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24] 우리말) 괜스레

조회 수 3148 추천 수 91 2010.03.24 12:16:29

그럴 까닭이나 실속이 없는 것을 이르는 어찌씨(부사) '괜스레'입니다.
이를 '괜시리'로 쓰시는 분들이 많으시더군요
.
저도 괜시리라고 자주 쓰는데, 이는 아직 표준말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제 일터에서 승진자 발표가 있었습니다
.
발표를 앞두고 제가 얼마나 떨리던지요
.
저는 승진과 상관이 없는데도 괜스레 제가 떨렸습니다
. ^^*

그럴 까닭이나 실속이 없는 것을 이르는 어찌씨(부사) '괜스레'입니다
.
이를 '괜시리'로 쓰시는 분들이 많으시더군요
.
저도 괜시리라고 자주 쓰는데, 이는 아직 표준말이 아닙니다
.
괜스레가 맞고
,
어머니의 얼굴을 보자 괜스레 눈물이 났다, 승진자 발표를 앞두고 괜스레 떨렸다처럼 씁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감옥과 죄수
]

갑자기 눈이 많이 내리네요
.
보기에는 좋지만 벌써 집에 갈 일이 걱정이네요
.

오늘 아침 뉴스에서 기분 좋은 걸 봐서 소개할게요
.
아침7:34 KBS뉴스에서 일본의 공무원 이야기를 하면서
,
"...
이 자리를 빌려 ...합니다."라고 했습니다
.

흔히 '이 자리를 빌어...'라고 하는데
,
그게 아니라 '빌려'가 맞습니다
.
예전에 보낸 편지를 붙입니다
.

오늘은 어제 받은 답장을 소개하는 것으로 우리말 편지를 갈음할게요
.




'
감옥' '죄수'에 대하여



안녕하십니까
?
매일매일 아침마다 박사님의 편지를 눈이 빠지게 기다리는 사람입니다
.
고맙다는 인사말씀은 생략하고 본론만 말씀드리겠습니다
.

저는 대한민국 교정직공무원 즉, 현직 교도관입니다
.
우리가 쓰지말아야 할 말에는 왜놈들 말도 있지만
,
우리말 중에도 많이 있습니다. 다만, 우리가 모르고 있을뿐이지요
.

우선, ‘감옥’에 대하여
,
현재 우리나라에 감옥은 없습니다. ‘교도소’와 ‘구치소’만 있을 뿐입니다
.
옛날 일제 암흑의 시대에 감옥이 있었고, 광복 후에는 ‘형무소’로 바꾸었다가, 교정교화의 이념을 구현하기 위하여 다시 ‘교도소’로 바꾼 것입니다
.
‘교도소’나 ‘구치소’를 ‘감옥’이라고 하는 것은 ‘대한해협’을 ‘현해탄’이라 하는 것과 같습니다
.

다음, ‘죄수’에 대하여
,
‘죄수’의 사전적 의미에 대하여는 불만이 있을 수 없지만
,
교도소에 수용되어 있는 사람들을 일컬을 때에는 ‘수용자’라 함이 좋습니다
.
감옥에 있는 사람은 죄수고, 교도소에 있는 사람은 수용자인 것입니다
.
그 이유는, 앞에서 말씀드린 ‘감옥’을 ‘교도소’로 명칭을 바꾼 취지와 같습니다
.
물론, 죄를 짖고 벌을 받기 위하여 교도소에 들어왔지만, 교도소에 들어온 순간부터는 죄인이 아닙니다. 죄는 미워하지만 인간은 미워하지 말아야 하듯이 그들은 교정교화의 대상인 우리와 똑같은 한 인간일뿐입니다
.
[
수용자는 다시, 미결수용자(주로, 구치소에 수용)와 기결수용자(주로, 교도소에 수용. ‘수형자’라고도 함)로 구분합니다
]

이 편지는 박사님이 '죄수'라는 단어를 사용하신 것에 대하여 잘못이 있다고 드리는 말씀이 아니고, 우리가 흔히 쓰는 말이지만 앞으로는 고쳐 써야 할 말이라고 생각되기에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
건강하십시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52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116
1716 [2010/05/06] 우리말) 등살과 등쌀 id: moneyplan 2010-05-06 3669
1715 [2012/10/11] 우리말) 총각 머니북 2012-10-11 3668
1714 [2013/03/26] 우리말) 입찬말 머니북 2013-03-26 3667
1713 [2014/02/05] 우리말) 오뎅과 돈가스 머니북 2014-02-05 3667
1712 [2011/05/04] 우리말) 염전과 소금밭 moneybook 2011-05-04 3667
1711 [2007/01/24] 우리말) 햇빛, 햇볕, 햇살 id: moneyplan 2007-01-25 3667
1710 [2008/04/30] 우리말) 팽개치다 id: moneyplan 2008-04-30 3665
1709 [2008/02/04] 우리말) 물찌똥 id: moneyplan 2008-02-04 3665
1708 [2007/04/30] 우리말) 햇귀를 아세요? id: moneyplan 2007-04-30 3665
1707 [2007/09/12] 우리말) 섞사귐 id: moneyplan 2007-09-13 3664
1706 [2013/07/24] 우리말) 영계로 복달임 머니북 2013-07-24 3663
1705 [2011/06/07] 우리말) 밴댕이와 벤뎅이 moneybook 2011-06-07 3663
1704 [2017/07/04] 우리말) 장애인과 불구 머니북 2017-07-06 3662
1703 [2011/06/2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06-28 3662
1702 [2011/03/14] 우리말) 해망쩍다 moneybook 2011-03-15 3662
1701 [2009/02/20] 우리말) 계란말이/달걀말이/두루마리 id: moneyplan 2009-02-20 3662
1700 [2007/07/04] 우리말) 후덥지근과 후텁지근 id: moneyplan 2007-07-04 3662
1699 [2014/06/11] 우리말) 문문하다 머니북 2014-06-11 3660
1698 [2007/11/07] 우리말) 명사는 이름씨입니다 id: moneyplan 2007-11-07 3660
1697 [2007/08/22] 우리말) 갈말 id: moneyplan 2007-08-22 3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