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24] 우리말) 한켠과 한편

조회 수 3109 추천 수 93 2010.06.24 08:56:44
사실 우리는 '한켠'과 '한편'을 다른 뜻으로 쓰고 있습니다.
'냄새'와 '내음'도 다른 맛으로 쓰고 있습니다.
'고향 내음'이나 '꽃 내음'이라고 하지 '고향 냄새'나 '꽃 냄새'라고는 않잖아요.
'날개'와 '나래'도 말 맛이 다릅니다.
'상상의 나래'를 폈다고 하지 '상상의 날개'를 폈다고는 하지 않죠.


안녕하세요.

오늘도 어제처럼 무척 더울 거라고 합니다.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오늘 아침 6:25 KBS1뉴스에서 "장롱 한켠"이라는 말을 했습니다.
월드컵 응원한 붉은 티셔츠를 장롱 한켠에 넣어두지 말고 아프리카로 보내자는 말이었습니다.
여기에 쓰인 '한켠'이
아직은 표준말이 아닙니다.
'한편'이나 '한쪽 편'이 맞습니다.

그러나
사실 우리는 '한켠'과 '한편'을 다른 뜻으로 쓰고 있습니다.
'냄새'와 '내음'도 다른 맛으로 쓰고 있습니다.
'고향 내음'이나 '꽃 내음'이라고 하지 '고향 냄새'나 '꽃 냄새'라고는 않잖아요.
'날개'와 '나래'도 말 맛이 다릅니다.
'상상의 나래'를 폈다고 하지 '상상의 날개'를 폈다고는 하지 않죠.

이렇듯 실생활에서 쓰는 낱말이 표준말이 아닌 게 꽤 있습니다.
이런 낱말을 표준말로 올려 우리 말을 더 풍성하게 만드는 것도 좋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냥 저 혼자 그렇게 생각한다는 뜻입니다. ^^*

청설모에 청서의 뜻을 넣고, 책갈피에 갈피표의 뜻을 넣어 둘 다 쓸 수 있게 하면서,
한켠과 한편, 냄새와 내음, 날개와 나래는 왜 하나만 쓰게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마크 트웨인은
"멋진 칭찬을 들으면 그것만 먹어도 두 달은 살 수 있다."라고 했다고 합니다.
오늘 아침
눈을 마주치는 모든 사람에게 멋진 칭찬을 해주면 어떨까요?
두 달은 못 가도 적어도 오늘 하루는 기분이 좋을 것 같습니다.

거듭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짜뜰름짜뜰름]

요즘 우리말 편지 내용이 좀 칙칙했었나 봅니다.
어제는 세 분이나 수신거부를 하셨네요.

5월입니다. 기분 좋게 시작해야죠? ^^*

오늘은 저희 집 애들 이야기로 들어갈게요.
애들은 다 사탕을 좋아하나 봅니다.
저희 집 애들도 사탕을 무척 좋아합니다.
이 썩는다고 겁을 줘도 좋아합니다.

그래서 요즘은 사탕처럼 생긴 비타민을 사줍니다.
근데 이게 사탕보다 비쌉니다.
말단 공무원 월급에 자주 사줄 수 없겠더군요.
어쩔 수 없이 하루에 몇 개씩 정해놓고 조금씩 줍니다.
그것도 찾지 않으면 안주고, 착한 일 하면 하나 더 주고...^^*

우리말에
'질금'이라는 어찌씨(부사)가 있습니다.
"물건이나 돈 따위를 조금씩 쓰거나 나누어서 주는 모양"으로
가게 주인은 물건값이 오를 것 같자 물건을 질금 내어 놓았다처럼 씁니다.
이보다 더 센 느낌의 낱말이 '찔끔'입니다.

'질름'도 같은 뜻입니다. 센 느낌의 낱말은 '찔름'입니다.
잘금/짤금, 잘름/짤름도 마찬가지입니다.

이와 비슷한 움직씨(동사)가 '짜들름거리다'입니다.
"물건이나 돈 따위를 조금씩 자주 쓰거나 여러 번 나누어 주다."는 뜻으로 '짜들름대다'에서 왔습니다.
이보다 좀 센 말이 '짜뜰름거리다'입니다.

이를 어찌씨(부사)로 만든 게 '찌들름찌들름'과 '짜뜰름짜뜰름'입니다.
이의 움직씨(동사)가 짜들름짜들름하다와 짜뜰름짜뜰름하다입니다.
설마 그런 낱말이 정말로 있느냐고요?
사전을 한번 찾아보세요. ^^*

제가 요즘 애들에게
비타민 사탕을 짜뜰름짜뜰름 주고 있습니다. 짜뜰름거리는 거죠?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4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82
2376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706
2375 [2016/05/31] 우리말) 닭도리탕과 닭볶음탕 머니북 2016-06-02 3183
2374 [2016/05/30] 우리말) 스크린 도어 -> 안전문 머니북 2016-05-30 3278
2373 [2016/05/27] 우리말) 남자와 여자 머니북 2016-05-30 3226
2372 [2016/05/26] 우리말) 가차 없다 머니북 2016-05-26 3029
2371 [2016/05/25] 우리말) 틀린 한자 몇 개 머니북 2016-05-26 3538
2370 [2016/05/24] 우리말) 한글 전용 머니북 2016-05-26 3956
2369 [2016/05/23] 우리말) 두루뭉술과 빠삭 머니북 2016-05-23 4142
2368 [2016/05/20] 우리말) 조으다 -> 좋다 머니북 2016-05-20 2875
2367 [2016/05/19] 우리말) 씁쓸하다 머니북 2016-05-20 2842
2366 [2016/05/18] 우리말) 알맹이와 알갱이 openmind 2016-05-18 2889
2365 [2016/05/17] 우리말) 억장 openmind 2016-05-18 3000
2364 [2016/05/16] 우리말) 살판 머니북 2016-05-17 3270
2363 [2016/05/13] 우리말)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 머니북 2016-05-13 3115
2362 [2016/05/12] 우리말) 염두 머니북 2016-05-12 3281
2361 [2016/05/11] 우리말) 충전과 충천 머니북 2016-05-11 3237
2360 [2016/05/10] 우리말) 수고하세요 머니북 2016-05-11 3195
2359 [2016/05/09] 우리말) 집가심과 볼가심 머니북 2016-05-10 4636
2358 [2016/05/04] 우리말) 어휘 부족, 국한문 혼용 머니북 2016-05-09 2933
2357 [2016/05/03] 우리말) 밖에 없다/뿐이다 머니북 2016-05-03 3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