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갈피표를 책갈피라고 하면 안 되고, 청서를 청설모라고 하면 안 된다고 말씀을 드리면,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와 있으니 갈피표를 책갈피라고 해도 되고 청설모를 청서라고 해도 된다고 말씀하십니다
.

맞긴 맞는데, 뭔가 좀 거시기 합니다.

 

안녕하세요.

며칠 전 부산일보에
,
국립국어원이 1999년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 새말을 추가하고 실린 말의 풀이도 다듬어

지난 2008년부터 웹사전을 개통했다면서
,
그 사전의 도움으로

'
책갈피에 책갈피를 끼웠다'처럼 어색한 문장도 생기겠지만
,
그래도 이제는 '사전에도 없는 말'을 써야 하는 부담을 덜게 되었다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

저같이 잘 모르는 사람이 보기에 참 가슴 아픈 기사였습니다
.

한국어문기자협회 2010 봄 호에 보면 청설모와 청서를 같은 것으로 본 표준국어대사전을 보고 잘한 일이라고 했습니다
.

'
책갈피' "책장과 책장의 사이"로 책의 낱장을 뜻합니다
.
읽던 곳이나 필요한 곳을 찾기 쉽도록 책의 낱장 사이에 끼워 두는 물건은 '갈피표'입니다
.
두 낱말은 뜻이 다릅니다
.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책갈피의 뜻풀이에 갈피표 뜻을 같이 넣었습니다
.
이건 잘한 일이 아니라고 봅니다
.

'
청서'는 다람쥣과의 동물로 다람쥐처럼 생긴 갈색 동물입니다
.
붓을 만드는 데 많이 쓰는 참다람쥐나 날다람쥐의 털은 '청설모'입니다
.
두 낱말은 뜻이 다릅니다
.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청서'의 뜻풀이에 '청설모'의 뜻을 같이 넣었습니다
.

제가 갈피표를 책갈피라고 하면 안 되고, 청서를 청설모라고 하면 안 된다고 말씀을 드리면
,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와 있으니 갈피표를 책갈피라고 해도 되고 청설모를 청서라고 해도 된다고 말씀하십니다
.

맞긴 맞는데, 뭔가 좀 거시기 합니다
.

표준은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
그런 표준국어대사전에 저를 헷갈리게 만들고, 더 나가 가슴 아프게 만드네요
.

자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글을 따다 우리말편지를 쓰는 저지만
,
그래도 가끔은 표준국어대사전이 미울 때도 있답니다
. ^^*

그래도 고마운 마음이 미운 마음보다 훨씬 큽니다
.

고맙습니다
.

보태기
)
제가 우리말 갈피표를 만들어서 가끔 선물로 나눠 드립니다
.
거기에 보면 책갈피가 아니라 갈피표가 바르다고 써 놨습니다
.
그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
우편번호, 주소, 이름을

먼저 보내주시는 10분께 보내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
삶과 죽음 그리고 죽살이
]

안녕하세요
.

주말 잘 쉬셨나요
?

아침에 컴퓨터를 켜니 부고가 많이 와 있네요
.
환절기라 그런지 돌아가신 분들이 많으시군요
.

사람이 살려면 숨을 쉬어야 합니다
.
"
사람이나 동물이 코 또는 입으로 공기를 들이마시고 내쉬는 기운. 또는 그렇게 하는 일"이 숨입니다
.
이 숨을 쉬지 않으면 죽는 거죠
.
그래서 죽는 것을 숨을 거뒀다고 하거나 숨졌다고 합니다
.
어디론가 넘어가는 게 '지다'이므로 '숨지다'도 숨이 넘어간 것이므로 죽은 거죠
.

사람이 막 태어나면 배로 숨을 쉬고
,
나이가 들어서는 가슴으로 숨을 쉬고
,
죽을 때가 되면 그 숨이 목까지 넘어온다고 합니다
.
그래서 "사람이나 동물이 숨을 쉬며 살아 있는 힘" '목숨'인가 봅니다
.

사람은, 아니 생명체는 흙에서 와서 흙으로 갑니다
.
그래서 우리는 사람이 죽으면 돌아가셨다고 합니다
.
오신 곳으로 다시 가신 것이죠
.
사람이 죽는 게 영어로는 go gone이지만
,
우리말로는 return이 되는 거죠
.
우리 조상이 삶과 죽음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다시 생각해 봅니다
.

삶과 죽음을 우리말로 '죽살이'라고 합니다
.
('
죽사리' '죽살'이 아닙니다
.)
어떤 일에 모질게 힘을 쓰는 것을 두고 죽살이친다고 합니다
.
어머니는 우리를 공부시키시느라고 죽살이치셨다, 그는 잡히지 않으려고 죽살이치며 도망갔다처럼 씁니다
.
저는 어떻게 살다 언제 죽을지
...

우리는 앞날을 모르죠
?
모르니까 열심히 살아야 하는 게 아닐까요
?
그래야 우리 죽살이가 뜻깊지 않을까요
? ^^*

이번 주도 열심히 삽시다
.

아자, 아자, 아자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0661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12203
1016 [2008/02/23] 우리말) 우리말이 아니라 제 이야기입니다 id: moneyplan 2008-02-24 3163
1015 [2013/12/11] 우리말) 싸다/저렴하다 머니북 2013-12-11 3162
1014 [2010/07/29] 우리말) 뙤약볕 moneybook 2010-07-29 3162
1013 [2009/08/04] 우리말) 지긋이와 지그시 id: moneyplan 2009-08-04 3162
1012 [2008/07/18] 우리말) 게걸스럽다와 게검스럽다 id: moneyplan 2008-07-18 3162
1011 [2017/04/20] 우리말) 리터 단위 머니북 2017-04-21 3159
1010 [2015/04/14] 우리말) 짬짜미/담합/카르텔 머니북 2015-04-14 3159
1009 [2013/06/27] 우리말) 희귀난치질환 머니북 2013-06-27 3159
1008 [2013/04/16] 우리말) 담백 머니북 2013-04-16 3159
1007 [2010/05/14] 우리말) 접수와 등록 id: moneyplan 2010-05-14 3159
1006 [2007/06/20] 우리말) 벼룩시장 id: moneyplan 2007-06-20 3159
1005 [2009/11/11] 우리말) 군자삼변 id: moneyplan 2009-11-11 3158
1004 [2008/02/05] 우리말) 설빔 준비하셨나요? id: moneyplan 2008-02-05 3158
1003 [2007/06/08] 우리말) 버벅거리다 id: moneyplan 2007-06-08 3158
1002 [2016/01/04] 우리말) 순우리말 지명 점차 사라져 머니북 2016-01-04 3157
1001 [2015/01/28] 우리말) 오지와 두메 머니북 2015-01-29 3157
1000 [2009/08/20] 우리말) 깨단하다 id: moneyplan 2009-08-21 3157
999 [2009/02/02] 우리말) 개차반 id: moneyplan 2009-02-02 3157
998 [2009/01/20] 우리말) 쾨쾨하다와 쾌쾌하다 id: moneyplan 2009-01-20 3157
997 [2010/05/25] 우리말) 나와바리 id: moneyplan 2010-05-25 3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