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1/14] 우리말) 막걸리

조회 수 3554 추천 수 102 2010.01.14 10:48:42

막걸리는 '막 걸렀다'고 해서 붙인 순 우리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요즘은 곡차로 막걸리를 많이들 드시네요
.
저도 오늘 저녁 한잔할 때 막걸리를 마셔볼 생각입니다
. ^^*

1.
막걸리는 '막 걸렀다'고 해서 붙인 순 우리말입니다
.

2.
여기에 올해 나온 햅쌀로 만든 막걸리라고 해서 '막걸리 누보'라고 하는 것을 봤습니다
.
프랑스말인 누보(Nouveau) `새롭다`는 뜻입니다
.
그래서 `보졸레 누보`는 프랑스 보졸레 지방에서 그해 수확한 포도로 만든 포도주라는 뜻이죠
.
이를 본떠 `막걸리 누보`라고 이름 붙이고 그해 수확한 우리 쌀로 만든 막걸리를 말하는데
,
이렇게 보졸레 누보에 빗대어 말하는 것은 소비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그렇게 만들었겠지만 왠지 꺼림칙합니다
.
`
막걸리 누보`가 인터넷에서 떠돌다 상표로 등록되고 사전에까지 오르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


3.
대포는 큰 술잔을 이릅니다. 막걸리는 흔히 큰 술잔에 따라 마시기에 술을 별 안주 없이 큰 그릇에 따라 마시는 집을 대폿집이라고 합니다
.
대포와 집이 합쳐져서 대폿집이 되었고, 뒤에 오는 ''을 세게 소리 내 [대ː포찝]이라고 해야 합니다
.


4. '
니나노'는 경기 민요 늴리리야와 태평가 따위의 후렴구에 나오는 소리였는데, 흔히 술집에서 젓가락 장단을 치면서 부르는 노랫가락이나 대중가요를 이름씨(명사)로 니나노라고 합니다
.
'
니나노'는 술집에서 시중드는 여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로도 쓰는데
,
흔히, 한복을 입은 접대부의 시중을 받으면서 젓가락 장단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며 술을 마실 수 있는 집을 '니나놋집'이라고 합니다
.
(
사전에 오른 뜻은 아닙니다. 오랜(?) 경험에 따라 정의한 겁니다. 저 말고 남들이
...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기여가 아니라 이바지입니다
]

오늘은 농촌진흥청 종합보고회 날입니다
.
올 한 해 우리나라 농업을 발전시키고자 열심히 뛰고 밀었던 일들을 되돌아보는 자리죠
.
여러 도에 있는 도 농업기술원과 시군에 있는 농업기술센터 직원들까지 다 모입니다
.
수천 명이 모여 올 한해를 되돌아보고, 일을 잘한 사람에게는 상도 줍니다
.
저는 상을 하나도 못 받지만
,
제 손으로 준비한 상이 수십 개네요
. ^^*

상에 보면 거의 다

'...
에 기여한 공이 크므로...'라는 월(문장)이 들어갑니다.

여기에 쓴

'
기여'는 일본말 찌꺼기입니다.
일본에서는 寄與라고 쓰고 きよ[키요]라고 읽습니다
.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이 말을 다듬은 낱말이 올라있지 않지만
,
'
행정순화용어'에는 들어있습니다
.
'
이바지'로 바꿔놨죠
.
기여보다는 이바지가 더 낫지 않아요
?

'
행정순화용어'는 행자부와 문화관광부에서 일본말 찌꺼기를 걸러내고자 다듬은 낱말입니다
.
당연히 행정부서에서는 기여라고 쓰면 안 되고 이바지라고 써야 합니다
.
그러나 그렇게 쓰지 않는다고 해서 누가 잡아가는 것이 아니라서
...
그렇다고 월급을 깎는 것도 아니고
...

이번 농촌진흥청 종합보고회 때 주는 상 가운데

제가 만드는 상장에 들어있는 '기여'는 모조리 이바지로 바꿔버렸습니다.
'...
에 기여한 공이 크므로...' '...에 이바지한 공이 크므로...'로 바꾼 거죠
.

그나저나
,
저는 언제나 '...에 이바지한 공이 크므로...'하는 상장 위에 제 이름을 올려 보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2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72
936 [2013/08/12] 우리말) 초다짐과 입맷상 머니북 2013-08-12 3732
935 [2016/07/11] 우리말) 겨땀 -> 곁땀 머니북 2016-07-11 3732
934 [2007/04/26] 우리말) 싱싱하다 id: moneyplan 2007-04-26 3733
933 [2014/06/12] 우리말) 빠개다와 뽀개다 머니북 2014-06-12 3733
932 [2017/09/01] 우리말) 머드러기와 부스러기 머니북 2017-09-07 3733
931 [2007/11/30] 우리말) 반거들충이 id: moneyplan 2007-11-30 3735
930 [2008/10/20] 우리말) 하고하다와 허구하다 id: moneyplan 2008-10-20 3735
929 [2015/07/22] 우리말) 치덕치덕 머니북 2015-07-22 3735
928 [2014/01/27] 우리말) 엔간하다와 웬만하다 머니북 2014-01-28 3736
927 [2011/12/20] 우리말) 육감 머니북 2011-12-21 3737
926 [2017/05/11] 우리말) 협치 머니북 2017-05-11 3737
925 [2009/02/02] 우리말) 개차반 id: moneyplan 2009-02-02 3738
924 [2007/06/25] 우리말) 제 아들이 ㄴㄱ네요 id: moneyplan 2007-06-25 3739
923 [2011/05/31] 우리말) 삼사일과 사날 moneybook 2011-05-31 3739
922 [2012/09/05] 우리말) 돈 이야기 머니북 2012-09-05 3739
921 [2008/09/02] 우리말) 햇빛과 햇볕 id: moneyplan 2008-09-02 3740
920 [2008/09/25] 우리말) 비비대다와 뱌비대다 id: moneyplan 2008-09-25 3740
919 [2009/12/08] 우리말) 어리숙과 어수룩 id: moneyplan 2009-12-08 3740
918 [2012/12/31] 우리말) 운김 머니북 2013-01-02 3740
917 [2008/08/25] 우리말) 있습니다와 있음 id: moneyplan 2008-08-25 3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