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14] 우리말) 빠르면 오늘 소환?

조회 수 3613 추천 수 94 2010.07.14 10:36:20
'빠르다'는 속도와 관계가 있습니다.
'이르다'는 시기와 관계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무척 더울 거라고 합니다.
서로 짜증 내지 않고 잘 지내면 좋겠네요.

오늘 아침 7:02 MBC뉴스에서 오늘 민간인 사찰과 관련하여 누구를 소환한다는 소식을 전하면서
'빠르면 오늘 소환'한다고 했습니다.

'빠르면'이 아니라 '이르면'이 맞습니다.

'빠르다'는
"어떤 동작을 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다"라는 뜻으로
속도와 관계가 있습니다.
두뇌 회전이 빠르다, 약효가 빠르다, 걸음이 빠르다, 말이 빠르다, 발놀림이 빠르다처럼 씁니다.

'이르다'는
"계획한 때보다 앞서 있다"는 뜻으로
시기와 관계가 있습니다.
아직 포기하기엔 이르다, 올해는 첫눈이 이른 감이 있다,
그는 여느 때보다 이르게 학교에 도착했다,
공연이 시작되기에는 시간이 일러서인지 온 사람이 아무도 없다처럼 씁니다.

우리도 자주 헷갈리지만 기자들도 자주 틀리는 말 가운데 하나입니다.

오늘도 자주 웃고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게와 개 가르기]

안녕하세요.

어제 어떤 분이 '내비게이션'을 '길찾개'로 다듬으면 어떻겠냐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비록 국립국어원에서 '길도우미'로 다듬기는 했지만 그건 왠지 길을 안내하는 기계가 아니라 사람을 뜻하는 것 같다면서 하신 말씀입니다.

어제 보낸 편지에서 병따개와 병따게 가운데 어떤 게 맞느냐고 물으시는 분들이 많으시네요.

오늘도 '게'와 '개'를 좀더 알아볼게요.

좀 뭉뚱그려서 갈라보면,
'게'는
움직씨(동사) 지다, 집다 따위에만 붙어 이름씨(명사)를 만들지만,
'개'는
거의 모든 움직씨에 붙어 그러한 사람, 사물, 연장이라는 뜻을 더합니다.
오줌싸개, 코흘리개가 그러한 사람을 뜻하고,
찌개, 병따개, 덮개, 지우개 따위가 그러한 사물이나 연장을 뜻하겠죠.
비행기에 붙은 날개도 그렇게 보면 쉽게 풀립니다. 날다에 개가 붙어 나는 물건이 된 거죠.

따라서,
내비게이션을 길찾개라고 바꾸는 것은 문법에도 맞는 참으로 멋진 말입니다.
더 나가서
포클레인을 굴착기니 굴삭기니 따지지 말고 '땅파개'로 하면 쉽고,
컨베이어나 캐리어를 '나르개'로 바꾸면 멋지고,
필터나 여과기는 '거르개'로 바꾸면 낫지 않나요?

누군가는 그러겠죠.
이미 우리말로 굳어진 필터나 캐리어, 컨베이어, 포클레인을 꼭 '개'를 붙여 어색하게 우리말로 바꿔야 하냐고...

그분들에게 여쭙고 싶습니다.
태권도 구령에는 우리말이 한 100개쯤 있다고 합니다.
다른 나라에서 태권도를 배워도 우리말로 구령하고, 국제경기에서도 우리말로 구령합니다.
이것을 어떻게 봐야 하죠?
한쪽에서는 다른 나라 말을 가져오고, 다른 한 쪽에서는 우리말을 다른 나라로 퍼 나르고... ^^*        


spchosun

2010.07.15 10:53:36
*.6.151.169

국어사전에서 '빠르다'를 찾아보면 '시간적으로 이르다'는 뜻도 같이 나옵니다. 실제 일상에서도 정해진 시간보다 먼저 온 사람에게 '빨리 왔네' 등으로 사용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2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51
1176 [2011/04/14] 우리말) 벚꽃 이야기 moneybook 2011-04-14 3484
1175 [2007/11/21] 우리말) 편지에서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7-11-21 3484
1174 [2007/06/18] 우리말) 맏과 맏이 id: moneyplan 2007-06-18 3484
1173 [2007/05/22] 우리말) 보릿고개와 총체보리 id: moneyplan 2007-05-22 3484
1172 [2017/04/13] 우리말) 사전 이야기 머니북 2017-04-13 3483
1171 [2014/07/24] 우리말) 사투리와 표준말 머니북 2014-07-25 3483
1170 [2013/07/17] 우리말) 사날 머니북 2013-07-17 3483
1169 [2010/06/16] 우리말) 허점과 헛점 moneybook 2010-06-16 3483
1168 [2012/04/17] 우리말) 문해율 머니북 2012-04-17 3482
1167 [2008/01/11] 우리말) ‘감옥’과 ‘죄수’에 대하여 id: moneyplan 2008-01-11 3482
1166 [2012/05/17] 우리말) 마사토 머니북 2012-05-18 3481
1165 [2010/11/11] 우리말) 서두르다 moneybook 2010-11-11 3481
1164 [2008/08/27] 우리말) 덕아웃과 더그아웃 id: moneyplan 2008-08-27 3481
1163 [2014/11/26] 우리말) 머지 않다와 멀지않다 머니북 2014-11-26 3480
1162 [2012/06/28] 우리말) '안타깝다' 머니북 2012-06-28 3480
1161 [2013/07/23] 우리말) 자동차와 개미지옥 머니북 2013-07-23 3479
1160 [2008/04/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4-16 3479
1159 [2007/06/20] 우리말) 벼룩시장 id: moneyplan 2007-06-20 3479
1158 [2017/10/16] 우리말) 조쌀하다 머니북 2017-11-06 3478
1157 [2016/08/01] 우리말) 굳이 머니북 2016-08-10 3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