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2/15] 우리말) 걷잡다와 겉잡다

조회 수 3304 추천 수 166 2009.12.15 09:02:14
'걷잡다'와 '겉잡다'는 발음이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바쁘긴 바쁜데, 아무리 바빠도 저녁에 술 약속은 꼭 있네요.
어찌된 게 하루도 거르지 않고 날마다 술이네요.

'걷잡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한 방향으로 치우쳐 흘러가는 형세 따위를 붙들어 잡다는 뜻과
마음을 진정하거나 억제하다는 뜻이 있습니다.
걷잡을 수 없는 사태, 걷잡을 수 없이 흐르는 눈물처럼 씁니다.

겉잡다는 낱말도 있습니다.
소리(발음)는 [걷짭따]로 걷잡다 소리와 같습니다.
겉으로 보고 대강 짐작하여 헤아리다는 뜻으로
겉잡아도 일주일은 걸릴 일을 하루 만에 다 했다, 예산을 대충 겉잡아서 말하지 말고 잘 뽑아 보시오처럼 씁니다.

연말까지 거의 날마다 술을 마셔야 할 것 같습니다.
'겉잡아도' 보름 정도를 날마다 마실 것 같은데,
이러다 '걷잡을' 수 없게 건강이 나빠질 것 같아 걱정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메모지'가 아니라 '적바림'입니다]

오늘은 멋진 우리말 하나 소개해 드릴게요.

저는 수첩을 꼭 가지고 다닙니다.
실은 제가 제 머리를 못 믿거든요.
그래서 뭐든지 생각날 때 써 놓으려고 작은 수첩을 가지고 다닙니다.
그뿐만 아니라 제 책상 앞에는 메모지가 많이 있습니다.
할 일을 그때그때 작은 쪽지에 적어서 책꽂이 여기저기에 붙여 둡니다.
그걸 다 떼 내면 집에 갈 수 있는거죠. ^^*

여러분도 메모지 많이 쓰시나요?
메모지는
'메모를 하기 위한 종이. 또는 메모한 종이'를 뜻하는데,
'memo紙'입니다.
영어 memo와 한자 紙를 합쳐서 만든 낱말입니다.
국어사전에 올라 있는 우리말입니다.
국어사전에 올라 있으니 우리말이긴 하지만,
'memo紙'에서 온 '메모지'는 영 맘에 안 듭니다.

이보다 더 좋은, 백배 천배 만 배나 좋은 우리말이 있습니다.
바로 '적바림'입니다.
'나중에 참고하기 위하여 글로 간단히 적어 둠. 또는 그런 기록.'을 뜻합니다.
전화가 와서 적바림해 뒀다, 시장갈 때는 꼭 적바림해라처럼 씁니다.
국어사전에 풀이된 '메모지'와 뜻이 같습니다.
그렇다면, 굳이 '메모지'를 쓸 까닭이 없죠.
아름다운 우리말이 있는데 왜 이상한 '메모지'를 쓰죠?
사전에 오른 뜻도 같은데 굳이 'memo紙'를 쓸 아무런 까닭이 없습니다.
억지로 찾자면, '배운티'를 내고자 함이겠죠.

여기서 짚고 넘어가고 싶은 게 하나 더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겁니다.
그런 국가기관에서 사전을 만들 때,
'메모지'를 사전에 올려 설명을 단 것까지는 봐 주겠는데,
그 뒤에 '적바림'으로 다듬어서 쓰는 게 낫다고 써 놓으면 더 좋지 않을까요?
그게 국민의 세금을 받고 사는 사람들이 해야 할 일 아닌가요?
그저 있는 대로만 낱말을 풀어 사전을 만든다면 다른 사전과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이 뭐가 다르죠?
명색이 표준국어대사전이라면,
'표준'이라는 낱말을 쓰고, '대'라는 낱말을 써서 표준국어대사전이라고 하려면,
메모지 뒤에 적바림을 꼭 넣었어야 합니다.
2009년에 사전을 다시 만들 때는 꼭 넣기를 빕니다.

내친김에 하나 더 이야기 할게요.
언젠가 '내역'은 일본어에서 왔다고 말씀을 드린적이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내역'은 '명세'로 다듬었다고 나와 있습니다.
그렇게 다듬어 놓고,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적바림'이라는 낱말의 보기를 들면서는 '내역'을 왜 쓰죠?
'물건의 내역을 적바림한다'고요?
차라리 '메모지에 물건을 조목조목 적었다'고 쓰는 게 더 낫겠네요.
다음번 사전 만들 때는 정신 똑바로 차리고 사전을 만드시길 빕니다.
그래야 '표준' '국어' '대' '사전'이 되죠.

보태기)
'백배 천배 만 배나 좋은 우리말'에서,
'백배 천배'는 붙이고 '만 배'는 띄어 썼습니다.
그 까닭은
백배와 천배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아주 많은 수량이나 정도를 이르는 말'로 사전에 올라 있기 때문입니다.
곧, 한 단어로 봐서 붙여 썼고,
'만 배'는 한 단어가 아니라서 띄어 썼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03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594
916 [2009/01/20] 우리말) 쾨쾨하다와 쾌쾌하다 id: moneyplan 2009-01-20 3378
915 [2008/03/06] 우리말) 양식이 아니라 서식입니다 id: moneyplan 2008-03-06 3378
914 [2011/03/02] 우리말) 파워 스폿 moneybook 2011-03-02 3377
913 [2013/05/30] 우리말) 시늉과 흉내 머니북 2013-05-30 3376
912 [2010/11/08] 우리말) 첫과 첫눈 moneybook 2010-11-08 3376
911 [2008/12/03] 우리말) 찾다와 뒤지다 id: moneyplan 2008-12-04 3376
910 [2013/04/16] 우리말) 담백 머니북 2013-04-16 3375
909 [2012/04/19] 우리말) 사람은 줏대가 있어야 합니다 머니북 2012-04-19 3374
908 [2013/11/18] 우리말) 멀거니와 멀겋다 머니북 2013-11-18 3374
907 [2009/09/04] 우리말) 이런 젠장... id: moneyplan 2009-09-04 3374
906 [2008/02/21] 우리말) 농촌진흥청이 감치도록 야젓하게 일할 겁니다 id: moneyplan 2008-02-21 3374
905 [2016/01/08] 우리말) 엉덩이와 궁둥이 머니북 2016-01-09 3373
904 [2011/02/15] 우리말) 달걀과 계란 moneybook 2011-02-15 3373
903 [2010/01/25] 우리말) 문제 답은... id: moneyplan 2010-01-25 3373
902 [2009/11/25] 우리말) 신장 id: moneyplan 2009-11-25 3373
901 [2009/08/20] 우리말) 깨단하다 id: moneyplan 2009-08-21 3372
900 [2008/12/02] 우리말) 냄비와 남비 id: moneyplan 2008-12-02 3371
899 [2008/02/05] 우리말) 설빔 준비하셨나요? id: moneyplan 2008-02-05 3371
898 [2016/11/16] 우리말) 서리 머니북 2016-11-16 3370
897 [2010/07/27]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moneybook 2010-07-27 3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