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1/14] 우리말) 막걸리

조회 수 3562 추천 수 102 2010.01.14 10:48:42

막걸리는 '막 걸렀다'고 해서 붙인 순 우리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요즘은 곡차로 막걸리를 많이들 드시네요
.
저도 오늘 저녁 한잔할 때 막걸리를 마셔볼 생각입니다
. ^^*

1.
막걸리는 '막 걸렀다'고 해서 붙인 순 우리말입니다
.

2.
여기에 올해 나온 햅쌀로 만든 막걸리라고 해서 '막걸리 누보'라고 하는 것을 봤습니다
.
프랑스말인 누보(Nouveau) `새롭다`는 뜻입니다
.
그래서 `보졸레 누보`는 프랑스 보졸레 지방에서 그해 수확한 포도로 만든 포도주라는 뜻이죠
.
이를 본떠 `막걸리 누보`라고 이름 붙이고 그해 수확한 우리 쌀로 만든 막걸리를 말하는데
,
이렇게 보졸레 누보에 빗대어 말하는 것은 소비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그렇게 만들었겠지만 왠지 꺼림칙합니다
.
`
막걸리 누보`가 인터넷에서 떠돌다 상표로 등록되고 사전에까지 오르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


3.
대포는 큰 술잔을 이릅니다. 막걸리는 흔히 큰 술잔에 따라 마시기에 술을 별 안주 없이 큰 그릇에 따라 마시는 집을 대폿집이라고 합니다
.
대포와 집이 합쳐져서 대폿집이 되었고, 뒤에 오는 ''을 세게 소리 내 [대ː포찝]이라고 해야 합니다
.


4. '
니나노'는 경기 민요 늴리리야와 태평가 따위의 후렴구에 나오는 소리였는데, 흔히 술집에서 젓가락 장단을 치면서 부르는 노랫가락이나 대중가요를 이름씨(명사)로 니나노라고 합니다
.
'
니나노'는 술집에서 시중드는 여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로도 쓰는데
,
흔히, 한복을 입은 접대부의 시중을 받으면서 젓가락 장단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며 술을 마실 수 있는 집을 '니나놋집'이라고 합니다
.
(
사전에 오른 뜻은 아닙니다. 오랜(?) 경험에 따라 정의한 겁니다. 저 말고 남들이
...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기여가 아니라 이바지입니다
]

오늘은 농촌진흥청 종합보고회 날입니다
.
올 한 해 우리나라 농업을 발전시키고자 열심히 뛰고 밀었던 일들을 되돌아보는 자리죠
.
여러 도에 있는 도 농업기술원과 시군에 있는 농업기술센터 직원들까지 다 모입니다
.
수천 명이 모여 올 한해를 되돌아보고, 일을 잘한 사람에게는 상도 줍니다
.
저는 상을 하나도 못 받지만
,
제 손으로 준비한 상이 수십 개네요
. ^^*

상에 보면 거의 다

'...
에 기여한 공이 크므로...'라는 월(문장)이 들어갑니다.

여기에 쓴

'
기여'는 일본말 찌꺼기입니다.
일본에서는 寄與라고 쓰고 きよ[키요]라고 읽습니다
.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 말을 다듬은 낱말이 올라있지 않지만
,
'
행정순화용어'에는 들어있습니다
.
'
이바지'로 바꿔놨죠
.
기여보다는 이바지가 더 낫지 않아요
?

'
행정순화용어'는 행자부와 문화관광부에서 일본말 찌꺼기를 걸러내고자 다듬은 낱말입니다
.
당연히 행정부서에서는 기여라고 쓰면 안 되고 이바지라고 써야 합니다
.
그러나 그렇게 쓰지 않는다고 해서 누가 잡아가는 것이 아니라서
...
그렇다고 월급을 깎는 것도 아니고
...

이번 농촌진흥청 종합보고회 때 주는 상 가운데

제가 만드는 상장에 들어있는 '기여'는 모조리 이바지로 바꿔버렸습니다.
'...
에 기여한 공이 크므로...' '...에 이바지한 공이 크므로...'로 바꾼 거죠
.

그나저나
,
저는 언제나 '...에 이바지한 공이 크므로...'하는 상장 위에 제 이름을 올려 보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2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52
1476 [2013/06/14] 우리말) 자장면과 짜장면 머니북 2013-06-14 3498
1475 [2015/04/07] 우리말) 본디와 본시 머니북 2015-04-07 3498
1474 [2007/12/14] 우리말) 텅 빈 마당에서 돌쇠가 비질을 하고 있네요. ^^* id: moneyplan 2007-12-14 3499
1473 [2010/06/25] 우리말) 잊힌 전쟁과 잊혀진 전쟁 moneybook 2010-06-25 3500
1472 [2014/03/05] 우리말) 잊다와 잃다(2) 머니북 2014-03-06 3500
1471 [2013/10/21] 우리말) 돌부리 머니북 2013-10-21 3502
1470 [2008/12/23] 우리말) 호질기의(護疾忌醫) id: moneyplan 2008-12-23 3503
1469 [2017/02/16] 우리말) 어섯 머니북 2017-02-16 3504
1468 [2017/10/17] 우리말) 자글거리다 머니북 2017-11-06 3504
1467 [2008/01/22] 우리말) 마다하다와 마다다 id: moneyplan 2008-01-22 3505
1466 [2015/06/10] 우리말) 살품 머니북 2015-06-10 3505
1465 [2007/11/10] 우리말) 베스트 셀러 id: moneyplan 2007-11-12 3506
1464 [2007/11/26] 우리말) 드러눕다 id: moneyplan 2007-11-26 3507
1463 [2008/05/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5-10 3507
1462 [2009/09/08]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9-09 3508
1461 [2010/08/10] 우리말) 끄물끄물과 들큰거리다 moneybook 2010-08-10 3508
1460 [2013/12/03] 우리말) 채신머리 머니북 2013-12-04 3508
1459 [2009/11/26] 우리말) 결혼과 혼인 id: moneyplan 2009-11-26 3509
1458 [2013/10/29] 우리말) 싸다와 쌓다 머니북 2013-10-29 3509
1457 [2010/10/08] 우리말) 어제 받은 편지 moneybook 2010-10-08 3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