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13] 우리말) 족집게

조회 수 4010 추천 수 96 2010.07.13 09:50:17
족집게는
"어떤 사실을 정확하게 지적하여 내거나 잘 알아맞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을 뜻하는데,
주로 [쪽찝께]라고 소리를 자주 냅니다.('발음을 많이 합니다'가 아니라...)
그리고 족집게를 쪽집게라고 쓰기도 합니다.

거센소리를 내야만 뜻 전달이 잘된다고 생각해서 그렇게 할지 모르지만,
표준발음은 [족찝께]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무척 더울 것 같네요.

오늘 아침 5:10에 KBS라디오에서 '족집게 문어'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월드컵 우승을 점친 문어 이야기인데요.
사회자가 족집게를 [족찝께]라고 정확하게 소리를 냈습니다.

족집게는
"어떤 사실을 정확하게 지적하여 내거나 잘 알아맞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을 뜻하는데,
주로 [쪽찝께]라고 소리를 자주 냅니다.('발음을 많이 합니다'가 아니라...)
그리고 족집게를 쪽집게라고 쓰기도 합니다.

거센소리를 내야만 뜻 전달이 잘된다고 생각해서 그렇게 할지 모르지만,
표준발음은 [족찝께]입니다.

이제 월드컵은 끝났습니다.
문어가 어느 나라 국기를 선택하는지를 두고 생방송을 하고 있는 것을 보면서,
삶이 얼마나 버거웠으면 저린 짓(?)에 관심을 두나...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잠시 한눈파는 것도 좋지만,
그리 길지 않은 삶을 내실있게 보내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찌게와 찌개]

안녕하세요.

어제 온 답장부터 소개할게요.

평소 우리말 메일을 매우 유익하고 읽고 있습니다. 그러나 오늘 내용은 문제가 많다고 생각됩니다. '덴깡'은 지적하신대로 일본어이며 우리말로 '간질'을 뜻합니다. '간질'은 일본도 그렇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장애유형의 하나로 분류합니다. 그래서 누군가를 비하할 때 '덴깡'을 부린다고 하면 결국 간질로 불편함을 겪고있는 장애인을 비하하는 셈이 됩니다. '덴깡'은 그 질환을 갖고 있는 장애인의 '불편함'의 하나일 뿐입니다.

이런 답장을 받았습니다.
어제 편지는
일본이 하는 짓을 나무라면서 제 뜻과는 달리
장애를 가지신 분을 낮잡아 보는 뜻으로도 비칠 수 있겠네요.
편지를 쓰면서 미처 그렇게까지는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제 편지에 기분이 조금이라도 그분이 나빴거나 불편함을 느끼셨다면 이 자리에서 사과드립니다. 죄송합니다.


어제는 대학교 후배가 와서 오랜만에 김치찌개로 점심을 함께했습니다.

"뚝배기나 작은 냄비에 국물을 바특하게 잡아 고기˙채소˙두부 따위를 넣고, 간장˙된장˙고추장˙젓국 따위를 쳐서 갖은 양념을 하여 끓인 반찬"은
'찌게'가 아니라 '찌개'라는 것을 잘 알고 계시죠?

네이버 웹문서에서 찌개를 검색하니 1,255,357건이 나오고
찌게로 검색하니 430,265건이 나오네요.
다행입니다. ^^*

어떤 낱말을 이름씨 꼴로 만드는 게(명사화) '게'나 '개'입니다.
아래 나온 것 가운데 어떤 게 맞는지 맞혀보실래요?

병따개/병따게, 덮개/덮게, 지우개/지우게, 가리개/가리게, 마개/마게, 베개/베게
지개/지게, 집개/집게, 족집개/족집게

어떤 게 맞는지 찾으셨어요?

실은 딱히 어떤 규칙이 없이 '게'나 '개'가 쓰여 그저 외우는 수밖에 없습니다.
말 그대로 관습법이죠. 그저 외울 수밖에...

오늘 편지는 참 무책임하네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73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256
1236 [2015/04/06] 우리말) 여미다 머니북 2015-04-06 3700
1235 [2007/07/25] 우리말) 공멸은 피해야 합니다 id: moneyplan 2007-07-25 3701
1234 [2007/09/27] 우리말) 가없는 사랑 id: moneyplan 2007-09-27 3701
1233 [2011/01/13] 우리말) 때마침 moneybook 2011-01-13 3701
1232 [2013/10/25] 우리말) 꿀리다 머니북 2013-10-25 3701
1231 [2015/11/19] 우리말) 괘꽝스럽다 머니북 2015-11-23 3702
1230 [2007/06/07] 우리말) 함박꽃 id: moneyplan 2007-06-07 3703
1229 [2007/10/04] 우리말) 사열했다와 사열 받다 id: moneyplan 2007-10-05 3704
1228 [2008/02/25] 우리말) 가장자리 id: moneyplan 2008-02-25 3704
1227 [2011/04/25] 우리말) 요금, 값, 삯, 비 moneybook 2011-04-25 3704
1226 [2012/07/10] 우리말) 주니 머니북 2012-07-10 3704
1225 [2013/04/17] 우리말) 텍스트와 코너 머니북 2013-04-17 3704
1224 [2008/08/07] 우리말) 모밀국수와 메밀국수 id: moneyplan 2008-08-07 3705
1223 [2013/11/05] 우리말) 동거동락 머니북 2013-11-06 3705
1222 [2013/08/26] 우리말) 곁땀 머니북 2013-08-26 3706
1221 [2010/12/28] 우리말) 사뜻하다 moneybook 2010-12-28 3707
1220 [2015/03/30] 우리말) 환절기와 간절기 머니북 2015-03-30 3707
1219 [2007/09/10] 우리말) 파란하늘 id: moneyplan 2007-09-10 3710
1218 [2013/02/12] 우리말) 홀몸노인과 홀로노인 머니북 2013-02-12 3710
1217 [2017/06/13] 우리말) 괘념 머니북 2017-06-13 3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