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08] 우리말) 새퉁이

조회 수 3463 추천 수 87 2010.06.08 08:58:28

'새퉁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밉살스럽거나 경망한 짓. 또는 그런 짓을 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서울깍쟁'이나 '얄개'도 비슷한 뜻입니다.
(서울깍쟁이 : 시골 사람이 서울 사람의 까다롭고 인색함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얄개 : 야살스러운 짓을 하는 사람.)


안녕하세요.

아침 뉴스에서 들으니
나로호를 발사대에 기립 완료했다고 하네요.
딸내미가 보더니 '기립'이 뭐냐고 묻더군요.
'기립 완료'보다는 '세우기 마쳐'가 더 좋다는 생각을 해 봤습니다.

오늘도 무척 더울 거라고 합니다.
늘 건강조심하시길 빕니다.

아침에 일터에 나오려는데 누군가 주차할 곳이 아닌 곳에 차를 세워놓는 바람에 제 차를 빼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습니다.
왜 그리 자기만 생각하는지요.
그 사람은 별 생각 없이 차를 세워놓고 들어갔겠지만, 그 때문에 남들이 차를 빼면서 애먹고 시간을 허비합니다.
내 것을 챙기고, 나 편한 것도 좋지만,
그게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내 것을 챙기는 게 좋다고 봅니다.
'나눔'을 이야기하기에 앞서 제발 남도 좀 보고 살았으면 합니다.

'새퉁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밉살스럽거나 경망한 짓. 또는 그런 짓을 하는 사람."을 뜻합니다.
'서울깍쟁'이나 '얄개'도 비슷한 뜻입니다.
(서울깍쟁이 : 시골 사람이 서울 사람의 까다롭고 인색함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얄개 : 야살스러운 짓을 하는 사람.)

아침부터 짜증 났는데,
저라도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오늘 하루 잘 보내고자 합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화무는 십일홍이요, 달도 차면 기우나니라]

"아빠, 누가 이걸 버렸지? 지구가 아파하겠네?"
"그러게 누가 엘리베이터 안에 쓰레기를 버렸을까? 그러면 안 되는데... 그치?"

오늘 아침에 저와 34개월 된 세 살배기 제 아들이 나눈 이야기입니다.
이 녀석은 길을 가다가도 쓰레기만 보면 "지구가 아파하는데... 누가 버렸지?"라면서 안타까워합니다.
어젯밤에는 뜬금없이,
"아빠랑 같이 자니 행복해요."라고 말해 제 코끝을 찡하게 만든 귀여운 녀석입니다. ^^*

이런 고운 마음을 오래도록 지니고 있으면 좋으련만
한 살 두 살 나이를 먹으면서 되바라지겠죠?
당연히 그렇게 되기 마련이지만, 그 게 좀 늦으면 좋겠습니다.
착한 제 아들 입에서 "지구가 아파한다."는 고운 말을 오래도록 듣고 싶습니다. ^^*

나이가 들면서 까지기 마련인가요? 그게 당연하겠죠? 아닌가요?
'까지기' 마련인가요, '까지게' 마련인가요?

사전에 보면,
'기'는 씨끝(어미)으로 그 말이 이름씨(명사) 노릇을 하게 합니다.
혼자이기는 해도 외롭지 않다, 밥을 먹기 싫다, 사람이 많기도 하다처럼 씁니다.
곧, 이름씨(명사) 이다로 쓰여 어떤 것을 지정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게'도 씨끝입니다.
앞의 내용이 뒤에서 가리키는 사태의 목적이나 결과, 방식, 정도 따위가 됨을 나타내죠.
추운데 따뜻하게 입어, 든든하게 먹어야지, 행복하게 살아라처럼 씁니다.

문법으로 따지면 그런데 실제 쓰임은
'하기 나름이다'는 맞고, '하게 나름이다'는 틀립니다.
'하기 때문이다'는 맞고, '하게 때문이다'는 틀립니다.
'하기 십상이다'는 맞고, '하게 십상이다'는 틀립니다.
그러나
'하기 마련이다'와 '하게 마련이다'는 둘 다 맞습니다.
왜 그런지는 설명을 못하겠습니다.
그냥 그래요... ^^*

깔끔하게 설명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87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444
1016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774
1015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4077
1014 [2013/03/07] 우리말) 가축하다와 눈부처 머니북 2013-03-07 4359
1013 [2013/03/08] 우리말) 감장하다 머니북 2013-03-08 3673
1012 [2013/03/11] 우리말) 명함 영문이름 머니북 2013-03-11 7948
1011 [2013/03/12] 우리말) 로마자 표기법 머니북 2013-03-12 3964
1010 [2013/03/12] 우리말)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머니북 2013-03-12 4088
1009 [2013/03/13] 우리말) 사달과 오두방정 머니북 2013-03-13 5011
1008 [2013/03/1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3-14 4752
1007 [2013/03/15] 우리말) 낯빛과 안색 머니북 2013-03-16 8183
1006 [2013/03/18] 우리말) 조선시대, 6~7살 이후는 아버지가 키워? 머니북 2013-03-18 3941
1005 [2013/03/19] 우리말) 바다나물과 먼산나물 머니북 2013-03-19 4033
1004 [2013/03/20] 우리말) '가사 피고가 경락을 경료해'가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머니북 2013-03-20 9657
1003 [2013/03/21] 우리말) 표준국어대사전 머니북 2013-03-21 3963
1002 [2013/03/22] 우리말) 약 머니북 2013-03-25 5636
1001 [2013/03/25] 우리말) 비몽사몽과 어리마리 머니북 2013-03-25 10402
1000 [2013/03/26] 우리말) 입찬말 머니북 2013-03-26 3739
999 [2013/03/27] 우리말) 독도에 '한국 땅' 새긴다 머니북 2013-03-27 3752
998 [2013/03/28] 우리말) 늙수그레 머니북 2013-03-28 3722
997 [2013/03/29] 우리말) 셋째 태어나고 아내에게 쓴 편지 머니북 2013-03-29 3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