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12] 우리말) 오지와 두메산골

조회 수 4138 추천 수 93 2010.03.12 09:40:38

이 오지는 일본말입니다.
奧地(おうち/おくち)라 쓰고 [오우찌/오꾸찌]라고 읽습니다
.
우리말로는 두메산골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무슨 일을 했는지 기억은 없지만 시간은 잘 가네요
.
벌써 주말입니다
. ^^*

저는 오늘 강원도 춘천에 출장갑니다
.
오랜만에 코에 봄바람을 넣을 수 있겠네요
. ^^*

지금도 강원도 하면 산골을 떠올리시는 분이 많습니다
.
아직도 후미진 오지를 생각하시는 거죠
.

1.
예전에는 물가나 산길이 휘어서 굽어진 곳을 '후미'라고 했다고 합니다
.
후미진 바위 벼랑에서 산삼을 발견했다처럼 쓰죠
.
이 낱말의 뜻이 넓어져 지금은 "아주 구석지고 으슥하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

2.
깊은 산속을 흔히 '오지'라고 합니다
.
이 오지는 일본말입니다
.
奧地(おうち/おくち)라 쓰고 [오우찌/오꾸찌]라고 읽습니다
.
우리말로는 두메산골이 좋을 것 같습니다
.
방송에서도 '오지'라는 낱말을 많이 쓰는데
,
우리 국어사전에도 오르지 않는 순수(?) 일본말입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엉기다와 엉키다
]

안녕하세요
.

어제 큰불이 났군요
.
잠깐의 실수로 40명이 넘는 생명을 빼앗아 버렸습니다
.
요즘 왜 이러는지 모르겠습니다
.

한 달 전, 태안 앞바다에 배에서 기름이 흘러나온 적이 있습니다
.
그 기름이 지금은 제주도까지 흘러갔다고 하네요
.
기름 덩어리가 바다에 떠다니다가 그물이나 해초 따위에 달라붙어 덩어리가 되고
,
그게 바다에 가라앉거나 밀려서 해안으로 오고
...
언제까지 사람들이 자연을 멍들게 할건지... 걱정입니다
.

오늘은 사람들의 부주의를 나무라며 엉기다와 엉키다를 알아보겠습니다
.
엉기다와 엉키다는 소리는 비슷하지만 쓰임은 다릅니다
.
엉기다는

"
점성이 있는 액체나 가루 따위가 한 덩어리가 되면서 굳어지다."는 뜻입니다.
기름 덩어리가 물과 한데 뭉쳐져서 굳어진 거죠
.

엉키다는

'
엉클어지다'의 준말로
실이나 줄, 물건 따위가 한데 뒤섞여 어지러워지다는 뜻으로

엉클어진 실타래, 엉클어진 머리카락을 가다듬다처럼 씁니다.

사람의 실수로 바다에 기름이 새 나오고
,
그 기름이 물과 엉겨붙어
,
자연의 섭리가 엉키고 말았네요
.
어쩌다...
...

고맙습니다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9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22
1916 [2016/12/05] 우리말) 'I·SEOUL·U'를 아시나요? 머니북 2016-12-05 3877
1915 [2011/09/20] 우리말) 떨어뜨리다와 떨구다 머니북 2011-09-20 3877
1914 [2015/09/08] 우리말) 리터 단위 머니북 2015-09-08 3875
1913 [2010/09/27] 우리말) 박수치다와 손뼉치다 moneybook 2010-09-27 3875
1912 [2008/08/22] 우리말) 용고뚜리와 철록어미 id: moneyplan 2008-08-22 3872
1911 [2009/09/16] 우리말) 목메다와 목매다 id: moneyplan 2009-09-16 3871
1910 [2007/03/31] 우리말) 편지 몇 통 id: moneyplan 2007-04-02 3871
1909 [2012/06/04] 우리말) 선글라스 머니북 2012-06-04 3867
1908 [2007/03/12] 우리말) 써비스 쎈타는 서비스 센터로 id: moneyplan 2007-03-12 3866
1907 [2017/04/07] 우리말) 만발 -> 활짝 머니북 2017-04-10 3864
1906 [2011/04/18] 우리말) 내 남편과 우리 남편 moneybook 2011-04-18 3863
1905 [2017/06/28] 우리말) 한판과 한 판 머니북 2017-06-29 3862
1904 [2007/06/21] 우리말) '몽골어'와 '몽골 어' id: moneyplan 2007-06-21 3862
1903 [2011/04/15] 우리말) 우리나라와 저희 나라 moneybook 2011-04-15 3861
1902 [2015/12/03] 우리말) 지레/지례 머니북 2015-12-07 3860
1901 [2007/07/02] 우리말) 선호가 아니라 좋아함입니다 id: moneyplan 2007-07-02 3858
1900 [2017/05/29] 우리말) 잘못 쓴 한국어 바로잡기 머니북 2017-05-31 3857
1899 [2007/10/29] 우리말) 비거스렁이 id: moneyplan 2007-10-29 3857
1898 [2008/10/12] 우리말) 기다와 아니다 id: moneyplan 2008-10-13 3854
1897 [2011/08/24] 우리말) 잘코사니 머니북 2011-08-24 38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