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29] 우리말) 큰소리와 큰 소리

조회 수 3812 추천 수 125 2010.06.29 09:03:14
'큰 소리'는 말 그대로 크게 내지르는 소리입니다.
'큰소리'는 세 가지 뜻이 있습니다.
1. 목청을 돋워 가며 야단치는 소리.
2. 남 앞에서 잘난 체하며 뱃심 좋게 장담하거나 사실 이상으로 과장하여 하는 말
3. 남한테 고분고분하지 않고 당당히 대하여 하는 말
입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요즘 목이 좋지 않아 병원에 다니고 있습니다.
벌써 두 달이 넘었는데도 아직 좋아지지 않고 있네요.
앞으로 저는 노래방은 잊어야 할 것 같습니다.

지난 토요일 저녁에는 식구와 같이 음악회에 갔는데, 테너와 소프라노가 어찌 그리 부럽던지요.
예전에는 저도 목소리 좋다는 소릴 들었는데...

가끔은 큰 소리도 치고 그랬는데 이제는 목소리를 높일 수 없으니 큰 소리도 못 내게 되었고,
노래방 가서 엽전 열닷냥도 맘껏 불렀는데, 이제는...

오늘은 '큰소리'와 '큰 소리'를 갈라 보겠습니다.

먼저
'큰 소리'는 말 그대로 크게 내지르는 소리입니다.
저는 이제 노래방 가서 큰 소리를 내지 못합니다. ^^*

'큰소리'는 세 가지 뜻이 있습니다.
1. 목청을 돋워 가며 야단치는 소리.
2. 남 앞에서 잘난 체하며 뱃심 좋게 장담하거나 사실 이상으로 과장하여 하는 말
3. 남한테 고분고분하지 않고 당당히 대하여 하는 말
입니다.


저는 앞으로
'큰소리'는 칠 수 있을지언정
'큰 소리'는 못 치게 생겼네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족적과 발자취]

안녕하세요.

아침 7:05 MBC 뉴스에서 '시비거리'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옳으니 그르니 하는 말다툼의 내용이 될 만한 것."은 '시빗거리'가 맞습니다.

7:17 KBS 뉴스에서는
"많이 더워졌다"라고 했습니다.
추위나 더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어찌씨(부사)는 '많이, 적게'가 아니라,
'상당히' 나 '꽤'를 써야 바릅니다.

며칠 전에 박경리 님이 돌아가셨습니다.
우리나라 문학의 큰 별이 지셨네요.
현대 문학에 큰 발자취를 남기고 가신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궁금한 게 있습니다.
왜 뉴스에서는 '발자취'라는 말을 쓰지 않고 다들 '족적'이라는 낱말을 쓸까요?
선생님은 분명히 현대 문학에 큰 '발자취'를 남기셨는데 왜 언론에서는 '족적'을 볼까요?

언론이 이러니 철없는 학자들도 따라가
사전에 '독서'는 올리고 '책읽기'는 올리지 않으며,
'비포장도로'는 올리고 '흙길'은 빼는 바보 같은 짓을 한 거겠죠.

우리나라, 대한민국 국어사전에 '책읽기'와 '흙길'은 없습니다.
쩝...

박경리 님의 명복을 빕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82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386
1036 [2009/09/17] 우리말) 움츠르다 id: moneyplan 2009-09-17 3655
1035 [2012/05/01] 우리말) 전기료와 전기세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2-05-02 3655
1034 [2012/12/05] 우리말) 거슬르다 -> 거스르다 머니북 2012-12-05 3655
1033 [2007/04/24] 우리말) 대충 잘하라는 게 어때서? id: moneyplan 2007-04-24 3656
1032 [2007/07/11] 우리말) 점점 나아지다 id: moneyplan 2007-07-11 3656
1031 [2007/12/29] 우리말) 설문조사 결과입니다 id: moneyplan 2007-12-31 3656
1030 [2010/12/20] 우리말) 움츠리다 moneybook 2010-12-20 3656
1029 [2013/01/03] 우리말) 어안이 벙벙하다 머니북 2013-01-03 3656
1028 [2013/05/02] 우리말) www 20년 머니북 2013-05-02 3656
1027 [2017/05/02] 우리말) 순식간 머니북 2017-05-06 3656
1026 [2017/05/23] 우리말) 육교 머니북 2017-05-24 3657
1025 [2008/06/11] 우리말) 쯔끼다시를 갈음할 낱말은? id: moneyplan 2008-06-11 3658
1024 [2012/08/03] 우리말) 신기록 갱신과 경신 머니북 2012-08-03 3658
1023 [2014/08/20] 우리말) 허겁지겁과 헝겁지겁 머니북 2014-08-21 3658
1022 [2017/06/22] 우리말) 서식 머니북 2017-06-22 3658
1021 [2015/08/25] 우리말) 간이 크다와 붓다 머니북 2015-08-25 3659
1020 [2007/07/04] 우리말) 과반수와 반수 id: moneyplan 2007-07-04 3660
1019 [2009/08/27] 우리말) 목이 메다 id: moneyplan 2009-08-27 3660
1018 [2009/09/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9-22 3660
1017 [2009/04/20] 우리말) 탈크와 탤크 id: moneyplan 2009-04-20 36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