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17] 우리말) 찌푸리다

조회 수 3572 추천 수 113 2010.03.17 09:07:29

찌뿌리다는 전라도 쪽에서 쓰는 사투리이고,
표준말은 '찌푸리다'가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6:13 KBS2에서 '4Km'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
거리 단위인 킬로미터는 소문자로 쓴 'km'이 바릅니다
.

6:24
MBC에서 "오늘 아침 꽤 춥습니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
바른 말씀입니다
.
추위나 더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는 '많이'가 아니라 '상당히' ''를 써야 바릅니다
.


어제 보낸 편지에서

'
비록 누군가 나를 괴롭히는 등쌀에 삶이 버겁더라도 눈살 찌푸리지 말고 재밌게 삽시다. ^^*'라고 했더니,
찌뿌리다를 찌푸리다로 잘못 썼다고 지적하시는 분들이 많으시네요
.

찌뿌리다는 전라도 쪽에서 쓰는 사투리이고
,
표준말은 '찌푸리다'가 맞습니다
.

세상 살면서 눈살 찌푸릴 일이 없으면 좋겠습니다
.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해포이웃
]

안녕하세요
.

1
1일 발령나신 분들이 많으시네요
.
제 옆에서 같이 일했던 홍성식 박사도 원예연구소로 돌아갔습니다
.
이곳에 올 때는 같이 왔는데, 갈 때는 따로 가네요
.
어제저녁에 홍 박사님을 보내드리면서 노래방에서 노래 두 곡을 불렀습니다
.
제 마음을 담아 박상규 씨의 웃으면서 보내마를 불렀고
,
바로 이어 제 바람을 담아 무조건을 불렀습니다. 제가 부르면 무조건 달려와 달라고
...^^*

나이가 비슷해 참 편하게 지냈고 도움도 많이 받았는데 막상 원예연구소로 가신다니 조금 서운하네요
.
아무쪼록 원예연구소에서 연구 열심히 하셔서 좋은 성과 거두시길 빕니다
.

우리말에 '이웃사촌'이 있죠
?
"
서로 이웃에 살면서 정이 들어 사촌 형제나 다를 바 없이 가까운 이웃"이라는 뜻입니다
.
'
삼이웃'이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
"
이쪽저쪽의 가까운 이웃"이라는 뜻입니다
.

'
해포이웃'이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
'
해포' "한 해가 조금 넘는 동안"이라는 뜻이므로

'
해포이웃' "한 해가 조금 넘도록 같이 사는 이웃"이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과 한글학회에서 만든 우리말큰사전에는 '해포이웃'이 보이지 않네요.

마음이 같은 것을 '한속'이라고 합니다
.
, 한 가닥의 실처럼 매우 가깝고 친밀한 것을 두고 '한올지다'고 합니다
.

저와 홍성식 박사는

해포이웃으로 한올지게 지냈는데
,
저를 버리고 먼저 돌아가네요
. ^^*

고맙습니다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5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69
1336 [2017/03/10] 우리말) 교보문고 머니북 2017-03-10 3644
1335 [2008/11/03] 우리말) 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1-03 3645
1334 [2013/04/10] 우리말) 봄바람 머니북 2013-04-10 3645
1333 [2014/03/12] 우리말) 남의나이 머니북 2014-03-12 3645
1332 [2007/05/08] 우리말) 튼실, 걀걍걀걍, 발싸심 id: moneyplan 2007-05-08 3646
1331 [2008/05/02] 우리말) 몰강스럽다 id: moneyplan 2008-05-02 3646
1330 [2009/08/21] 우리말) 어연번듯하다 id: moneyplan 2009-08-21 3647
1329 [2014/09/22] 우리말) 야식과 밤참 머니북 2014-09-22 3647
1328 [2017/08/28] 우리말) 첫째와 첫 번째 머니북 2017-08-31 3647
1327 [2007/12/13] 우리말) 신 김치와 쉰 김치 id: moneyplan 2007-12-13 3648
1326 [2015/10/29] 우리말) 으레/의례 머니북 2015-10-29 3648
1325 [2017/01/16] 우리말) 굴지 머니북 2017-01-17 3648
1324 [2007/08/11] 우리말) 뉘 id: moneyplan 2007-08-13 3649
1323 [2009/09/15] 우리말) 독농가와 모범 농가 id: moneyplan 2009-09-15 3650
1322 [2012/07/0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2-07-04 3650
1321 [2007/08/29] 우리말) 건들건들 id: moneyplan 2007-08-29 3651
1320 [2008/07/08] 우리말) 모찌와 찹쌀떡 id: moneyplan 2008-07-08 3653
1319 [2009/08/28] 우리말) 신문 기사 연결 [1] id: moneyplan 2009-08-28 3653
1318 [2009/12/03] 우리말) 때마침 id: moneyplan 2009-12-03 3653
1317 [2010/02/19] 우리말) 커텐과 커튼 id: moneyplan 2010-02-19 3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