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05] 우리말) 난이도가 높은 => 꽤 까다로운

조회 수 3237 추천 수 120 2010.03.05 14:07:35

굳이 쓰시려면 '제법 난도가 높다'가 맞고,
더 쉽게
,
'
꽤 까다로운'이라고 쓰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아침부터 정신이 없네요
.
이제야 자리에 앉았습니다
.


오늘 아침 7:24 KBS뉴스에서 "제법 난이도가 높다"는 말을 했습니다
.
피겨스케이팅 이야기를 하다가 어린 친구들이 피겨에 관심이 많고 나이는 어리지만 제법 어려운 기술도 해 낸다는 말이었습니다
.


난이도(難易度) '난도' '이도'가 합쳐진 낱말입니다
.
난도가 어려움의 정도고, 이도는 쉬운 정도니

난이도는 '어려움과 쉬움의 정도'입니다.
그래서

'
난이도가 높다'
쉽고 어려운 정도가 높다는 말이 됩니다. 말이 안 되죠.
굳이 쓰시려면 '제법 난도가 높다'가 맞고
,
더 쉽게
,
'
꽤 까다로운'이라고 쓰시면 됩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가을이 오는 속도
]

어제 인터넷에서 보니

올해는 단풍이 별로 곱지 않을거라고 하네요.
그래도 가을은 단풍 멋인데
...
여러분, 혹시 가을이 오는 속도가 어느 정도 빠른지 아세요
?

오늘은 단풍으로 가을이 오는 속도를 좀 따져보죠
.

속도는 거리를 시간으로 나누면 됩니다
.
예를 들면, 제주도에서 서울까지의 직선거리는 대략 440km 정도 되고
,
서울에서 시작된 단풍이 제주도까지 가는데 약 20일이 걸리므로
,
440km
20일로 나누면 22km/일이 나옵니다
.
곧 하루에 약 22km 정도씩 아래쪽으로 움직인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이를 시속으로 바꿔보면, 하루가 24시간이므로 22km 24로 나누면 됩니다
.
0.917km/h 정도가 나오네요
.

보통 다 큰 사람의 걷는 속도가 한 시간에 약 4km 정도 되는데
,
가을은 한 시간에 채 1km를 못 가네요
.
따라서, 가을이 움직이는 속도는 어른이 걷는 속도의 1/4 정도 되는 겁니다
.
이런 속도는 이제 막 걸음마를 시작한 어린애가 아장아장 걷는 속도와 비슷합니다
.

제 아들이 지금 15개월입니다
.
가을이 움직이는 속도인 0.917km/h

제 아들이 걷는 속도와 비슷할 겁니다. ^^*
다만, 제 아들은 서울에서 제주도까지 계속해서 걷지는 못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42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945
2316 [2007/01/02] 우리말) 담배를 꼭 끊어보겠다는 큰 보짱이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1-02 4572
2315 [2006/12/23]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책으로 나왔습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572
2314 [2007/02/05] 우리말) 충남대학교는 녹록하지 않습니다 id: moneyplan 2007-02-05 4564
2313 [2011/05/30] 우리말) '님'의 의존명사와 접사 쓰임 moneybook 2011-05-30 4557
2312 [2015/11/18] 우리말) 갈갈이와 갈가리 머니북 2015-11-18 4547
2311 [2006/10/12] 우리말) 굽실대다 id: moneyplan 2006-10-12 4547
2310 [2011/11/03] 우리말) 찌뿌둥과 찌뿌듯 머니북 2011-11-04 4546
2309 [2007/03/28] 우리말) 나리가 이울어갑니다 id: moneyplan 2007-03-28 4546
2308 [2011/11/08] 우리말) 한때와 한 때 머니북 2011-11-08 4545
2307 [2014/01/03] 우리말) 의외로... 머니북 2014-01-03 4544
2306 [2013/02/2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진돗개 [1] 머니북 2013-02-26 4543
2305 [2007/01/16] 우리말) 낫잡다/낮잡다 id: moneyplan 2007-01-16 4542
2304 [2016/04/05] 우리말) 대로/데로 머니북 2016-04-05 4541
2303 [2017/05/15] 우리말) 영부인과 여사 머니북 2017-05-15 4538
2302 [2014/07/30] 우리말) 발맘발맘 머니북 2014-07-30 4536
2301 [2010/07/22] 우리말) '내 힘들다'를 거꾸로 하면? moneybook 2010-07-22 4536
2300 [2007/01/22] 우리말) 쉼표와 마침표 id: moneyplan 2007-01-22 4535
2299 [2014/11/05] 우리말) 드레스 코드 머니북 2014-11-06 4534
2298 [2010/11/18] 우리말) 마루 moneybook 2010-11-18 4534
2297 [2007/02/07] 우리말) 애호박/늙은 호박 id: moneyplan 2007-02-07 4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