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2/08] 우리말) 어리숙과 어수룩

조회 수 3746 추천 수 91 2009.12.08 08:53:51
이 '어수룩하다'를 '어리숙하다'로 쓰시는 분이 많으십니다.
아무래도 '어리석다'를 떠올리셔서 그렇게 쓰시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 보면 '어리숙하다'는 틀리고 '어수룩하다'만 맞다고 나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편지에서 촌스럽다를 말씀드렸습니다.
비록 촌스럽다는 뜻이 사전에는 세련되지 못하고 어수룩하다는 뜻일지라도 저는 촌스러운 게 좋습니다. ^^*

우리말에 '어수룩하다'는 그림씨(형용사)가 있습니다.
말이나 행동이 매우 숫되고 후하다는 뜻입니다.
그 사람은 어수룩한 시골 사람들을 상대로 장사해서 많은 돈을 모았다,
그는 어수룩해서 아무에게나 돈을 잘 빌려 준다,
네게 호락호락 넘어갈 만큼 그는 어수룩하지 않다처럼 씁니다.

이 '어수룩하다'를 '어리숙하다'로 쓰시는 분이 많으십니다.
아무래도 '어리석다'를 떠올리셔서 그렇게 쓰시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 보면 '어리숙하다'는 틀리고 '어수룩하다'만 맞다고 나와 있습니다.
좀 어색하죠? ^^*

중앙일보에 보니 좀 다르게 풀어놓으셨네요.
사전에는 '어리숙하다'는 틀리고 '어수룩하다'만 맞다고 풀어놨는데 실제는 두 낱말이 조금 다른 뜻으로 쓰인다는 거죠.
'어리숙하다'는 말은 어리석어 보인다는 뜻이고,
'어수룩하다'는 어리석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순박하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고 보네요.

사전에는 비록 '어수룩하다'만 올라 있지만,
다음에 사전 만들 때는 '어리숙하다'도 올라갈 것 같습니다.

우리가 자주 헷갈리는 낱말에 '어리버리'와 '어리바리'도 있습니다.
정신이 또렷하지 못하거나 기운이 없어 몸을 제대로 놀리지 못하는 모양을 일러 '어리바리'라고 합니다.
'어수룩하다'와 비슷한 뜻이죠.
이를 '어리버리'라고 쓰시는 분도 있습니다만, 표준말은 '어리바리'입니다.

어리숙, 어수룩
어리버리, 어리바리...

'어리바리' 헷갈리시죠?
남들에게 쓸 때도 헷갈리시면 '어수룩하다'는 말 듣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하일라이트가 아니라 하이라이트]

안녕하세요.

연말이라 이런저런 행사가 많네요.
그 많은 행사 가운데 가장 뜻깊은 것은 역시 보신각종을 치는 것이겠죠.

어떤 행사에서 가장 두드러지거나 흥미있는 장면을 '하이라이트'라고 하는데요.
이는 아시는 것처럼, highlight입니다.
그리고 그 발음은 []입니다. [하일라이트]죠.
그러나 이는 '하이라이트'라고 해야 바릅니다.
'하일라이트'가 아닙니다.
그 까닭은 외래어 표기법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외래어 표기법에는 따로 설 수 있는 말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복합어는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말이 단독으로 쓰일 때의 표기대로 적는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곧, 외래어 단어 두 개가 모여 하나의 단어가 되었을 때는
각각의 단어 발음을 그대로 쓰는 것이죠.

이에 따라,
high의 발음이 [하이]이고, light의 발음이 [라이트]라서,
highlight의 발음도 [하이라이트]가 되는 겁니다.

그러나 '하이라이트'나 '하일라이트'보다 더 중요한 것은,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하이라이트'의 뜻풀이입니다.
그 사전에는 하이라이트의 뜻을 풀어놓고,
그 바로 뒤에 '강조', '주요 부분'으로 다듬었다고 나와 있습니다.

정리하면,
'하일라이트'가 아니라 '하이라이트'가 맞지만,
'강조'나 '주요 부분'으로 쓰시는 게 더 좋습니다.
그보다 더 좋은 것은 '으뜸'이겠죠.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1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51
1796 [2009/11/20] 우리말) 두루마리 id: moneyplan 2009-11-20 3609
1795 [2009/11/23] 우리말) 도나캐나 id: moneyplan 2009-11-23 3226
1794 [2009/11/24] 우리말) 한말글 이름 잘 짓는 열두 가지 방법 id: moneyplan 2009-11-24 3375
1793 [2009/11/25] 우리말) 신장 id: moneyplan 2009-11-25 3403
1792 [2009/11/26] 우리말) 결혼과 혼인 id: moneyplan 2009-11-26 3561
1791 [2009/11/27] 우리말) 결혼과 혼인(2) id: moneyplan 2009-11-27 3383
1790 [2009/11/30] 우리말) 축하합니다와 축하드립니다. id: moneyplan 2009-11-30 3849
1789 [2009/12/01] 우리말) 덤터기 id: moneyplan 2009-12-01 3254
1788 [2009/12/02] 우리말) 단출과 단촐 id: moneyplan 2009-12-02 3576
1787 [2009/12/03] 우리말) 때마침 id: moneyplan 2009-12-03 3609
1786 [2009/12/04] 우리말) 밥버릇과 식습관 id: moneyplan 2009-12-04 3927
1785 [2009/12/07] 우리말) 촌스럽다 id: moneyplan 2009-12-07 3429
» [2009/12/08] 우리말) 어리숙과 어수룩 id: moneyplan 2009-12-08 3746
1783 [2009/12/09] 우리말) 탑과 톱 [1] id: moneyplan 2009-12-09 3709
1782 [2009/12/10] 우리말) [바른말 고운말] 표어 공모전을 소개합니다 file [4] id: moneyplan 2009-12-10 4934
1781 [2009/12/11] 우리말) 잎과 닢 id: moneyplan 2009-12-11 3182
1780 [2009/12/14] 우리말) 우리말 편지 댓글입니다 id: moneyplan 2009-12-14 3273
1779 [2009/12/15] 우리말) 걷잡다와 겉잡다 id: moneyplan 2009-12-15 3348
1778 [2009/12/16] 우리말) 개사료와 개밥 id: moneyplan 2009-12-16 3817
1777 [2009/12/17] 우리말) 빙그르르 id: moneyplan 2009-12-17 3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