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2/16] 우리말) 개사료와 개밥

조회 수 3732 추천 수 91 2009.12.16 09:48:37
'걷잡다'와 '겉잡다'는 발음이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날씨가 무척 춥네요.
자주 드리는 말씀이지만,
추위나 더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어찌씨(부사)는 '상당히' 나 '꽤'를 써야 바릅니다.
오늘 상당히 춥고, 꽤 춥네요. ^^*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로 우리말편지를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개사료'가 아니라 '개 먹이'나 '개밥']

첫눈 보셨어요?
저는 못봤는데......

어제 인터넷 뉴스를 보니
'고양이, 개사료 먹이면 실명(?)'이라는 꼭지의 기사가 있네요.
http://news.media.daum.net/culture/art/200611/29/tvreport/v14882418.html?_right_TOPIC=R5

저는 기사내용은 별 관심 없고 '개 사료'이야기나 좀 해 볼게요.
실은, '개사료'가 아니라 그냥 '사료'인데,
이 사료는 마땅히 개만도 못한 취급을 받아야 하기에 그냥 '개사료'이야기라고 하겠습니다.

'가축에게 주는 먹을거리'라는 뜻의 사료는 일본어 飼料(しりょう[시료우])에서 온 말입니다.
당연히 국립국어원에서 '먹이'로 다듬었습니다.
먹이라는 좋은 우리말이 있는데 굳이 사료를 쓸 까닭이 없습니다.
백 보 양보해서, 사료가 어디서 온 말인지 몰라 썼다면 몰라도,
이제는 아셨으니 사료라는 낱말을 쓰시면 안 됩니다.

'개사료'가 아니라 '개 먹이'입니다.

사료하면 더 짚고 싶은 게 있습니다.
바로 思料입니다.
주로 논문에 많이 나오는 낱말로
...로 사료됩니다, ...것으로 사료되어 유감스러우나..., 개념에 수정이 가해질 필요가 있다고 사료됨 따위죠.
이것도 일본어투 낱말(思料, しりょう[시료우])로 모두 엉터리 말입니다.
아니, 말도 아닙니다.

'사료'는 '생각'으로 바꿔 쓰시면 됩니다.
...로 사료됩니다는 ...라고 생각합니다로 바꿔 쓰고,
...것으로 사료되어 유감스러우나...는 ...것으로 생각하여 안타까우나...로 쓰고,
개념에 수정이 가해질 필요가 있다고 사료됨은 개념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생각함으로 쓰시면 됩니다.
생각을 쓰지 않고 사료를 쓰면 더 품격있는 글이 된다고 생각하면 큰 잘못입니다.

가방끈 긴 사람들이 잘해야 합니다. 정말 잘해야 합니다.

오늘은 눈이 온다죠?
개판인 정치판이 하얀 눈을 닮아 좀 맑고 깨끗해졌으면 좋겠습니다.
어제 뉴스를 들으니 지금 국회에서 잠자는 법안이 3천 개가 넘는다고 합니다.
그러면서도 국회의원들은 꼬박꼬박 월급을 받겠죠?

보태기)
'밥'은 우리가 먹는 밥뿐만 아니라,
동물의 먹이도 밥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개 먹이를 개밥이라고 해도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49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090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641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646
267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699
2673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704
2672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712
2671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731
2670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737
2669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738
2668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741
2667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751
2666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752
2665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759
2664 [2016/07/27] 우리말) 볏과 벼슬 머니북 2016-08-10 2764
2663 [2016/05/19] 우리말) 씁쓸하다 머니북 2016-05-20 2770
2662 [2016/03/09] 우리말) 꽃샘추위/잎샘추위/꽃샘잎샘 머니북 2016-03-10 2776
2661 [2013/11/22]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은? 머니북 2013-11-22 2777
2660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780
2659 [2016/01/25] 우리말) 망고하다 머니북 2016-01-26 2784
2658 [2015/08/26] 우리말) 붓다(2) 머니북 2015-08-26 2786
2657 [2014/06/02] 우리말) 들차다 머니북 2014-06-02 2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