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29] 우리말) 큰소리와 큰 소리

조회 수 3786 추천 수 125 2010.06.29 09:03:14
'큰 소리'는 말 그대로 크게 내지르는 소리입니다.
'큰소리'는 세 가지 뜻이 있습니다.
1. 목청을 돋워 가며 야단치는 소리.
2. 남 앞에서 잘난 체하며 뱃심 좋게 장담하거나 사실 이상으로 과장하여 하는 말
3. 남한테 고분고분하지 않고 당당히 대하여 하는 말
입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요즘 목이 좋지 않아 병원에 다니고 있습니다.
벌써 두 달이 넘었는데도 아직 좋아지지 않고 있네요.
앞으로 저는 노래방은 잊어야 할 것 같습니다.

지난 토요일 저녁에는 식구와 같이 음악회에 갔는데, 테너와 소프라노가 어찌 그리 부럽던지요.
예전에는 저도 목소리 좋다는 소릴 들었는데...

가끔은 큰 소리도 치고 그랬는데 이제는 목소리를 높일 수 없으니 큰 소리도 못 내게 되었고,
노래방 가서 엽전 열닷냥도 맘껏 불렀는데, 이제는...

오늘은 '큰소리'와 '큰 소리'를 갈라 보겠습니다.

먼저
'큰 소리'는 말 그대로 크게 내지르는 소리입니다.
저는 이제 노래방 가서 큰 소리를 내지 못합니다. ^^*

'큰소리'는 세 가지 뜻이 있습니다.
1. 목청을 돋워 가며 야단치는 소리.
2. 남 앞에서 잘난 체하며 뱃심 좋게 장담하거나 사실 이상으로 과장하여 하는 말
3. 남한테 고분고분하지 않고 당당히 대하여 하는 말
입니다.


저는 앞으로
'큰소리'는 칠 수 있을지언정
'큰 소리'는 못 치게 생겼네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족적과 발자취]

안녕하세요.

아침 7:05 MBC 뉴스에서 '시비거리'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옳으니 그르니 하는 말다툼의 내용이 될 만한 것."은 '시빗거리'가 맞습니다.

7:17 KBS 뉴스에서는
"많이 더워졌다"라고 했습니다.
추위나 더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어찌씨(부사)는 '많이, 적게'가 아니라,
'상당히' 나 '꽤'를 써야 바릅니다.

며칠 전에 박경리 님이 돌아가셨습니다.
우리나라 문학의 큰 별이 지셨네요.
현대 문학에 큰 발자취를 남기고 가신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궁금한 게 있습니다.
왜 뉴스에서는 '발자취'라는 말을 쓰지 않고 다들 '족적'이라는 낱말을 쓸까요?
선생님은 분명히 현대 문학에 큰 '발자취'를 남기셨는데 왜 언론에서는 '족적'을 볼까요?

언론이 이러니 철없는 학자들도 따라가
사전에 '독서'는 올리고 '책읽기'는 올리지 않으며,
'비포장도로'는 올리고 '흙길'은 빼는 바보 같은 짓을 한 거겠죠.

우리나라, 대한민국 국어사전에 '책읽기'와 '흙길'은 없습니다.
쩝...

박경리 님의 명복을 빕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61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184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654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654
267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702
2673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714
2672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717
2671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734
2670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744
2669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748
2668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754
2667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755
2666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761
2665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763
2664 [2016/07/27] 우리말) 볏과 벼슬 머니북 2016-08-10 2768
2663 [2016/05/19] 우리말) 씁쓸하다 머니북 2016-05-20 2775
2662 [2016/03/09] 우리말) 꽃샘추위/잎샘추위/꽃샘잎샘 머니북 2016-03-10 2783
2661 [2013/11/22]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은? 머니북 2013-11-22 2784
2660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787
2659 [2015/08/26] 우리말) 붓다(2) 머니북 2015-08-26 2788
2658 [2009/0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1-09 2791
2657 [2016/01/25] 우리말) 망고하다 머니북 2016-01-26 27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