(아래아)ㅣ'가 '가외'로 되고 다시 '가위'로 바뀐 거죠.
'가위'는 신라 때의 길쌈놀이(베 짜기)인 '가배(嘉俳)'에서 왔다고 합니다.
지금도 표준국어사전에 '가위'를 "추석"으로 풀어놨습니다.

'중추절'은
가을을 초추(初秋), 중추(仲秋), 종추(終秋)로 나눈 데 그 뿌리가 있습니다.

'추석'은
예기의 조춘일 추석월(朝春日 秋夕月)에서 나온 것이라는 설과
중국의 중추, 추중, 칠석, 월석 가운데에
'중추'의 '추(秋)'와 '월석'의 '석(夕)'을 따서 '추석(秋夕)이라고 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어떤 게 맞는 건지는 모르지만,
누가 뭐래도 한가위라면 마음부터 푸짐해집니다.

고향 잘 다녀오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예전에 보낸 편지를 보시고 어떤분이 이런 댓글을 다셨습니다.

어떤 사람이 얘기했는지 모르겠지만, ‘한가위’의 ‘가위’는 ‘가배(嘉俳)’에서 온 말이 아닙니다. ‘嘉’나 ‘俳’에는 ‘길쌈’이나 ‘베 짜기’라는 뜻이 없지요. <동아 백년옥편>을 찾아보았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461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0188
1436 [2012/06/21] 우리말) 노인은 어르신으로 머니북 2012-06-21 3380
1435 [2017/10/17] 우리말) 자글거리다 머니북 2017-11-06 3380
1434 [2010/05/14] 우리말) 접수와 등록 id: moneyplan 2010-05-14 3381
1433 [2010/11/11] 우리말) 서두르다 moneybook 2010-11-11 3381
1432 [2011/01/19] 우리말) 굴레와 멍에 moneybook 2011-01-19 3381
1431 [2007/11/20] 우리말) 낙엽은 진 잎으로... id: moneyplan 2007-11-20 3382
1430 [2010/04/29] 우리말) 들고파다 id: moneyplan 2010-04-29 3382
1429 [2010/12/30] 우리말) 나일롱 -&gt; 나일론 moneybook 2010-12-30 3382
1428 [2015/04/07] 우리말) 본디와 본시 머니북 2015-04-07 3382
1427 [2010/03/16] 우리말) 등쌀과 눈살 id: moneyplan 2010-03-16 3383
1426 [2008/08/27] 우리말) 덕아웃과 더그아웃 id: moneyplan 2008-08-27 3384
1425 [2010/01/20] 우리말) 싸다와 쌓다 id: moneyplan 2010-01-20 3384
1424 [2013/10/23] 우리말) 속알딱지 -> 소갈딱지 머니북 2013-10-23 3384
1423 [2013/04/19] 우리말) 보니 -> 보늬 머니북 2013-04-19 3384
1422 [2014/02/17] 우리말) 높은 난이도? 머니북 2014-02-17 3385
1421 [2010/02/17] 우리말) '바'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2-17 3386
1420 [2007/11/26] 우리말) 드러눕다 id: moneyplan 2007-11-26 3388
1419 [2014/03/12] 우리말) 남의나이 머니북 2014-03-12 3388
1418 [2007/11/10] 우리말) 베스트 셀러 id: moneyplan 2007-11-12 3389
1417 [2012/12/24 우리말) 뜯어보다 머니북 2012-12-24 3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