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2/04] 우리말) 눈이 내렸네요

조회 수 3245 추천 수 129 2010.02.04 18:31:08

보도독과 뽀도독에는
쌓인 눈 따위를 약간 세게 밟을 때 야무지게 나는 소리라는 뜻이 없고
,
보드득과 뽀드득에만

쌓인 눈 따위를 약간 세게 밟을 때 야무지게 나는 소리라는 뜻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침에 눈이 왔네요. 입춘으로 그냥 가기가 서운했나 봅니다
.

1. '
숫눈'이라는 멋진 말이 있습니다
.
'
눈이 와서 쌓인 상태 그대로의 깨끗한 눈.'을 뜻합니다
.
새벽에 나가보면 눈이 소복이 쌓여 있죠? 아무도 밟지 않은 바로 그런 눈을 '숫눈'이라고 합니다
.
아시는 것처럼 '' '더럽혀지지 않아 깨끗한'이라는 뜻을 더하는 앞가지(접두사)입니다
.
숫처녀, 숫총각...에 다 그런 뜻이 있습니다
.

2.
제가 일터에 나올 때 아내가 애들 손잡고 차 있는 데까지 같이 나옵니다
.
길을 걸으며 아내가 "뽀도독 뽀도독 소리가 나네!"라고 했더니
,
옆에 있던 딸아이가 "엄다, 뽀도독이 아니라 뽀드득이잔아요!"라고 말합니다. 오늘 아침에
... ^^*
보드득과 보도독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
모두

단단하고 질기거나 반드러운 물건을 야무지게 문지르거나 비빌 때 나는 소리입니다
.
이보다 센 느낌의 낱말이 뽀드득과 뽀도독입니다
.
사전에 오른 두 낱말의 다른 점은

보도독과 뽀도독에는
쌓인 눈 따위를 약간 세게 밟을 때 야무지게 나는 소리라는 뜻이 없고
,
보드득과 뽀드득에만

쌓인 눈 따위를 약간 세게 밟을 때 야무지게 나는 소리라는 뜻이 있습니다
.
,
뽀드득뽀드득, 뽀도독뽀도독처럼 한 낱말로 써도 되는데
,
뽀드득뽀드득에는 눈을 밟았을 때 나는 소리라는 뜻이 없습니다
.
말장난 같지만 사전에는 그렇습니다
.
그리고 딸내미 말이 맞았습니다
. ^^*

3. '
빠대다'는 말이 있습니다
.
"
아무 할 일 없이 이리저리 쏘다니다."라는 뜻으로
,
일정한 직업 없이 허구한 날 빠대는 것도 못할 노릇이다처럼 씁니다
.
내린 눈을 빠대고 다니면, 나중에 눈치우기 힘듭니다. 그냥 보기만 하자고요
.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한무릎공부
]

집에 가고 싶은데... 지금 1시가 다 되어가는데 아직도
...

다가오는 16일이 수능시험 보는 날이죠
?
수능시험 보는 날만 되면 어찌 그리도 잘 알고 날씨가 추워지는지
...

오늘은 수능시험 보시는 분들 시험 잘 치르시라고 공부와 관련된 우리말 하나 소개해 드릴게요
.
바로 '한무릎공부'입니다
.

'
한무릎공부'

'
무릎을 꿇고 정신을 집중하여 한동안 열심히 하는 공부'를 뜻합니다.

재밌는 말이죠
?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지금까지 준비한 것을 잘 펼쳐 보세요
.
땀 흘린 만큼 성과가 나올 겁니다
.
너무 겁먹지도 마세요. 대학이 인생의 목표는 아닙니다. 농대 나온 저도 이렇게 잘 살고 있잖아요
. ^^*

오늘은 짧게 쓰겠습니다
.
할일이 좀 있어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0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48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703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719
267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759
2673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771
2672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777
2671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802
2670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803
2669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812
2668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814
2667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816
2666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827
2665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830
2664 [2015/02/02] 우리말) 되갚을 것은 없다 머니북 2015-02-02 2840
2663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840
2662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847
2661 [2016/07/27] 우리말) 볏과 벼슬 머니북 2016-08-10 2848
2660 [2016/07/04] 우리말) 욱여넣다 머니북 2016-07-06 2849
2659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850
2658 [2013/11/22]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은? 머니북 2013-11-22 2853
2657 [2015/04/27] 우리말) 춘향과 춘양 머니북 2015-04-27 2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