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2/03] 우리말) 데 띄어쓰기

조회 수 3299 추천 수 113 2010.02.03 12:00:21

''는 어미로 쓰일 때가 있고 의존명사로 쓰일 때가 있습니다.
당연히 어미이면 붙여 쓰고 의존명사이면 띄어 씁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치 고도원의 아침편지에 보니

밥을 먹을 때
'
무엇을 먹느냐'보다 '누구와 먹느냐'가 중요하다고 하네요
.
'
편안한 마음'이라는 토양이 있어야 영양분도 효과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는 뜻이랍니다
.
그러면서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지만 그 마음의 상처를 낫게 하는 것도 역시 사람밖에 없다고 하네요.

맞습니다
.
사람이 가장 소중하다고 봅니다
.

오늘은 우리말편지를 준비하지 못했습니다
.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합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데’ 띄어쓰기
]

오늘은 오랜만에 띄어쓰기를 좀 살펴볼게요
.
오늘은 '' 띄어쓰기 입니다
.
글을 쓰면서 ''를 쓸 때 띄어 써야 할지 붙여 써야 할지 헷갈리시죠
?

띄어쓰기 설명드리면서 항상 하는 말씀이지만
,
우리말은 단어별로 띄어 씁니다. 따라서 사전에 올라있는 한 단어라면 띄어 쓰고 그렇지 않으면 붙여 씁니다
.
아홉 가지 품사도 단어로 보고 띄어 쓰는데 조사만 붙여 씁니다
.
이것이 띄어쓰기의 원칙입니다
.
그래서 '우리나라'는 사전에 올라있으므로 붙여 쓰고
,
'
우리집'은 사전에 올라있지 않으므로 '우리 집'처럼 띄어 써야 합니다
.

이제 ''를 알아보죠
.
'
'는 어미로 쓰일 때가 있고 의존명사로 쓰일 때가 있습니다
.
당연히 어미이면 붙여 쓰고 의존명사이면 띄어 씁니다
.
'
집에 가는데 눈이 왔다.'에서 '-ㄴ데'는 어미이고
,
'
그 책을 다 읽는 데 삼 일이 걸렸다.'에서 ''는 의존명사입니다
.
그래서 '가는데'는 붙여 쓰고 '읽는 데'는 띄어 쓴 겁니다
.

그래도 좀 헷갈리시죠
?
아주 쉬운 방법이 있습니다
.
'
' ''이나 '장소', ''이나 '', '경우'의 뜻을 나타내면

그때의 ''는 의존명사이므로 띄어 쓰고
,

'-
ㄴ데, -는데, -은데, -던데' 꼴로 쓰여

'
상황을 미리 말하거나 과거를 회상'하는 뜻일 때는 어미이므로 붙여 쓰시면 됩니다.

응용을 하나 해 볼까요
?
'
올데갈데없는사람'을 어떻게 띄어 쓸까요
?

올 곳(장소) 갈 곳의 뜻이므로
,
'
올 데 갈 데 없는 사람'이라고 쓰셔야 맞춤법에 맞습니다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1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52
2674 [2013/10/28] 우리말) 틀리기 쉬운 높임말 머니북 2013-10-28 424537
2673 [2014/01/10] 우리말) 사물 존대 동영상 머니북 2014-01-10 144139
2672 [2007/02/22]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몇 개 [8] id: moneyplan 2007-02-22 99956
2671 [2006/12/19] 우리말) 봇물을 이루다? id: moneyplan 2006-12-19 55952
2670 [2010/01/12] 우리말) 한판과 한 판 id: moneyplan 2010-01-12 52352
2669 [2011/12/15] 우리말) 따 논 당상 --> 떼어 놓은 당상 머니북 2011-12-16 20435
2668 [2011/11/25] 우리말) 십여 명 머니북 2011-11-25 19735
2667 [2008/03/07] 우리말) 발췌, 발취, 발초 id: moneyplan 2008-03-07 18329
2666 [2012/08/08] 우리말) 석패 머니북 2012-08-08 18197
2665 [2011/11/29] 우리말) 재시합과 재경기 머니북 2011-11-29 17922
2664 [2011/12/08] 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2-08 17485
2663 [2011/12/19] 우리말) 종군위안부 머니북 2011-12-19 17204
2662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6359
2661 [2006/08/18] 우리말) '당분간'이 아니라 '얼마 동안' id: moneyplan 2006-08-18 16345
2660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800
2659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5321
2658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4226
2657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4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