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05] 우리말) 난이도가 높은 => 꽤 까다로운

조회 수 3173 추천 수 120 2010.03.05 14:07:35

굳이 쓰시려면 '제법 난도가 높다'가 맞고,
더 쉽게
,
'
꽤 까다로운'이라고 쓰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침부터 정신이 없네요
.
이제야 자리에 앉았습니다
.


오늘 아침 7:24 KBS뉴스에서 "제법 난이도가 높다"는 말을 했습니다
.
피겨스케이팅 이야기를 하다가 어린 친구들이 피겨에 관심이 많고 나이는 어리지만 제법 어려운 기술도 해 낸다는 말이었습니다
.


난이도(難易度) '난도' '이도'가 합쳐진 낱말입니다
.
난도가 어려움의 정도고, 이도는 쉬운 정도니

난이도는 '어려움과 쉬움의 정도'입니다.
그래서

'
난이도가 높다'
쉽고 어려운 정도가 높다는 말이 됩니다. 말이 안 되죠.
굳이 쓰시려면 '제법 난도가 높다'가 맞고
,
더 쉽게
,
'
꽤 까다로운'이라고 쓰시면 됩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가을이 오는 속도
]

어제 인터넷에서 보니

올해는 단풍이 별로 곱지 않을거라고 하네요.
그래도 가을은 단풍 멋인데
...
여러분, 혹시 가을이 오는 속도가 어느 정도 빠른지 아세요
?

오늘은 단풍으로 가을이 오는 속도를 좀 따져보죠
.

속도는 거리를 시간으로 나누면 됩니다
.
예를 들면, 제주도에서 서울까지의 직선거리는 대략 440km 정도 되고
,
서울에서 시작된 단풍이 제주도까지 가는데 약 20일이 걸리므로
,
440km
20일로 나누면 22km/일이 나옵니다
.
곧 하루에 약 22km 정도씩 아래쪽으로 움직인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이를 시속으로 바꿔보면, 하루가 24시간이므로 22km 24로 나누면 됩니다
.
0.917km/h 정도가 나오네요
.

보통 다 큰 사람의 걷는 속도가 한 시간에 약 4km 정도 되는데
,
가을은 한 시간에 채 1km를 못 가네요
.
따라서, 가을이 움직이는 속도는 어른이 걷는 속도의 1/4 정도 되는 겁니다
.
이런 속도는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어린애가 아장아장 걷는 속도와 비슷합니다
.

제 아들이 지금 15개월입니다
.
가을이 움직이는 속도인 0.917km/h

제 아들이 걷는 속도와 비슷할 겁니다. ^^*
다만, 제 아들은 서울에서 제주도까지 계속해서 걷지는 못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6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03
2376 [2014/10/13] 우리말) 왠/웬 머니북 2014-10-13 4804
2375 [2017/11/01] 우리말) 비명과 환호성 머니북 2017-11-06 4800
2374 [2015/06/05] 우리말) 먼지잼/애급과 출애굽기 머니북 2015-06-05 4798
2373 [2007/02/01] 우리말) 명조 --> 바탕, 고딕 --> 돋움 id: moneyplan 2007-02-01 4793
2372 [2011/11/30] 우리말) 두째와 둘째 머니북 2011-11-30 4788
2371 [2013/11/14] 우리말) 날짜 헤아리기 머니북 2013-11-14 4779
2370 [2007/04/13] 우리말) 씨 띄어쓰기 id: moneyplan 2007-04-13 4768
2369 [2013/03/1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3-14 4761
2368 [2011/06/24] 우리말) 휘달리다 머니북 2011-06-24 4761
2367 [2011/05/18] 우리말) 치근대다와 지분거리다 moneybook 2011-05-18 4760
2366 [2008/02/22] 우리말) 득돌같다와 득달같다 id: moneyplan 2008-02-22 4754
2365 [2006/11/29] 우리말) '메모지'가 아니라 '적바림'입니다 id: moneyplan 2006-11-30 4747
2364 [2011/05/19] 우리말) 꽃 moneybook 2011-05-19 4744
2363 [2015/11/25] 우리말) 치르다/치루다 머니북 2015-11-25 4738
2362 [2006/12/26] 우리말) '저축하다'는 뜻의 순우리말은 '여투다'입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736
2361 [2011/09/02] 우리말) 간질이다와 간지럽히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2 4729
2360 [2007/01/05] 우리말) 황당/당황/깜짝 놀라다 id: moneyplan 2007-01-05 4721
2359 [2007/01/19] 우리말) 외교부가 하는 꼬라지 하고는... id: moneyplan 2007-01-19 4702
2358 [2009/01/16] 우리말) 한올지다 id: moneyplan 2009-01-16 4691
2357 [2007/08/23] 우리말) 갖바치 내일 모레 id: moneyplan 2007-08-23 4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