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24] 우리말) 한켠과 한편

조회 수 2782 추천 수 93 2010.06.24 08:56:44
사실 우리는 '한켠'과 '한편'을 다른 뜻으로 쓰고 있습니다.
'냄새'와 '내음'도 다른 맛으로 쓰고 있습니다.
'고향 내음'이나 '꽃 내음'이라고 하지 '고향 냄새'나 '꽃 냄새'라고는 않잖아요.
'날개'와 '나래'도 말 맛이 다릅니다.
'상상의 나래'를 폈다고 하지 '상상의 날개'를 폈다고는 하지 않죠.


안녕하세요.

오늘도 어제처럼 무척 더울 거라고 합니다.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오늘 아침 6:25 KBS1뉴스에서 "장롱 한켠"이라는 말을 했습니다.
월드컵 응원한 붉은 티셔츠를 장롱 한켠에 넣어두지 말고 아프리카로 보내자는 말이었습니다.
여기에 쓰인 '한켠'이
아직은 표준말이 아닙니다.
'한편'이나 '한쪽 편'이 맞습니다.

그러나
사실 우리는 '한켠'과 '한편'을 다른 뜻으로 쓰고 있습니다.
'냄새'와 '내음'도 다른 맛으로 쓰고 있습니다.
'고향 내음'이나 '꽃 내음'이라고 하지 '고향 냄새'나 '꽃 냄새'라고는 않잖아요.
'날개'와 '나래'도 말 맛이 다릅니다.
'상상의 나래'를 폈다고 하지 '상상의 날개'를 폈다고는 하지 않죠.

이렇듯 실생활에서 쓰는 낱말이 표준말이 아닌 게 꽤 있습니다.
이런 낱말을 표준말로 올려 우리 말을 더 풍성하게 만드는 것도 좋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냥 저 혼자 그렇게 생각한다는 뜻입니다. ^^*

청설모에 청서의 뜻을 넣고, 책갈피에 갈피표의 뜻을 넣어 둘 다 쓸 수 있게 하면서,
한켠과 한편, 냄새와 내음, 날개와 나래는 왜 하나만 쓰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마크 트웨인은
"멋진 칭찬을 들으면 그것만 먹어도 두 달은 살 수 있다."라고 했다고 합니다.
오늘 아침
눈을 마주치는 모든 사람에게 멋진 칭찬을 해주면 어떨까요?
두 달은 못 가도 적어도 오늘 하루는 기분이 좋을 것 같습니다.

거듭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짜뜰름짜뜰름]

요즘 우리말 편지 내용이 좀 칙칙했었나 봅니다.
어제는 세 분이나 수신거부를 하셨네요.

5월입니다. 기분 좋게 시작해야죠? ^^*

오늘은 저희 집 애들 이야기로 들어갈게요.
애들은 다 사탕을 좋아하나 봅니다.
저희 집 애들도 사탕을 무척 좋아합니다.
이 썩는다고 겁을 줘도 좋아합니다.

그래서 요즘은 사탕처럼 생긴 비타민을 사줍니다.
근데 이게 사탕보다 비쌉니다.
말단 공무원 월급에 자주 사줄 수 없겠더군요.
어쩔 수 없이 하루에 몇 개씩 정해놓고 조금씩 줍니다.
그것도 찾지 않으면 안주고, 착한 일 하면 하나 더 주고...^^*

우리말에
'질금'이라는 어찌씨(부사)가 있습니다.
"물건이나 돈 따위를 조금씩 쓰거나 나누어서 주는 모양"으로
가게 주인은 물건값이 오를 것 같자 물건을 질금 내어 놓았다처럼 씁니다.
이보다 더 센 느낌의 낱말이 '찔끔'입니다.

'질름'도 같은 뜻입니다. 센 느낌의 낱말은 '찔름'입니다.
잘금/짤금, 잘름/짤름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와 비슷한 움직씨(동사)가 '짜들름거리다'입니다.
"물건이나 돈 따위를 조금씩 자주 쓰거나 여러 번 나누어 주다."는 뜻으로 '짜들름대다'에서 왔습니다.
이보다 좀 센 말이 '짜뜰름거리다'입니다.

이를 어찌씨(부사)로 만든 게 '찌들름찌들름'과 '짜뜰름짜뜰름'입니다.
이의 움직씨(동사)가 짜들름짜들름하다와 짜뜰름짜뜰름하다입니다.
설마 그런 낱말이 정말로 있느냐고요?
사전을 한번 찾아보세요. ^^*

제가 요즘 애들에게
비타민 사탕을 짜뜰름짜뜰름 주고 있습니다. 짜뜰름거리는 거죠?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0190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7518
1036 [2010/07/15] 우리말) 본데와 본때 moneybook 2010-07-15 2676
1035 [2010/07/14] 우리말) 빠르면 오늘 소환? [1] moneybook 2010-07-14 2871
1034 [2010/07/13] 우리말) 족집게 moneybook 2010-07-13 2874
1033 [2010/07/12] 우리말) 진검승부와 자매결연 [1] moneybook 2010-07-12 2863
1032 [2010/07/09] 우리말) 틀린 낱말 몇 개 moneybook 2010-07-09 2608
1031 [2010/07/08] 우리말) 처서가 아니라 소서 moneybook 2010-07-08 2687
1030 [2010/07/07] 우리말) 얼굴2 moneybook 2010-07-07 3580
1029 [2010/07/06] 우리말) 얼굴 moneybook 2010-07-06 2641
1028 [2010/07/05] 우리말) 무척 덥다 moneybook 2010-07-05 2834
1027 [2010/07/02] 우리말) 굴지와 불과 moneybook 2010-07-02 2762
1026 [2010/07/01] 우리말) 아침 뉴스를 보면서... moneybook 2010-07-01 3142
1025 [2010/06/30] 우리말) 안과 밖 moneybook 2010-06-30 2933
1024 [2010/06/29] 우리말) 큰소리와 큰 소리 moneybook 2010-06-29 3327
1023 [2010/06/25] 우리말) 잊힌 전쟁과 잊혀진 전쟁 moneybook 2010-06-25 3076
» [2010/06/24] 우리말) 한켠과 한편 moneybook 2010-06-24 2782
1021 [2010/06/23] 우리말) 도가니 moneybook 2010-06-23 2906
1020 [2010/06/22] 우리말) 차두리와 덧두리 moneybook 2010-06-22 2686
1019 [2010/06/21] 우리말) 물은 셀프 moneybook 2010-06-21 2619
1018 [2010/06/18] 우리말) 승리욕과 승부욕 moneybook 2010-06-18 2885
1017 [2010/06/17] 우리말) 승패와 성패 moneybook 2010-06-17 29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