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2/01] 우리말) 덤터기

조회 수 3290 추천 수 81 2009.12.01 09:35:42
남으로부터 넘겨받은 걱정거리를 `덤터기`라고 합니다.
'덤터기 쓰다'라고 하여 억울한 누명이나 오명을 뒤집어쓰는 일로 더 널리 쓰이고 있죠.
이를 좀 강조하고자 그러는지 '덤테기'라고 하시는 분이 많습니다.
표준말은 덤터기입니다.

        안녕하세요.

아침에 안개가 낀 것을 보니 오늘도 날씨가 좋을 것 같습니다.

아시는 것처럼 저는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좋아하고
그런 자리에 꼭 따라오는 곡차도 즐깁니다.
그래서 누군가 부르면 한걸음에 달려갑니다.

아무리 그래도 가끔은 자리를 가리기도 합니다. ^^*
괜히 이상한 자리에 끼게 되면 나중에 덤터기를 쓸 수도 있잖아요.

흔히,
남으로부터 넘겨받은 걱정거리를 `덤터기`라고 합니다.
'덤터기 쓰다'라고 하여 억울한 누명이나 오명을 뒤집어쓰는 일로 더 널리 쓰이고 있죠.
이를 좀 강조하고자 그러는지 '덤테기'라고 하시는 분이 많습니다.
표준말은 덤터기입니다.

12월 연말입니다.
여기저기서 술자리가 많을 것이고,
흥청망청하면서 여기저기 끼다 보면,
나도 모르게 덤터기를 쓸 수도 있습니다.
낄 자리 안 낄자리 잘 가려서 함께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카드사 수수료 인하 거부]

무척 춥네요.
남부지방에는 눈이 많이 내렸다는데 큰 피해가 없기를 빕니다.
오늘 편지 시작하기 전에 몇 가지 알려드릴 게 있습니다.

1. 가끔 잘 오던 편지가 오지 않는다면서 왜 전자우편 주소를 지웠느냐고 나무라시는 분이 계신데요.
저는 잘 가는 주소의 전자우편 주소를 일부러 지우지 않습니다.
우편함이 가득 찼거나 한 달 동안 한 번도 읽지 않으시는 경우 자동으로 지워집니다.
혹시 우편함이 가득 찼던 적이 없는지 봐 주십시오.

2. 책을 어떻게 사느냐고 물으시면서 저에게 몇 권 보내달라는 분이 계십니다.
죄송하지만 저는 책을 보내드리지 못합니다. 돈도 없고 할 일도 많아서...^^*
우리말 편지 책은 가까운 서점에서 사시거나
서점에 책이 없으면 주인에게 가져다 달라고 하시면 다 가져다주십니다.
출판사는 '뿌리와이파리'이고 책이름은 '성제훈의 우리말 편지'입니다.
인터넷에서 사셔도 됩니다.
인터파크, 알라딘, YES24 같은 곳에서도 사실 수 있습니다.

3. 우리말 편지를 여러 명에게 한꺼번에 추천하시기 어렵다는 분도 계십니다.
전자우편 주소만 저에게 주시면 제가 한꺼번에 올려드리겠습니다.

오늘 이야기 시작하겠습니다.

어제 인터넷 뉴스를 보니,
'카드사 수수료 인하 거부' 기사가 있네요.
http://news.media.daum.net/economic/industry/200701/05/Edaily/v15286638.html?_RIGHT_COMM=R9
내친김에 다음 뉴스에서 '인하'를 넣고 검색해 보니 56,000개의 기사가 있다고 나오네요.
네이버에서는 155,710개의 기사가 나오고...
가격 인하, 금리 인하, 수수료 인하....

'인하'는 물건 따위를 끌어내리거나 가격을 낮춘다는 말인데,
이미 국립국어원에서 '값 내림'이나 '내림'으로 다듬었습니다.

언론이 그런 것을 모를 리 없는데 왜 이 모양인지 모르겠습니다.
인하가 일본말찌꺼기이고 이미 국립국어원에서 다듬은 말이라는 것을 모르고 기사를 썼다면 그 기자의 자격이 의심스럽고,
그것을 알고도 그따위 기사를 썼다면 국민은 만만하게 본 것이고...

제발 정신 차리고 기사를 쓰는 그런 바른 기자가 많은 세상에서 살고 싶습니다

오늘은 월요일입니다.
이번 주도 기분 좋게 보내시길 빕니다.
저는 이번 주에 집을 옮기는데 아내가 아직 이사갈 집 주소를 알려주지 않네요.
걱정입니다. ^^*

우리말123

보내기)
국립국어원에서 '가격'을 다듬지는 않았지만,
이 낱말도 價格(かかく[카가꾸])라는 일본말 찌꺼기입니다.
'값'이라는 좋은 우리말이 있는데 왜 가격이라는 낱말을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9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212
896 [2013/01/21] 우리말) 땡땡이 무늬 머니북 2013-01-21 3843
895 [2015/12/11] 우리말) 팔순잔치 머니북 2015-12-14 3844
894 [2017/01/23] 우리말) 빼닮다, 빼쏘다 머니북 2017-01-24 3844
893 [2007/02/21] 우리말) 텔레비전 자막 틀린 거 몇 개 id: moneyplan 2007-02-21 3846
892 [2008/06/16] 우리말) 뭉그적거리다와 밍기적거리다 id: moneyplan 2008-06-16 3846
891 [2016/12/22] 우리말) 날개짓과 날갯짓 머니북 2016-12-23 3847
890 [2010/12/01] 우리말) 두껍다/두텁다 moneybook 2010-12-01 3848
889 [2016/11/18] 우리말) 개판과 이판사판 머니북 2016-11-19 3848
888 [2014/03/04] 우리말) 잊다와 잃다 머니북 2014-03-04 3849
887 [2014/06/11] 우리말) 문문하다 머니북 2014-06-11 3849
886 [2008/05/16] 우리말) 게와 개 가르기 id: moneyplan 2008-05-23 3850
885 [2011/06/02] 우리말) 하루이틀 moneybook 2011-06-02 3850
884 [2011/06/16] 우리말) 바라겠습니다. 머니북 2011-06-16 3851
883 [2016/11/24] 우리말) 공문서를 한글로만 쓰는 것은 합헌 ~^ 머니북 2016-11-25 3851
882 [2011/11/28] 우리말) 이상과 이하 머니북 2011-11-28 3852
881 [2017/08/22] 우리말) 반려견 머니북 2017-08-23 3852
880 [2011/07/06] 우리말) 한턱 머니북 2011-07-06 3853
879 [2011/08/11] 우리말) 原乳 머니북 2011-08-11 3853
878 [2013/06/10] 우리말) 말길이 바로잡혀야 한다 머니북 2013-06-10 3853
877 [2007/06/28] 우리말) 워크샵과 워크숍 id: moneyplan 2007-06-28 3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