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이봉원 님의 누리집을 소개하겠습니다.
'전국 국어 운동 대학생 동문회'입니다.
http://www.hanmal.pe.kr/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봉원 님의 누리집을 소개하겠습니다.
'전국 국어 운동 대학생 동문회'입니다.
http://www.hanmal.pe.kr/

그곳에 가면 '한말글 이름 잘 짓는 열두 가지 방법'이 있고,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 소장이신 이윤옥 교수님께서
우리 주변에 있는 잘못된 말글살이 현장을 꼭 집어 사진으로 고발하시는
'현장 고발'도 있습니다.

가끔 들르셔서 구경도 하시고 좋은 글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한말글 이름 잘 짓는 열두 가지 방법
입니다.

고맙습니다.




1. 부르기 쉽고 듣기 좋아야 한다.

2. 좋은 뜻이 있으면 더욱 좋다.
그러나 그 뜻이 남에게는 잘 이해가 되지 않는,
지어 준 이만 알 수 있는 주관적인 것이어도 상관은 없다.
- ‘하늘 뜻대로 사는 사람’을 줄인 ‘하람’처럼

3. 소리만 듣고도 정확히 적을 수 있는 이름이 좋다.
- ‘솔아’는 ‘소라’로 잘못 듣기 쉽다.
- ‘박’씨의 경우, ‘방’으로 소리나는 이름들이 있다. x ‘박 미리’

4. 이름의 경우엔 맞춤법에 따르지 않고 연철해도 된다.
- ‘어진이(어진 사람)’를 ‘어지니’로, ‘탐이나(탐이 나)’를 ‘타미나’로

5. 요즘 잘 안 쓰는 옛말이나 사투리를 적극 활용한다.

6. 복합어나 문장으로 짓는 것도 좋다.
- ‘아름나라’, ‘하얀언더기’, ‘정이든’

7. 외자 이름(‘김 ㅇ’)이나 두자 이름(‘박 ㅇㅇ’)에서 벗어나 보자.
- ‘이 아리따’, ‘오 아름나라’, ‘김 하얀언더기’

8. 형제(자매)의 이름은 서로 어울리게 짓는다.
- ‘아롱-다롱’, ‘나라-내리-노상-누리’, ‘참-아름-다운’

9. 놀림감이 될 수 있는 이름은 피하고, 너무 노골적인 이름은 삼가라.
- 부자 되라고 지은 ‘다모아’를 "쓰레기통"이라 놀릴 수 있다.
- x ‘황 두루미’, ‘진 달래’

10. 너무 아기 이름 같아도 좋지 않다.
- x ‘귀염’, ‘예쁘니’, '갓난이'

11. 너무 흔한 이름은 피해 가자.

12. 지은 이름이 성씨하고도 어울리는지 살펴야 한다.
- x ‘안 예쁜’, ‘민 머리’, ‘방 구슬’, ‘박 한마음(박한 마음)’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낫잡다/낮잡다]

어제 어떤 분과 이야기하다 오랜만에 '낫잡다'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참 멋진 우리말인데 요즘은 많이 쓰지 않죠.

오늘은 낫잡다를 소개해 드릴게요.

'낫잡다'는
[낟ː짭따]로 발음하고
'금액, 나이, 수량, 수효 따위를 계산할 때에, 조금 넉넉하게 치다.'는 뜻입니다.
손님이 더 올지 모르니 음식을 낫잡아 준비해라,
경비를 낫잡았더니 돈이 조금 남았다처럼 씁니다.
어제 제가 만난 분은
'무슨 일을 할 때 일정을 너무 빡빡하게 잡지 말고 낫잡아 둬야 일하기 좋다.'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맞는 말씀이십니다.

낫잡다와 발음이 거의 같은,
'낮잡다'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낟짭따]로 발음하고
'실제로 지닌 값보다 싸게 치다.'나
'사람을 만만히 여기고 함부로 낮추어 대하다.'는 뜻입니다.
물건값을 낮잡아 부르다, 그는 낮잡아 볼 만큼 만만한 사람이 아니다처럼 씁니다.
'남의 재주나 능력 따위를 실제보다 낮추어 보아 하찮게 대하다.'는 뜻의
'얕잡다'와 거의 같은 뜻이죠.

세상 살면서,
남을 낮잡아 보면 안 되지만,
내가 준비하는 일은 낫잡으면 좋습니다.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6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99
756 [2016/11/17] 우리말) 외래어? 머니북 2016-11-18 3308
755 [2011/02/28] 우리말) 돋우다와 돋구다 moneybook 2011-02-28 3307
754 [2009/07/29] 우리말) 감기다 id: moneyplan 2009-07-29 3307
753 [2009/04/08] 우리말) 해님과 햇님 id: moneyplan 2009-04-08 3306
752 [2010/04/14] 우리말) 듯싶다 id: moneyplan 2010-04-14 3304
751 [2014/11/03] 우리말) '자랑차다'와 '가열차다' 머니북 2014-11-03 3303
750 [2014/06/26] 우리말) 탄하다와 탓하다 머니북 2014-06-26 3303
749 [2014/03/19] 우리말) 누꿈하다 머니북 2014-03-19 3303
748 [2014/07/07] 우리말) 사리 머니북 2014-07-07 3302
747 [2012/03/29] 우리말) 한글날을 공휴일로 머니북 2012-03-29 3302
746 [2010/12/03] 우리말) 착한 몸매? moneybook 2010-12-03 3302
745 [2013/01/02] 우리말) 제야 머니북 2013-01-02 3301
744 [2010/05/11] 우리말) 주꾸미 id: moneyplan 2010-05-11 3300
743 [2007/10/26] 우리말) 구리다 id: moneyplan 2007-10-26 3300
742 [2014/07/29] 우리말) 맨드리 머니북 2014-07-29 3299
741 [2016/03/23] 우리말) 손목시계 머니북 2016-03-23 3298
740 [2014/07/16] 우리말) 담/담장 머니북 2014-07-16 3297
739 [2008/05/10]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id: moneyplan 2008-05-10 3297
738 [2013/10/16] 우리말) 비거스렁이 머니북 2013-10-16 3296
737 [2012/03/27] 우리말) 먼산바라기 머니북 2012-03-27 3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