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5/25] 우리말) 나와바리

조회 수 3393 추천 수 88 2010.05.25 10:03:26

요즘은 범죄조직이나 기자사회에서만 '나와바리'를 쓰는 게 아니라
사회 각계각층에서 집단 이기주의적 성향을 뜻할 때도 쓰는 것 같습니다.
나와바리 보다는

구역, 출입처, 세력권, 관할권, 텃세 따위로 상황에 맞게 바꾸어 쓰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는 기자와 한잔했습니다
.
아직도 기자 세계에서는 일본어가 많이 쓰이나 보더군요
.
저와 이야기할 때는 그런 말을 자주 쓰지 않지만
,
기자끼리 이야기할 때는 일본어투 말을 많이 쓰더군요
.
곤조, 나와바리, 유도리
...

곤조는 根性을 일본에서 こんじょう라 쓰고 [곤죠]라 읽습니다
.
근성, 맘보, 본성, 성깔 따위로 바꿔 쓰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

나와바리는 '繩張り'로 쓰는데
,
본래는 건축현장에서 새끼줄을 치고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것을 일컫는 말입니다

이 뜻이 바뀌어 세력권, 관할권이란 뜻으로 많이 쓰이고 있기도 합니다.

기자 사회에서는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영역을 기자들간 서로의 고유 영역으로 생각해 '나와바리'라고 하며 서로 침범하지 않고
,
폭력배들도 자기들이 드나드는 곳을 나와바리라하며 서로 잘 지켜야 한다고 하네요
. ^^*

요즘은 범죄조직이나 기자사회에서만 '나와바리'를 쓰는 게 아니라

사회 각계각층에서 집단 이기주의적 성향을 뜻할 때도 쓰는 것 같습니다.
나와바리 보다는

구역, 출입처, 세력권, 관할권, 텃세 따위로 상황에 맞게 바꾸어 쓰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
틀린 말 몇 개
]

안녕하세요
.

토요일 아침
8:28, KBS1,
물방울이 엄마 뱃속에서 아기를 만났다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
'
뱃속' '마음'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고
,
배의 안쪽은 '배 속'이 맞습니다
.

일요일 아침
9:36, MBC,
'
들이 대주길 바래'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
바래다는 "볕이나 습기를 받아 색이 변하다"는 뜻이고
,
"
생각이나 바람대로 어떤 일이나 상태가 이루어지거나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생각하다"는 뜻의 낱말은 '바라다'입니다
.
3
분 뒤, "어머님이 머리를 묶어줬다"라고 했습니다
.
자기 어머니에게는 '어머님'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

일요일 아침
10:38, KBS1,
KBS
한국어능력시험을 안내하는 자막에서

'
접수 : 4. 18일까지'라고 했습니다.
시험을 보고자 하는 사람은 원서를 KBS에 제출하거나 내는 것이지
,
접수하거나 받는 게 아닙니다
.
접수하거나 받는 일은 KBS에서 하는 일이므로 자막에는 '제출'이라고 나갔어야 합니다
.
시험 보는 사람이 방송국에서 와서 접수하라는 뜻이 아니라면
...

일요일 아침
11:48, SBS,
'
이 꽃은'의 발음을 [이 꼬즌]이라고 했습니다
.
[
이 꼬츤]이 맞습니다
.
[
꼬치] 예쁜 것이지, [꼬지] 예쁜 게 아닙니다
.

고맙습니다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11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677
1016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785
1015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4088
1014 [2013/03/07] 우리말) 가축하다와 눈부처 머니북 2013-03-07 4368
1013 [2013/03/08] 우리말) 감장하다 머니북 2013-03-08 3690
1012 [2013/03/11] 우리말) 명함 영문이름 머니북 2013-03-11 7952
1011 [2013/03/12] 우리말) 로마자 표기법 머니북 2013-03-12 3968
1010 [2013/03/12] 우리말)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머니북 2013-03-12 4090
1009 [2013/03/13] 우리말) 사달과 오두방정 머니북 2013-03-13 5016
1008 [2013/03/1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3-14 4754
1007 [2013/03/15] 우리말) 낯빛과 안색 머니북 2013-03-16 8192
1006 [2013/03/18] 우리말) 조선시대, 6~7살 이후는 아버지가 키워? 머니북 2013-03-18 3951
1005 [2013/03/19] 우리말) 바다나물과 먼산나물 머니북 2013-03-19 4038
1004 [2013/03/20] 우리말) '가사 피고가 경락을 경료해'가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머니북 2013-03-20 9664
1003 [2013/03/21] 우리말) 표준국어대사전 머니북 2013-03-21 3968
1002 [2013/03/22] 우리말) 약 머니북 2013-03-25 5647
1001 [2013/03/25] 우리말) 비몽사몽과 어리마리 머니북 2013-03-25 10409
1000 [2013/03/26] 우리말) 입찬말 머니북 2013-03-26 3791
999 [2013/03/27] 우리말) 독도에 '한국 땅' 새긴다 머니북 2013-03-27 3758
998 [2013/03/28] 우리말) 늙수그레 머니북 2013-03-28 3740
997 [2013/03/29] 우리말) 셋째 태어나고 아내에게 쓴 편지 머니북 2013-03-29 3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