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1/16]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조회 수 3662 추천 수 157 2009.11.16 08:28:53
저라면
'야식 쟁탈 레이스'라고 안 쓰고,
'밤참 내기'나 '밤참 겨루기'라고 쓰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무척 춥네요.
늘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1.
어제저녁 KBS2 1박2일에서 '야식 쟁탈 레이스'를 하며 '우동'을 먹는 것을 방송했습니다.
'야식'은 국립국어원에서 '밤참'으로 다듬은 지 한참 되었습니다.
'쟁탈 레이스'보다는 '뺏기 내기'나 '뺏기 겨룸'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저라면
'야식 쟁탈 레이스'라고 안 쓰고,
'밤참 내기'나 '밤참 겨루기'라고 쓰겠습니다.

일본말 うどん[우동]은 우리말로 다듬으면 '가락국수'입니다.
'우동'이 바로 일본식 가락국수입니다.
왜 이런 좋은 말을 두고 '우동'이라고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방송에서...

청룡포에 있는 관음송을 소개하는 자막에서는
높이가 30M라고 나왔습니다.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 미터는 대문자 M이 아니라 소문자 m입니다.
대문자 M은 백만을 뜻합니다.

2.
어제저녁 7:44분에 MBC에서 '대한민국 스타 랭킹'이라는 방송을 내 보내면서 '따놓은 당상'이라는 자막을 내 보냈습니다.
감나무에서 감을 따듯 뭔가를 따 놓은 게 아니라,
당상 자리를 따로 떼어 놨다고 해서 '떼어 놓은 당상'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3.
오늘 아침 6:51분에 KBS1 뉴스에서 '많이 춥다'고 했습니다.
더위나 추위를 나타낼 때는 많이를 쓰지 않고 '꽤나 무척'을 씁니다.
오늘 아침 무척 춥고, 내일도 꽤 추울 거라고 합니다.

이번 주도 늘 웃으시면서 보내시길 빕니다.
저는 이번 주까지 감사를 받아야 합니다.

감사...
늘 감사하며 사는 게 좋은데 저는 왜 이리 '감사'가 지겹고 싫은지 모르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고주망태]

소주, 생맥주, 캔맥주, 병맥주, 양주, 칵테일 거기에 막걸리로 마무리...
그렇게 마셨으니 어제 제 몸이 온전할 리가 없었겠죠.
어제는 온종일 정신을 못 차리겠더군요.

어제 제 꼬락서니가 딱 고주망태였습니다.
'술에 몹시 취하여 정신을 가누지 못하는 상태. 또는 그런 사람'를 고주망태라고 하는데요.
고주와 망태가 합쳐진 말입니다.
오늘은 고주망태나 알아볼게요.

'고주'는 '고조'에서 온 말입니다.
고조는 '술, 기름 따위를 짜서 밭는 틀'입니다.
옛말로 지금은 이를 '술주자'라고 합니다.

'망태'는
'망태기'의 준말로
'가는 새끼나 노 따위로 엮거나 그물처럼 떠서 만든 그릇'입니다.

술을 받는 틀 위에 망태를 올려놓으면
그 망태는 언제나 술에 절여 있겠죠?

어제 제가 딱 그 모양 그 꼴이었습니다.
술에 절여있는... 작취미성의 상태...

반성하는 뜻으로 이번주는 술 마시지 않겠습니다.
이번 주는 제발 술 마실 일이 없기를 빕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6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87
1256 [2008/09/05] 우리말) 얼만큼과 얼마큼 id: moneyplan 2008-09-05 3599
1255 [2017/08/28] 우리말) 첫째와 첫 번째 머니북 2017-08-31 3599
1254 [2007/09/10] 우리말) 파란하늘 id: moneyplan 2007-09-10 3600
1253 [2008/08/29] 우리말) DMZ, 디엠지와 디엠제트 id: moneyplan 2008-08-29 3600
1252 [2011/06/17] 우리말) 나시와 민소매 머니북 2011-06-17 3600
1251 [2013/10/23] 우리말) 속알딱지 -> 소갈딱지 머니북 2013-10-23 3600
1250 [2014/03/24] 우리말) 섣부르다 머니북 2014-03-24 3600
1249 [2007/10/25] 우리말) 여덟 시 삼 분 id: moneyplan 2007-10-25 3601
1248 [2009/09/28] 우리말) 주말에 본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9-28 3601
1247 [2008/07/03] 우리말) 메기탕과 매기탕 id: moneyplan 2008-07-03 3602
1246 [2009/05/04] 우리말) 동무와 벗 id: moneyplan 2009-05-06 3602
1245 [2009/06/02] 우리말) 죽음과 서거 id: moneyplan 2009-06-02 3602
1244 [2011/08/16] 우리말) 착하다 머니북 2011-08-16 3602
1243 [2007/06/11] 우리말) 오늘은 수수께끼가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6-11 3603
1242 [2008/11/13] 우리말) 안간힘[안깐힘] id: moneyplan 2008-11-13 3603
1241 [2008/12/12] 우리말) 거북하다와 보깨다 id: moneyplan 2008-12-12 3603
1240 [2013/02/12] 우리말) 홀몸노인과 홀로노인 머니북 2013-02-12 3603
1239 [2014/04/03] 우리말) 허점 머니북 2014-04-03 3604
1238 [2016/10/10] 우리말) ‘빠르다’와 ‘이르다’ 머니북 2016-11-01 3604
1237 [2007/12/12] 우리말) 김치 냉장고를 샀습니다 ^^* id: moneyplan 2007-12-12 3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