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16] 우리말) 허점과 헛점

조회 수 3476 추천 수 99 2010.06.16 09:07:12
아침 뉴스를 보니,
우리나라 축구 감독이 아르헨티나의 '허점'을 파고들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고 하네요.
'헛점'이아니라 '허점'이라서 좀 어색하게 보이는데요.
맞춤법 규정에 따르면 '허점'이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벌써 장마가 시작되었다고 하네요.

어젯밤 11:35에 KBS2에서 출연자가 자기 어머니를 말하면서 "어머님"이라고 했고,
자막에도 '어머님'이라고 나왔습니다.
자기 어머니에게는 어머님이라고 하지 않습니다.
'어머님'은 남의 어머니, 시어머니, 돌아가신 내 어머니에게 써야 바릅니다.

아침 뉴스를 보니,
우리나라 축구 감독이 아르헨티나의 '허점'을 파고들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고 하네요.
'헛점'이아니라 '허점'이라서 좀 어색하게 보이는데요.
사이시옷은 한자+한자, 고유어+한자, 한자+고유어, 고유어+고유어의 경우에 쓸 수 있는데,
한자+한자의 경우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이렇게 여섯 가지만 사이시옷을 쓰고,
다른 경우에는 쓰지 않습니다.
따라서,
허점, 초점, 개수 따위가 맞고,
헛점, 촛점, 갯수는 틀립니다.

오랜만에 문제 하나 내겠습니다.

'피자'와 '집'을 합치면 '피잣집'이 맞을까요 '파자집'이 맞을까요?
힌트는 위에 있습니다. ^^*

정답을 보내주신 분 가운데 세 분께 작은 선물을 보내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저는 9시에 연속극을 봅니다 ^^*]

오늘 아침 뉴스에서
MBC는 '천황'이라 했고,
KBS는 '일왕'이라 했고,
SBS는 '日王'이라고 했습니다.
예전에 보낸 편지를 밑에 붙입니다.

오늘 이야기입니다.

저는 어제부터 일터에서 오전 9시에 텔레비전을 봅니다.
그것도 연속극을 봅니다.
바로 KBS2에서 하는 '난 네게 반했어'입니다.

웃분들 눈치 보면서 어뜩 보는 게 아니라
떳떳하게 봅니다.
그래도 안 잘리느냐고요? 글쎄요... ^^*

우리말에 '언뜻'이라는 어찌씨(부사)가 있습니다.
"지나는 결에 잠깐 나타나는 모양"이라는 뜻입니다.
'얼핏'이라는 낱말과 같은 뜻으로
언뜻 보이다, 희디흰 속살이 언뜻 눈을 스쳤다처럼 씁니다.

'언뜻'과 비슷한 '어뜩'이라는 어찌씨도 있습니다.
"지나치는 결에"라는 뜻으로
나도 그 말을 어뜩 들은 것 같다, 어뜩 보았기 때문에 누군지 잘 모르겠다처럼 씁니다.

저는 아침마다 KBS2에서 9시에 하는 아침 연속극을 봅니다.
어뜩 보거나, 언뜻 보거나, 얼핏 스치듯 보는 게 아니라 떳떳하게 내 놓고 봅니다.

왜 그러냐고요?
그 연속극이 바로 제 일터인 농촌진흥청을 주 무대로 하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에서 일하는 두 연구사의 아름다운 사랑을 담은 연속극이라서
웃분들 눈치 보지 않고 떳떳하게 봅니다.

이 연속극은
불륜과 고부갈등, 치정 따위 싸구려 소재를 주로 다뤘던 예전 아침연속극과는 달리
서로 다른 개성을 가진 세 가족이 서로 얽히며 벌어지는 소동과 사랑을 신선하고 경쾌한 감각으로 보여준다고 합니다.

방송사 기획의도에도 '시청자들의 새 아침에 건강하고 상쾌한 에너지를 불어넣고 싶다.'라고 되어 있네요.
여러분도 저와 같이 이 연속극에 빠져보실래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1.
방송을 소개한 기사가 있어 붙입니다.
http://www.e-goodnews.co.kr/sub_read.html?uid=88421§ion=section5

2.
어제 첫 방송이라서 일터에서 그 연속극을 봤고,
앞으로는 일터에서는 못보고 퇴근하고 나서 인터넷으로 볼 겁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1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882
1476 [2010/04/02] 우리말) 버커리 id: moneyplan 2010-04-02 3487
1475 [2015/03/31] 우리말) 파머 가뭄 지수 머니북 2015-03-31 3487
1474 [2015/06/10] 우리말) 살품 머니북 2015-06-10 3487
1473 [2017/02/16] 우리말) 어섯 머니북 2017-02-16 3487
1472 [2009/11/26] 우리말) 결혼과 혼인 id: moneyplan 2009-11-26 3488
1471 [2013/12/27] 우리말) 눈 덮인 산 머니북 2013-12-27 3488
1470 [2017/10/17] 우리말) 자글거리다 머니북 2017-11-06 3488
1469 [2007/11/26] 우리말) 드러눕다 id: moneyplan 2007-11-26 3489
1468 [2010/06/25] 우리말) 잊힌 전쟁과 잊혀진 전쟁 moneybook 2010-06-25 3490
1467 [2010/10/05] 우리말) 생량머리 moneybook 2010-10-05 3490
1466 [2013/12/03] 우리말) 채신머리 머니북 2013-12-04 3490
1465 [2014/03/05] 우리말) 잊다와 잃다(2) 머니북 2014-03-06 3490
1464 [2008/05/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5-10 3491
1463 [2009/09/08]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9-09 3491
1462 [2013/10/29] 우리말) 싸다와 쌓다 머니북 2013-10-29 3491
1461 [2013/06/14] 우리말) 자장면과 짜장면 머니북 2013-06-14 3491
1460 [2008/12/23] 우리말) 호질기의(護疾忌醫) id: moneyplan 2008-12-23 3493
1459 [2015/04/07] 우리말) 본디와 본시 머니북 2015-04-07 3493
1458 [2017/01/24] 우리말) 서덜/서더리 머니북 2017-01-24 3493
1457 [2007/11/09] 우리말) 두껍다와 두텁다 id: moneyplan 2007-11-09 3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