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1/16]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조회 수 3819 추천 수 157 2009.11.16 08:28:53
저라면
'야식 쟁탈 레이스'라고 안 쓰고,
'밤참 내기'나 '밤참 겨루기'라고 쓰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무척 춥네요.
늘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1.
어제저녁 KBS2 1박2일에서 '야식 쟁탈 레이스'를 하며 '우동'을 먹는 것을 방송했습니다.
'야식'은 국립국어원에서 '밤참'으로 다듬은 지 한참 되었습니다.
'쟁탈 레이스'보다는 '뺏기 내기'나 '뺏기 겨룸'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저라면
'야식 쟁탈 레이스'라고 안 쓰고,
'밤참 내기'나 '밤참 겨루기'라고 쓰겠습니다.

일본말 うどん[우동]은 우리말로 다듬으면 '가락국수'입니다.
'우동'이 바로 일본식 가락국수입니다.
왜 이런 좋은 말을 두고 '우동'이라고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방송에서...

청룡포에 있는 관음송을 소개하는 자막에서는
높이가 30M라고 나왔습니다.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 미터는 대문자 M이 아니라 소문자 m입니다.
대문자 M은 백만을 뜻합니다.

2.
어제저녁 7:44분에 MBC에서 '대한민국 스타 랭킹'이라는 방송을 내 보내면서 '따놓은 당상'이라는 자막을 내 보냈습니다.
감나무에서 감을 따듯 뭔가를 따 놓은 게 아니라,
당상 자리를 따로 떼어 놨다고 해서 '떼어 놓은 당상'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3.
오늘 아침 6:51분에 KBS1 뉴스에서 '많이 춥다'고 했습니다.
더위나 추위를 나타낼 때는 많이를 쓰지 않고 '꽤나 무척'을 씁니다.
오늘 아침 무척 춥고, 내일도 꽤 추울 거라고 합니다.

이번 주도 늘 웃으시면서 보내시길 빕니다.
저는 이번 주까지 감사를 받아야 합니다.

감사...
늘 감사하며 사는 게 좋은데 저는 왜 이리 '감사'가 지겹고 싫은지 모르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고주망태]

소주, 생맥주, 캔맥주, 병맥주, 양주, 칵테일 거기에 막걸리로 마무리...
그렇게 마셨으니 어제 제 몸이 온전할 리가 없었겠죠.
어제는 온종일 정신을 못 차리겠더군요.

어제 제 꼬락서니가 딱 고주망태였습니다.
'술에 몹시 취하여 정신을 가누지 못하는 상태. 또는 그런 사람'를 고주망태라고 하는데요.
고주와 망태가 합쳐진 말입니다.
오늘은 고주망태나 알아볼게요.

'고주'는 '고조'에서 온 말입니다.
고조는 '술, 기름 따위를 짜서 밭는 틀'입니다.
옛말로 지금은 이를 '술주자'라고 합니다.

'망태'는
'망태기'의 준말로
'가는 새끼나 노 따위로 엮거나 그물처럼 떠서 만든 그릇'입니다.

술을 받는 틀 위에 망태를 올려놓으면
그 망태는 언제나 술에 절여 있겠죠?

어제 제가 딱 그 모양 그 꼴이었습니다.
술에 절여있는... 작취미성의 상태...

반성하는 뜻으로 이번주는 술 마시지 않겠습니다.
이번 주는 제발 술 마실 일이 없기를 빕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73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256
1436 [2011/05/18] 우리말) 치근대다와 지분거리다 moneybook 2011-05-18 4798
1435 [2011/05/19] 우리말) 꽃 moneybook 2011-05-19 4763
1434 [2011/05/20] 우리말) 실수와 잘못 moneybook 2011-05-20 3862
1433 [2011/05/23] 우리말) 주기, 주년, 돌 moneybook 2011-05-23 4401
1432 [2011/05/24] 우리말) 갑시다 moneybook 2011-05-24 3682
1431 [2011/05/25] 우리말) 그을리다와 그슬리다 moneybook 2011-05-25 3977
1430 [2011/05/26] 우리말) 햇빛, 햇살, 햇볕 moneybook 2011-05-26 3763
1429 [2011/05/27] 우리말) 한걸음 moneybook 2011-05-27 3582
1428 [2011/05/30] 우리말) '님'의 의존명사와 접사 쓰임 moneybook 2011-05-30 4565
1427 [2011/05/31] 우리말) 삼사일과 사날 moneybook 2011-05-31 3828
1426 [2011/06/01] 우리말) 흐리멍덩하다 moneybook 2011-06-01 3531
1425 [2011/06/02] 우리말) 하루이틀 moneybook 2011-06-02 3852
1424 [2011/06/03] 우리말) 야로와 야코죽다 moneybook 2011-06-07 4188
1423 [2011/06/07] 우리말) 밴댕이와 벤뎅이 moneybook 2011-06-07 3825
1422 [2011/06/08] 우리말) '찢어발기다'와 '까발리다' 머니북 2011-06-09 4203
1421 [2011/06/09] 우리말) 하릴없이 놀며 세월만 허비하는 짓 머니북 2011-06-09 3760
1420 [2011/06/10] 우리말) 단초와 실마리 머니북 2011-06-13 3686
1419 [2011/06/13] 우리말) 헐수할수없다 머니북 2011-06-13 3766
1418 [2011/06/14] 우리말) 한자 교육 머니북 2011-06-14 3833
1417 [2011/06/15] 우리말) 따까리 머니북 2011-06-16 3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