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1/13] 우리말) 뒷담화

조회 수 3646 추천 수 82 2010.01.13 08:12:06

'시말서'는 잘못을 저지른 사람이 사건의 경위를 자세히 적은 문서지만
국립국어원에서 '경위서'로 다듬었습니다.
아마도 일본어 투 말이라서 그렇게 다듬은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무척 춥네요
.
거기다 남부지방에는 눈이 많이 내린다고 합니다
.
큰 피해가 없기를 빕니다
.

어제는 오랜만에 KBS2에서 하는 '상상더하기'를 봤습니다
.
예전과 많이 달라졌더군요
.
어제는 아나운서 여섯 명이 나와서 입담을 자랑하는 자리였습니다
.

1.
어떤 분이 '뒷담화'라고 했고 자막도 그렇게 나왔습니다
.
당구에서 처음 치려고 했던 대로 맞지 않고 빗나갔던 공(다마)이 한 바퀴 더 돌아 맞는 것을 '뒷다마'라고 합니다
.
다마는 머리라는 뜻의 일본어 あたま[아타마]에서 왔거나, 구슬이라는 뜻의 たま[타마]에서 왔을 겁니다
.
'뒷다마'를 좀 돌려 남의 흉을 보는 것을 두고 '뒷담화'라고 합니다
.
뿌리가 이럴진대 결코 좋은 말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
굳이 만들자면 '뒷이야기'정도 될지 모르겠습니다
.

2.
출연자가 '시말서'를 잘 쓴다고 했고, 자막도 그렇게 나왔으며, 같이 나누는 이야기도 시말서였습니다
.
'
시말서'는 잘못을 저지른 사람이 사건의 경위를 자세히 적은 문서지만

국립국어원에서 '경위서'로 다듬었습니다.
아마도 일본어 투 말이라서 그렇게 다듬은 것 같습니다
.

3.
시말서 이야기하면서 '양식' 이야기를 했습니다. 시말서를 쓰는 양식이 컴퓨터에 아예 들어있다고
...
일정한 모양이나 형식을 뜻하는 이 '양식'도 국립국어원에서 '서식'으로 다듬었습니다
.
이 또한 한자말이기는 하지만 아마도 일본어 투 말이라서 그렇게 다듬은 것 같습니다
.

10분 정도 텔레비전을 보면서 이런 말이 많이 나오기에 그냥 끄고 잤습니다
. ^^*

요즘 세종시 문제로 말이 많습니다
.
'
앙꼬없는 찐빵'이라는 말은 어떤 분이 하는 것을 텔레비전에서 들었습니다
.
앙꼬는 あんこ[앙고]라는 일본말에서 왔습니다
.
떡이나 빵의 안에 든 팥을 뜻하므로 '팥소'라고 하시면 됩니다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도 그렇게 나와 있습니다
.

이 이야기는 정치 이야기가 아닙니다. '앙꼬'를 팥소로 쓰는 게 좋겠다는 이야기일 뿐입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세모가 아니라 세밑
!]

이제 한 열흘 남았죠? 올해가 가려면
...

'
한 해가 끝날 무렵'을 흔히 '세모'라고 합니다
.
그러나 자주 쓰는 이 '세모'는 일본말 찌꺼기입니다
.
일본에서 歲暮라고 쓰고 せいぼ[세이보]라고 읽습니다
.
국립국어원에서도 '세모' '세밑'으로 다듬었습니다
.

표준국어대사전에 세모는 일본어 찌꺼기니 쓰지 말고 '세밑'을 쓰라고 나와 있습니다
.

저 같은 보통사람은 세밑이 뭐고 세모가 뭔지 잘 모릅니다
.
저는 세밑을 세모라고 써도 저 혼자 욕 들으면 그만입니다
.
그러나 언론은 다릅니다
.
언론에서는 절대로 세모를 쓰면 안 됩니다
.
잘 아시는 것처럼 국민은 신문에 기사로 나오거나 텔레비전에서 나온 말은 다 옳은 것으로 압니다
.
그래서 언론에서 세모를 쓰면 안 됩니다
.
언론이 나서서 일본말 찌꺼기를 없애줘야 하는데
,
오히려 일본말찌꺼기를 퍼트리면 안 되죠
.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실은 그렇지 않네요
.
다음(daum)에서 뉴스에 나오는 '세모'를 뽑아보니 아래처럼 나오네요
.
이게 바로 우리나라에서 내로라하는 신문이 하는 짓입니다
.

오마이뉴스
2006.11.16 09:58
그럼 내년 세모 정국의 주도권을 쥐면서
...
http://news.media.daum.net/society/affair/200611/16/ohmynews/v14735456.html

쿠키뉴스  2006.11.22 07:00
또 세모에 구세군과 함께
...
http://news.media.daum.net/society/affair/200611/22/kukinews/v14799818.html

서울신문  2006.11.29 20:21
내일이면 12월이고 세모도 다가온다
.
http://news.media.daum.net/editorial/opinion/200611/29/seoul/v14887990.html

노컷뉴스  2006.12.02 13:44
아름다운 기부, 훈훈한 세모 풍경

http://news.media.daum.net/society/affair/200612/02/nocut/v14919540.html

한국일보  2006.12.04 16:07
...
되어 지길 이 세모를 맞이하여 소망해봅니다
.
http://news.media.daum.net/society/affair/200612/04/hankooki/v14935438.html

동아일보  2006.12.09 03:20
세모를 맞이하여 우리 사회에서 사과의 문화가
...
http://news.media.daum.net/editorial/column/200612/09/donga/v14993534.html

매일경제   2006.12.10 20:07
세모 조찬 자리에서 정책 실패에
...
http://news.media.daum.net/editorial/editorial/200612/10/mk/v15003092.html

경향신문   2006.12.11 18:04
...
세모에 걸맞은 산문집을 냈다
.
http://news.media.daum.net/culture/art/200612/11/khan/v15014353.html

한국일보  2006.12.11 18:49
세모의 한낱 감상이나 위선일지라도
...
http://news.media.daum.net/editorial/column/200612/11/hankooki/v15014969.html

경향신문  2006.12.13 19:02
...
체험을 통해 세모 시민들의 삶을 짚어본다
.
http://news.media.daum.net/society/others/200612/13/khan/v15043572.html

일간스포츠  2006.12.17 18:18
저무는 세모에 유저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http://news.media.daum.net/society/affair/200612/17/hankookis/v15094195.html

중앙일보  2006.12.18 20:37
'2006
년 겨울' 그 세모의 우울

http://news.media.daum.net/editorial/column/200612/18/joins/v15099624.html

스포츠서울  2006.12.19 11:41
수은주가 뚝 떨어진 세모를 훈훈하게 데웠다
.
http://news.media.daum.net/sports/soccer/200612/19/SpoSeoul/v15105922.html

언론은 낱말 하나하나, 말 한마디 한마디를 조심해야 합니다.
덜떨어진 말 한 마디, 잘못 찍힌 낱말 하나가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지는 언론이 더 잘 아시잖아요
.


오늘이나 내일쯤 기자님들에게 부탁드릴 게 있는데
,
그런 일을 앞두고 언론을 이렇게 씹으면 안 되는데
......
이러다 밉보이면 안 되는데...
......

보태기
)
오마이뉴스
2006.11.16 09:58
그럼 내년 세모 정국의 주도권을 쥐면서
...
http://news.media.daum.net/society/affair/200611/16/ohmynews/v14735456.html
'세모'를 쓴 것도 잘못이지만,
세모를 연말연시쯤으로 썼네요
.
일본어 찌꺼기인지도 모를뿐더러 그 뜻도 제대로 모르고 있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5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27
1096 [2016/07/12] 우리말) 수근거리다 -> 수군거리다 머니북 2016-07-13 3658
1095 [2009/11/17] 우리말) 들러리 id: moneyplan 2009-11-17 3659
1094 [2015/05/15] 우리말) 비비다/부비다 머니북 2015-05-15 3659
1093 [2016/02/01] 우리말) 짝꿍과 맞짱 머니북 2016-02-02 3659
1092 [2007/08/02] 우리말) '리터당'은 '리터에'로... id: moneyplan 2007-08-02 3660
1091 [2007/08/07] 우리말) '노지'가 아니라 '밖', '한데' id: moneyplan 2007-08-07 3661
1090 [2011/04/12] 우리말) 예부터 moneybook 2011-04-12 3661
1089 [2013/04/17] 우리말) 텍스트와 코너 머니북 2013-04-17 3661
1088 [2009/11/09] 우리말) 안쫑잡다 id: moneyplan 2009-11-09 3662
1087 [2007/06/22] 우리말) 넘지 말아야 할 금도? id: moneyplan 2007-06-22 3663
1086 [2009/10/22] 우리말) 활개 치다와 활개 펴다 id: moneyplan 2009-10-22 3663
1085 [2013/01/24] 우리말) 잊힌과 잊혀진 머니북 2013-01-24 3663
1084 [2013/11/11] 우리말) 영상 머니북 2013-11-11 3664
1083 [2017/02/09] 우리말) 안갚음과 앙갚음 머니북 2017-02-10 3664
1082 [2017/08/14] 우리말) 갑질에 대한 짧은 생각2 머니북 2017-08-16 3664
1081 [2008/02/18] 우리말) 자막 틀린 거 몇 개 id: moneyplan 2008-02-18 3665
1080 [2011/08/08] 우리말) 토씨(조사) '의' 쓰임 머니북 2011-08-08 3665
1079 [2013/07/18] 우리말) 소강과 주춤 머니북 2013-07-18 3665
1078 [2010/04/15] 우리말) 코털이 세다 id: moneyplan 2010-04-15 3666
1077 [2010/07/28] 우리말) 시르죽다 moneybook 2010-07-28 36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