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며칠 전 부산일보에, 국립국어원이 1999년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 새말을 추가하고 실린 말의 풀이도 다듬어 지난 2008년부터 웹사전을 개통했다면서, 그 사전의 도움으로 '책갈피에 책갈피를 끼웠다'처럼 어색한 문장도 생기겠지만, 그래도 이제는 '사전에도 없는 말'을 써야 하는 부담을 덜게 되었다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저같이 잘 모르는 사람이 보기에 참 가슴 아픈 기사였습니다.
한국어문기자협회 2010 봄 호에 보면 청설모와 청서를 같은 것으로 본 표준국어대사전을 보고 잘한 일이라고 했습니다.
'책갈피'는 "책장과 책장의 사이"로 책의 낱장을 뜻합니다. 읽던 곳이나 필요한 곳을 찾기 쉽도록 책의 낱장 사이에 끼워 두는 물건은 '갈피표'입니다. 두 낱말은 뜻이 다릅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책갈피의 뜻풀이에 갈피표 뜻을 같이 넣었습니다. 이건 잘한 일이 아니라고 봅니다.
'청서'는 다람쥣과의 동물로 다람쥐처럼 생긴 갈색 동물입니다. 붓을 만드는 데 많이 쓰는 참다람쥐나 날다람쥐의 털은 '청설모'입니다. 두 낱말은 뜻이 다릅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청서'의 뜻풀이에 '청설모'의 뜻을 같이 넣었습니다.
제가 갈피표를 책갈피라고 하면 안 되고, 청서를 청설모라고 하면 안 된다고 말씀을 드리면,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와 있으니 갈피표를 책갈피라고 해도 되고 청설모를 청서라고 해도 된다고 말씀하십니다.
맞긴 맞는데, 뭔가 좀 거시기 합니다.
표준은 매우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런 표준국어대사전에 저를 헷갈리게 만들고, 더 나가 가슴 아프게 만드네요.
자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글을 따다 우리말편지를 쓰는 저지만, 그래도 가끔은 표준국어대사전이 미울 때도 있답니다. ^^*
그래도 고마운 마음이 미운 마음보다 훨씬 큽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제가 우리말 갈피표를 만들어서 가끔 선물로 나눠 드립니다. 거기에 보면 책갈피가 아니라 갈피표가 바르다고 써 놨습니다. 그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우편번호, 주소, 이름을 먼저 보내주시는 10분께 보내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