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13] 우리말) 발자욱과 발자국

조회 수 3403 추천 수 92 2010.04.13 17:09:35

변기 앞으로 더 다가서라고 할 때는
'
한 발자욱'이나 '한 발자국'이라고 하면 안 되고, '한 걸음'이라고 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어젯밤 11:19 MBC에서 '이 자리를 빌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

'
빌다'에는
,
1.
바라는 바를 이루게 하여 달라고 신이나 사람, 사물 따위에 간청하다
.
2.
잘못을 용서하여 달라고 호소하다

3.
생각한 대로 이루어지길 바라다.
는 뜻밖에 없습니다
.
물건이나 생각을 주고받는다는 뜻은 없습니다
.
, 어디에도

'
이 자리를 빌어 OOO에게 감사하고...'에 쓸 수 있는 게 없습니다
.
'
빌어'가 아니라 '빌려'가 맞습니다
.
'
이 자리를 빌려 여러분께...'가 바릅니다
.

지난 주말에는 식구와 속초에 다녀왔는데, 새로 뚫린 서울-춘천 고속도로가 다녀오니 편하고 좋더군요
.
서울-춘천 고속도로에는 가평휴게소가 있습니다. 그 휴게소 하나뿐입니다
. ^^*
화장실에 갔더니

'
한 발자욱만 앞으로...'라고 쓰여 있더군요.

"
발로 밟은 자리에 남은 모양." '발자욱'이 아니라 '발자국'입니다
.
발자욱은 북한 표준말입니다
.

그리고

변기 앞으로 더 다가서라고 할 때는
'
한 발자욱'이나 '한 발자국'이라고 하면 안 되고, '한 걸음'이라고 해야 합니다
.
발자국은 말 그대로 발로 밟은 자리에 남은 모양인데 어떻게 다가설 수 있겠어요
. ^^*

흔히 틀리는 말 가운데
,
'
발자국 소리를 들었다.'는 것도 있습니다
.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발자국은 발로 밟은 자리에 남은 모양인데 이게 어떻게 소리가 나겠습니까.
발자국 소리가 아니라, 발걸음 소리가 맞습니다
. ^^*

아침부터 바람이 세게 부네요
.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
지름길과 에움길
]

안녕하세요
.

(
편지를 보내기 직전에 다시 읽어보니 좀 거시기 한 게 있어서 지웁니다
. ^^*)

가는 길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
멀리 돌지 않고 가깝게 질러 통하는 길" '지름길'도 있지만
,
"
에워서 돌아가는 길" '에움길'도 있습니다
.

000
가 얼마 남지 않았으니
,
돌길이나 두름길로 가자는 말씀은 드리지 않겠습니다
.
(
돌길 : 돌이 많은 길
)
(
두름길 : 빙 둘러서 가는 길
)

그러나 지름길이 꼭 바른 것 만은 아닙니다
.
엔길이나 돌림길이라는 낱말도 있습니다
.
(
엔길 : '에움길'의 옛말
)
(
돌림길 : 곧장 가지 않고 에도는 길
)

선조가 낱말을 만들 때

무질러 가는 길이라는 뜻의 낱말은 지름길만 만들었지만,
에둘러 돌아가는 길이라는 뜻의 낱말은 여러개를 만들어 놓은 것을 보면 다 뜻이 있을 겁니다
.

벼룻길로 가자는 것도 아닌데
...
(
벼룻길 : 아래가 강가나 바닷가로 통하는 벼랑길
)


고맙습니다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52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114
1716 [2013/05/21] 우리말) 빨빨거리다 머니북 2013-05-21 4464
1715 [2013/05/20] 우리말) 마냥과 처럼 머니북 2013-05-20 3266
1714 [2013/05/16] 우리말) 불초소생 머니북 2013-05-16 6002
1713 [2013/05/15] 우리말) 스승의 날에 읽어보는 교수의 반성문 머니북 2013-05-15 3603
1712 [2013/05/14] 우리말) 새끼낮 머니북 2013-05-14 3542
1711 [2013/05/13] 우리말) 스승의 날과 세종대왕 나신 날 머니북 2013-05-13 3446
1710 [2013/05/10] 우리말) 노인 -> 실버/시니어 -> 어르신 머니북 2013-05-10 4132
1709 [2013/05/09] 우리말) 함함하다 머니북 2013-05-10 3614
1708 [2013/05/08] 우리말) 어버이와 관련된 글 머니북 2013-05-08 4922
1707 [2013/05/07] 우리말) 꽃비와 꽃보라 머니북 2013-05-07 3066
1706 [2013/05/06] 우리말) 꽃멀미와 꽃빛발 머니북 2013-05-06 3315
1705 [2013/05/03] 우리말) 신토불이 머니북 2013-05-03 3867
1704 [2013/05/02] 우리말) www 20년 머니북 2013-05-02 3651
1703 [2013/05/01] 우리말) 4월과 4월달 머니북 2013-05-02 3448
1702 [2013/04/30] 우리말) 피라미드와 금자탑 머니북 2013-04-30 3374
1701 [2013/04/29] 우리말) 어려운 보도자료 머니북 2013-04-29 3239
1700 [2013/04/26] 우리말) 군대 간 아들에게 책 소개 머니북 2013-04-26 9036
1699 [2013/04/25] 우리말) 우리말 편지 다듬기 머니북 2013-04-25 3300
1698 [2013/04/23] 우리말) 라일락 꽃 머니북 2013-04-23 3732
1697 [2013/04/22] 우리말) 보니 -> 천생 머니북 2013-04-22 3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