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2/02] 우리말) 쌍동이와 쌍둥이

조회 수 3108 추천 수 107 2010.02.02 11:41:09

그러므로 어원을 의식해서 '쌍동(雙童), 귀동(貴童), 막동(-), 선동(先童)'처럼 쓰는 것은 틀립니다.
모두 '쌍둥이, 귀둥이, 막둥이, 선둥이'로 적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척 춥네요. 며칠 더 추울 거라고 합니다.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

어제 오후에 MBC라디오 싱글벌글쇼에서 우리나라 지도를 빗대어 "토끼꼬리"라고 했습니다
.
다행히 20분쯤 있다가 '호랑이 꼬리'로 바로잡았습니다
.
고맙습니다
.


어제 편지에서 글씨가 안 보이는 게 있었습니다
.
'
느ㅈ'(느 아래 ㅈ 받침)인데요. 편지 보낼 때는 보였는데, 막상 편지를 받아서 열어보니 안 보이네요
.
며칠 전에 보낸 여ㄷ(여 아래 ㄷ 받침)아홉도 그런 글자입니다
.
왜 안보이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요즘 완성형 한글을 쓰는 것도아닐텐데
...

어제 편지를 보시고
,
세쌍둥이가 아니라 세둥이라고 말씀하신 분이 계셨습니다
.
쌍둥이가 2명을 뜻하므로 세쌍둥이라고 하면 6명이 된다는 말씀이셨습니다
.
표준국어대사전에 '세쌍둥이'가 올라 있고 뜻은 "삼생아"로 풀어져 있습니다
.
세둥이는 멋진 말이긴 한데 아직 사전에 오르지 못했습니다
.

쌍둥이가 쌍동(雙童)이에서 온 말이 아닌가요
?
다둥이는 다동(多童)이에서
???
라는 댓글을 다신 분도 계셨습니다
.

'-
둥이'는 뿌리로 보면 '' '-'가 붙은 '-동이'가 맞습니다
.
그러나 지금은 그 어원에서 멀어져 '-동이'가 하나의 접미사로 굳어져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
그래서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둥이'를 표준어로 삼았습니다
.
그러므로 어원을 의식해서 '쌍동(雙童), 귀동(貴童), 막동(-), 선동(先童)'처럼 쓰는 것은 틀립니다
.
모두 '쌍둥이, 귀둥이, 막둥이, 선둥이'로 적어야 합니다
.

다둥이도 그런 뜻일 겁니다. 다동이가 다둥이로 된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빼빼로데이? 농업인의 날
!]

오늘은 토요일이라서 편지를 보내지 않으려다

하도 열통이 터져서 한 장 씁니다.
우리말 이야기는 아닙니다
.

오늘이 '빼빼로 데이'입니다
.
빼빼로 데이는 1994년 부산에 사는 한 여중생이 1 숫자가 네 번 겹치는 11 11일에

친구끼리 우정을 전하며 '키 크고 날씬하게 예뻐지자!' 라는 뜻으로 빼빼로를 주고받던 것이 연유가 되어

10-20
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퍼지고 있는 우리나라만의 신종기념일입니다
.
덕분에 제과회사만 살판났습니다
.
제과업체의 적극적인 홍보작전과 맞아떨어져 빼빼로는 매년 11월이면 다른 달보다 70% 나 더 나간다고 합니다
.
왜 우리가 그런 상술에 놀아나야 하죠
?

한편
,
토종 컴퓨터 보안업체인 안철수연구소는 달과 날을 표시하는 숫자가 모두 1 11 11일을

'
가래떡 날'로 정하여 모든 직원들이 가래떡을 나눠 먹으며 화합을 다지는 행사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 쌀로 만든 따끈따끈한 가래떡과 조청이

초콜릿 과자를 나눠 먹는 것보다 한국적일 것 같아 이 행사를 기획했다고 하는데 얼마나 좋아요
.

왜 좋은 우리 것을 버리고 남의 것을 가져오는지
...
그런 것으로 죄 없는 연인과 젊은이들의 등골을 빼먹을 생각만 하는지
...
이제는 곰곰이 생각해 볼 때입니다. 아니 벌써 그럴 때가 넘었습니다
.
따뜻한 밥 먹고 살면서 왜 우리는 그런 썩어빠진 정신을 못 버리죠
?

뉴스에서 들으니

며칠 전 11 8일은 '브라 데이'라더군요.
아니, 기자양반님들
,
요즘 기삿거리가 그렇게도 없나요
?
11 8일을 '브라 데이'라고 뉴스에서까지 보도를 해야 했었나요
?
그게 살아있는 양심이라는 언론에서 할 일입니까
?
차라리 보도하지 않았으면 모르고 넘어가는 사람이 더 많았을 겁니다
.
아무리 자극적인 것을 좋아하는 언론이라지만 가릴 것은 가리고 지킬 것은 지켜야 합니다
.

글을 쓰다 보니 머리꼭지까지 뜨거워지네요
.
더 쓰면 실수할 것 같아서 여기서 멈추겠습니다
.

오늘은 '농업인의 날'입니다
.
우리가 먹는 모든 것은 농업에서 나온 것입니다
.
이렇게 고생하는 농업인을 생각하는 날이 농업인의 날입니다
.
오늘은 '빼빼로 데이'가 아니라 '농업인의 날'입니다
.

보태기
>
'
농업인 날'보다는 '농업인 날'이라고 하는 것이 우리말에 더 어울립니다
.
그러나 여기서는 많은 단체에서 계속해서 쓰고 있는 말을 존중해서 '농업인의 날'로 썼습니다
.
'
한글날'이지 '한글의 날'이 아니잖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82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386
2356 [2015/05/08] 우리말) 한글 특징 머니북 2015-05-08 3091
2355 [2015/09/09] 우리말) 여탐과 예탐 머니북 2015-09-11 3093
2354 [2014/12/04] 우리말) 도 긴 개 긴/도찐개찐 머니북 2014-12-04 3094
2353 [2008/05/29] 우리말) 어겹되다 id: moneyplan 2008-06-03 3095
2352 [2016/02/18] 우리말) 핑크빛과 핑큿빛 머니북 2016-02-19 3096
2351 [2017/02/14] 우리말) 자글거리다 머니북 2017-02-14 3096
2350 [2008/06/17] 우리말) 엉터리 자막 두 개 id: moneyplan 2008-06-17 3097
2349 [2016/12/28] 우리말) 올 한 해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를 모았습니다. 머니북 2016-12-29 3097
2348 [2008/07/09] 우리말) 엉터리 말과 자막 id: moneyplan 2008-07-09 3098
2347 [2010/06/10] 우리말) 책장사와 책장수 moneybook 2010-06-10 3099
2346 [2014/04/08] 우리말) 구름다리와 섬다리 머니북 2014-04-08 3099
2345 [2008/05/14] 우리말) 저승꽃과 검버섯 id: moneyplan 2008-05-15 3100
2344 [2010/09/10] 우리말) 가르치다 moneybook 2010-09-10 3100
2343 [2009/03/2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3-25 3101
2342 [2008/07/30] 우리말) 에너지를 아끼는 데 함께하고자... id: moneyplan 2008-07-31 3102
2341 [2011/01/21] 우리말) 늦장과 늑장 moneybook 2011-01-21 3102
2340 [2017/03/15] 우리말) 꽃보라 머니북 2017-03-15 3103
2339 [2008/07/02] 우리말) 하이브리드 id: moneyplan 2008-07-02 3107
2338 [2012/04/12] 우리말) 농업 속 우리말 머니북 2012-04-12 3107
2337 [2012/05/23] 우리말) 덕분에와 때문에 머니북 2012-05-23 3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