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21] 우리말) 후더분한 날씨

조회 수 3670 추천 수 93 2010.07.21 09:36:20
'후덥지근하다'는 "열기가 차서 조금 답답할 정도로 더운 느낌이 있다."는 뜻이고,
'후텁지근하다'는 "조금 불쾌할 정도로 끈끈하고 무더운 기운이 있는 모양."을 뜻합니다.
둘 다 그림씨(형용사)이고,
후텁지근이 후덥지근보다 큰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젯밤에 잘 주무셨나요?
여름이니까 더운 게 당연하긴 하겠지만 그래도 잠잘때까지 후텁지근한 것은 견디기 쉽지 않더군요.
오늘도 무척 더울거라고 합니다.

날씨가 이렇게 답답할 정도로 더운 것을 두고 후덥지근하다거나 후텁지근하다고 합니다.
두 낱말 가운데 어떤 게 맞을까요?

답은 둘 다 맞습니다.
'후덥지근하다'는 "열기가 차서 조금 답답할 정도로 더운 느낌이 있다."는 뜻이고,
'후텁지근하다'는 "조금 불쾌할 정도로 끈끈하고 무더운 기운이 있는 모양."을 뜻합니다.
둘 다 그림씨(형용사)이고,
후텁지근이 후덥지근보다 큰말입니다.
비슷하게 소리 나는
'후터분하다'와 '후더분하다'는 "불쾌할 정도로 무더운 기운이 있는 모양."입니다.
마찬가지 그림씨입니다.

후덥지근한 밤이 지났습니다. 오늘도 후더분할것 같은데요.
물 자주 드시고, 여름이니까 더우려니하고 더위와 함께 살아가는 것도 더위를 이기는 한 방법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무색 치마]

어제도 무척 후덥지근했는데,
오늘도 어제처럼 후텁지근할 것 같네요.

여름에는 반소매에 흰색 옷을 입어야 덜 덥다는 거 아시죠?
오늘은 색깔이야기입니다.

'무색'이라는 낱말을 아시죠?

무색(無色)은 유색(有色)의 반대말로 "아무 빛깔이 없음"을 뜻합니다.
그래서 '무색무취'는 "아무 빛깔과 냄새가 없음"을 뜻합니다.

그 무색 말고...
'무색 치마'라고 하면 어떤 색깔의 치마를 뜻할까요?

색깔이 없는 색? 그 색은 어떤 색이죠?
설마 투명한 치마? 허걱...
아니면 흰색 치마?

'무색'은 '물색'에서 온 말로 "물감을 들인 빛깔"이라는 뜻입니다.
물에 물감을 탄 뒤 그 물에 천을 넣어 천에 물을 들입니다. 곧, '물색'이 '천색'이 되는 거죠.
따라서 '무색 치마'는 흰색이나 투명한 치마가 아니라,
"물감을 들인 천으로 만든 치마"라는 뜻입니다.
울긋불긋한 '무색 치마'도 말이 되고,
샛노란 '무색 저고리'도 말이 됩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조선일보에 난 기사하나를 연결합니다.

한글 푸대접, 안될 말이죠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5/29/2008052900127.htm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1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49
1356 [2017/08/30] 우리말) 뜻밖에 머니북 2017-08-31 3568
1355 [2016/08/11] 우리말) 철다툼 머니북 2016-08-17 3568
1354 [2015/04/02] 우리말) 누도와 눈물길 머니북 2015-04-02 3568
1353 [2013/05/14] 우리말) 새끼낮 머니북 2013-05-14 3568
1352 [2008/11/25] 우리말) 늙은호박과 청둥호박 id: moneyplan 2008-11-25 3567
1351 [2009/01/19]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1-19 3566
1350 [2008/11/03] 우리말) 박물관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1-03 3566
1349 [2014/07/17] 우리말) 까대기 머니북 2014-07-17 3565
1348 [2016/12/01] 우리말) 붴 머니북 2016-12-05 3564
1347 [2007/08/27] 우리말) 밀월여행 id: moneyplan 2007-08-27 3564
1346 [2012/04/09] 우리말) 낼모레 머니북 2012-04-09 3563
1345 [2012/04/05] 우리말) 한식 머니북 2012-04-05 3563
1344 [2007/08/11] 우리말) 뉘 id: moneyplan 2007-08-13 3563
1343 [2015/01/08] 우리말) 많다와 잦다(2) 머니북 2015-01-09 3562
1342 [2012/11/15] 우리말) 올겨울과 이번겨울(2) 머니북 2012-11-15 3562
1341 [2013/11/04] 우리말) 난임과 촌스럽다 머니북 2013-11-04 3562
1340 [2010/01/14] 우리말) 막걸리 id: moneyplan 2010-01-14 3562
1339 [2009/12/23] 우리말) 슬겁다 id: moneyplan 2009-12-23 3562
1338 [2015/08/05] 우리말) 밤을 지새우다 머니북 2015-08-05 3561
1337 [2011/06/10] 우리말) 단초와 실마리 머니북 2011-06-13 3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