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0/19] 우리말) 가차없다

조회 수 3520 추천 수 92 2009.10.19 11:35:34
따라서,
'가차 없다'고 하면 임시로 빌어 오는 것도 안 된다는 것이니,
전혀 고려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는 뜻으로 쓰이게 된 겁니다.
그 뜻이 더 넓어져 "사정을 봐 주거나, 용서가 없다."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안녕하세요.

아침에 일터에 나오면서 라디오를 들었습니다.
이번에 가을 개편이 있었는데 혹시 맘에 들지 않는 게 있으면 가차없이 말씀을 해 달라더군요.(7:40, MBC)
오늘은 '가차'를 알아보겠습니다.

가차는 거짓 가(借) 자와 빌릴 차(借) 자를 써서 "정하지 않고 잠시만 빌리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 '임사로 빌림'으로 다듬었습니다.(저는 별로 맘에 들지 않습니다.)

사실 이 '가차'는
한자의 구성과 쓰임에 관한 여섯 가지 분류에서 왔습니다.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 가차(假借), 전주(轉注) 가운데 하나가 가차입니다.
여기에 쓰인 가차는
어떤 뜻을 나타내는 한자가 없을 때 뜻은 다르나 음이 같은 글자를 빌려 쓰는 방법을 뜻합니다.

來, 이 한자가 무엇을 닮았나요?
요즘 들판에 나가면 볼 수 있는 벼 이삭을 닮지 않았나요?
이 글자는 곡식의 이삭을 뜻하는 상형문자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오다'를 뜻하는 글자로 쓰이고 있습니다.
오다는 뜻의 한자가 없어서 음이 같은 來자에 '오다'라는 뜻을 빌려 쓴 겁니다.
바로 '가차'한 거죠.
산스크리트어의 [Buddha]를 글자의 본래 뜻과 상관없이 발음만 따와
'佛陀'(부처)로 쓴 것도 가차의 한 보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차 없다'고 하면 임시로 빌어 오는 것도 안 된다는 것이니,
전혀 고려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는 뜻으로 쓰이게 된 겁니다.
그 뜻이 더 넓어져 "사정을 봐 주거나, 용서가 없다."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날씨가 추워지는 가을 다가옵니다.
지난가을에 별로 입지 않는 옷을 '가차 없이' 버렸더니,
이번 가을에 입을 옷이 별로 없네요. ^^*

오늘도 많이 웃으시고,
이번 주도 좋은 생각 많이 하시면서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1.
'가차'는 명사이고, '없다'는 '없다'는 용언이니까 이 둘은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가차 없다'가 맞죠.
그러나
한글 맞춤법 제47항에 보면,
연결어미 '-아/어'로 이어진 보조 용언 구성은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쓰는 것도 허용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따라서 '가차없다'가 비록 사전에 한 낱말로 오르지는 못했지만,
'가차없다'고 붙여 쓰셔도 됩니다.

2.
'지난가을'은 한 낱말로 사전에 올라 있으니 붙여 쓰고,
'이번 가을'은 한 낱말로 사전에 오르지 못했으니 띄어 써야 바릅니다.
'지난주/이번 주'고 같은 경우입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마디게 자라는 식물]

안녕하세요.

제가 일하는 농촌진흥청에는 농업관련 전문가 들이 많습니다.
벼, 콩, 사과, 보리, 농약, 수박, 채소, 소, 말, 바이오에너지, 농촌생활, 기계 따위를 전공으로 공부하신 분들이 모여 있습니다.
농업 문제는 뭐든지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이분들은 전공이 이렇게 다르다 보니 책상 앞에 두는 식물도 다릅니다.
저 같은 기계쟁이는 책상 위에 꽃이 없고,
벼나 콩을 다루는 분들의 책상 위에는 항상 식물이 자랍니다.
그것도 무럭무럭 잘 자랍니다.

농약을 전공한 사람 앞에 꽃을 두면 마디자라는데,
콩을 전공한 사람 앞에 그 꽃을 두면 잘도 자랍니다.
참 신기합니다.
사람의 기가 통하는지...^^*

오늘은 '마디다'는 낱말을 소개해 드릴게요.
그림씨(형용사)로 "자라는 속도가 더디다."는 뜻입니다.
나무가 마디게 자라다처럼 씁니다.
"쉽게 닳거나 없어지지 아니하다."는 뜻도 있습니다.

앞에서 푼 대로
제 앞에서는 마디 자라던 꽃도,
식물을 다루는 사람 앞에만 가면 무럭무럭 잘 자랍니다.
아마도 식물도 사람의 마음을 읽나 봅니다.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3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570
1036 [2012/01/16] 우리말) 애기 머니북 2012-01-16 3485
1035 [2010/09/02] 우리말) 풍력계급 moneybook 2010-09-02 3485
1034 [2017/02/15] 우리말) 딸내미/딸따니 머니북 2017-02-16 3484
1033 [2012/05/10] 우리말) 금실과 금슬 머니북 2012-05-10 3484
1032 [2012/02/01] 우리말) 제연경계벽 머니북 2012-02-02 3484
1031 [2013/11/06] 우리말) 들르다와 들리다 머니북 2013-11-06 3484
1030 [2015/12/07] 우리말) 폐쇄공포증 -> 폐소공포증 머니북 2015-12-07 3483
1029 [2007/11/27] 우리말) 괴팍한 성질 id: moneyplan 2007-11-27 3483
1028 [2015/03/12] 우리말) 어제 편지에 있는 실수 머니북 2015-03-12 3482
1027 [2011/05/03] 우리말) 시합과 겨루기 moneybook 2011-05-03 3482
1026 [2008/10/10] 우리말) 어제 문제 답입니다 id: moneyplan 2008-10-10 3482
1025 [2008/09/09] 우리말) 맘눈 id: moneyplan 2008-09-09 3482
1024 [2007/06/24] 우리말) 놀금 id: moneyplan 2007-06-25 3482
1023 [2008/12/20] 우리말) 노무현 전 대통령은 저와 사진을 찍어주셔야 합니다. ^^* id: moneyplan 2008-12-22 3481
1022 [2007/06/27] 우리말) 선거철이 벌써 시작되었나 봅니다 id: moneyplan 2007-06-27 3481
1021 [2008/01/18] 우리말) 왜 농촌진흥청이 국가기관으로 있어야 하는가 id: moneyplan 2008-01-21 3480
1020 [2016/11/16] 우리말) 서리 머니북 2016-11-16 3479
1019 [2015/07/27] 우리말) 억장이 무너지다 머니북 2015-07-28 3479
1018 [2011/12/23] 우리말) 크리스마스와 성탄절 머니북 2011-12-23 3479
1017 [2009/08/04] 우리말) 지긋이와 지그시 id: moneyplan 2009-08-04 34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