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갈피표를 책갈피라고 하면 안 되고, 청서를 청설모라고 하면 안 된다고 말씀을 드리면,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와 있으니 갈피표를 책갈피라고 해도 되고 청설모를 청서라고 해도 된다고 말씀하십니다
.

맞긴 맞는데, 뭔가 좀 거시기 합니다.

 

안녕하세요.

며칠 전 부산일보에
,
국립국어원이 1999년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 새말을 추가하고 실린 말의 풀이도 다듬어

지난 2008년부터 웹사전을 개통했다면서
,
그 사전의 도움으로

'
책갈피에 책갈피를 끼웠다'처럼 어색한 문장도 생기겠지만
,
그래도 이제는 '사전에도 없는 말'을 써야 하는 부담을 덜게 되었다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

저같이 잘 모르는 사람이 보기에 참 가슴 아픈 기사였습니다
.

한국어문기자협회 2010 봄 호에 보면 청설모와 청서를 같은 것으로 본 표준국어대사전을 보고 잘한 일이라고 했습니다
.

'
책갈피' "책장과 책장의 사이"로 책의 낱장을 뜻합니다
.
읽던 곳이나 필요한 곳을 찾기 쉽도록 책의 낱장 사이에 끼워 두는 물건은 '갈피표'입니다
.
두 낱말은 뜻이 다릅니다
.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책갈피의 뜻풀이에 갈피표 뜻을 같이 넣었습니다
.
이건 잘한 일이 아니라고 봅니다
.

'
청서'는 다람쥣과의 동물로 다람쥐처럼 생긴 갈색 동물입니다
.
붓을 만드는 데 많이 쓰는 참다람쥐나 날다람쥐의 털은 '청설모'입니다
.
두 낱말은 뜻이 다릅니다
.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청서'의 뜻풀이에 '청설모'의 뜻을 같이 넣었습니다
.

제가 갈피표를 책갈피라고 하면 안 되고, 청서를 청설모라고 하면 안 된다고 말씀을 드리면
,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와 있으니 갈피표를 책갈피라고 해도 되고 청설모를 청서라고 해도 된다고 말씀하십니다
.

맞긴 맞는데, 뭔가 좀 거시기 합니다
.

표준은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
그런 표준국어대사전에 저를 헷갈리게 만들고, 더 나가 가슴 아프게 만드네요
.

자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글을 따다 우리말편지를 쓰는 저지만
,
그래도 가끔은 표준국어대사전이 미울 때도 있답니다
. ^^*

그래도 고마운 마음이 미운 마음보다 훨씬 큽니다
.

고맙습니다
.

보태기
)
제가 우리말 갈피표를 만들어서 가끔 선물로 나눠 드립니다
.
거기에 보면 책갈피가 아니라 갈피표가 바르다고 써 놨습니다
.
그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
우편번호, 주소, 이름을

먼저 보내주시는 10분께 보내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
삶과 죽음 그리고 죽살이
]

안녕하세요
.

주말 잘 쉬셨나요
?

아침에 컴퓨터를 켜니 부고가 많이 와 있네요
.
환절기라 그런지 돌아가신 분들이 많으시군요
.

사람이 살려면 숨을 쉬어야 합니다
.
"
사람이나 동물이 코 또는 입으로 공기를 들이마시고 내쉬는 기운. 또는 그렇게 하는 일"이 숨입니다
.
이 숨을 쉬지 않으면 죽는 거죠
.
그래서 죽는 것을 숨을 거뒀다고 하거나 숨졌다고 합니다
.
어디론가 넘어가는 게 '지다'이므로 '숨지다'도 숨이 넘어간 것이므로 죽은 거죠
.

사람이 막 태어나면 배로 숨을 쉬고
,
나이가 들어서는 가슴으로 숨을 쉬고
,
죽을 때가 되면 그 숨이 목까지 넘어온다고 합니다
.
그래서 "사람이나 동물이 숨을 쉬며 살아 있는 힘" '목숨'인가 봅니다
.

사람은, 아니 생명체는 흙에서 와서 흙으로 갑니다
.
그래서 우리는 사람이 죽으면 돌아가셨다고 합니다
.
오신 곳으로 다시 가신 것이죠
.
사람이 죽는 게 영어로는 go gone이지만
,
우리말로는 return이 되는 거죠
.
우리 조상이 삶과 죽음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다시 생각해 봅니다
.

삶과 죽음을 우리말로 '죽살이'라고 합니다
.
('
죽사리' '죽살'이 아닙니다
.)
어떤 일에 모질게 힘을 쓰는 것을 두고 죽살이친다고 합니다
.
어머니는 우리를 공부시키시느라고 죽살이치셨다, 그는 잡히지 않으려고 죽살이치며 도망갔다처럼 씁니다
.
저는 어떻게 살다 언제 죽을지
...

우리는 앞날을 모르죠
?
모르니까 열심히 살아야 하는 게 아닐까요
?
그래야 우리 죽살이가 뜻깊지 않을까요
? ^^*

이번 주도 열심히 삽시다
.

아자, 아자, 아자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21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766
1696 [2010/04/15] 우리말) 코털이 세다 id: moneyplan 2010-04-15 3881
1695 [2010/04/16] 우리말) 바끄럽다/서머하다 id: moneyplan 2010-04-16 3662
1694 [2010/04/19] 우리말) 튤립과 튜울립 id: moneyplan 2010-04-19 3407
1693 [2010/04/20] 우리말) 병해충과 병충해 id: moneyplan 2010-04-20 3223
1692 [2010/04/21] 우리말) 꽃보라 id: moneyplan 2010-04-21 3445
1691 [2010/04/22] 우리말) 도토리 키 재기와 도 긴 개 긴 id: moneyplan 2010-04-22 3746
1690 [2010/04/23] 우리말) 종자의 소중함과 라일락 꽃 id: moneyplan 2010-04-23 3338
1689 [2010/04/26] 우리말) 나가다와 나아가다 id: moneyplan 2010-04-26 3260
1688 [2010/04/27] 우리말) 잊다와 잃다 id: moneyplan 2010-04-27 3509
1687 [2010/04/28] 우리말) 떨구다와 떨어뜨리다 id: moneyplan 2010-04-28 3215
1686 [2010/04/29] 우리말) 들고파다 id: moneyplan 2010-04-29 3530
1685 [2010/04/30] 우리말) 비게질 id: moneyplan 2010-04-30 3273
1684 [2010/05/03] 우리말) 가축 id: moneyplan 2010-05-03 3185
1683 [2010/05/04] 우리말) 나들가게 id: moneyplan 2010-05-04 3339
1682 [2010/05/06] 우리말) 등살과 등쌀 id: moneyplan 2010-05-06 3765
1681 [2010/05/07] 우리말) 거시기와 머시기 id: moneyplan 2010-05-07 3290
1680 [2010/05/10] 우리말) 과속방지턱 id: moneyplan 2010-05-10 3434
1679 [2010/05/11] 우리말) 주꾸미 id: moneyplan 2010-05-11 3341
» [2010/05/12] 우리말) 청서와 철설모/책갈피와 갈피표 id: moneyplan 2010-05-12 3236
1677 [2010/05/13] 우리말) 삐끼 id: moneyplan 2010-05-13 3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