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7/21] 우리말) 후더분한 날씨

조회 수 3656 추천 수 93 2010.07.21 09:36:20
'후덥지근하다'는 "열기가 차서 조금 답답할 정도로 더운 느낌이 있다."는 뜻이고,
'후텁지근하다'는 "조금 불쾌할 정도로 끈끈하고 무더운 기운이 있는 모양."을 뜻합니다.
둘 다 그림씨(형용사)이고,
후텁지근이 후덥지근보다 큰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젯밤에 잘 주무셨나요?
여름이니까 더운 게 당연하긴 하겠지만 그래도 잠잘때까지 후텁지근한 것은 견디기 쉽지 않더군요.
오늘도 무척 더울거라고 합니다.

날씨가 이렇게 답답할 정도로 더운 것을 두고 후덥지근하다거나 후텁지근하다고 합니다.
두 낱말 가운데 어떤 게 맞을까요?

답은 둘 다 맞습니다.
'후덥지근하다'는 "열기가 차서 조금 답답할 정도로 더운 느낌이 있다."는 뜻이고,
'후텁지근하다'는 "조금 불쾌할 정도로 끈끈하고 무더운 기운이 있는 모양."을 뜻합니다.
둘 다 그림씨(형용사)이고,
후텁지근이 후덥지근보다 큰말입니다.
비슷하게 소리 나는
'후터분하다'와 '후더분하다'는 "불쾌할 정도로 무더운 기운이 있는 모양."입니다.
마찬가지 그림씨입니다.

후덥지근한 밤이 지났습니다. 오늘도 후더분할것 같은데요.
물 자주 드시고, 여름이니까 더우려니하고 더위와 함께 살아가는 것도 더위를 이기는 한 방법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무색 치마]

어제도 무척 후덥지근했는데,
오늘도 어제처럼 후텁지근할 것 같네요.

여름에는 반소매에 흰색 옷을 입어야 덜 덥다는 거 아시죠?
오늘은 색깔이야기입니다.

'무색'이라는 낱말을 아시죠?

무색(無色)은 유색(有色)의 반대말로 "아무 빛깔이 없음"을 뜻합니다.
그래서 '무색무취'는 "아무 빛깔과 냄새가 없음"을 뜻합니다.

그 무색 말고...
'무색 치마'라고 하면 어떤 색깔의 치마를 뜻할까요?

색깔이 없는 색? 그 색은 어떤 색이죠?
설마 투명한 치마? 허걱...
아니면 흰색 치마?

'무색'은 '물색'에서 온 말로 "물감을 들인 빛깔"이라는 뜻입니다.
물에 물감을 탄 뒤 그 물에 천을 넣어 천에 물을 들입니다. 곧, '물색'이 '천색'이 되는 거죠.
따라서 '무색 치마'는 흰색이나 투명한 치마가 아니라,
"물감을 들인 천으로 만든 치마"라는 뜻입니다.
울긋불긋한 '무색 치마'도 말이 되고,
샛노란 '무색 저고리'도 말이 됩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조선일보에 난 기사하나를 연결합니다.

한글 푸대접, 안될 말이죠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5/29/2008052900127.htm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3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74
1256 [2014/11/27] 우리말) 뭉그적거리다와 밍기적거리다 머니북 2014-11-27 3520
1255 [2015/11/16] 우리말) 은근과 은근히 머니북 2015-11-16 3519
1254 [2009/05/15] 우리말) 프로와 아마추어 id: moneyplan 2009-05-15 3519
1253 [2008/12/17] 우리말) 땅보탬 id: moneyplan 2008-12-17 3519
1252 [2015/05/04] 우리말) '집안'과 '집 안' 머니북 2015-05-04 3518
1251 [2012/06/19] 우리말) 수키와 머니북 2012-06-19 3518
1250 [2013/09/23] 우리말) 설레다와 설렘 머니북 2013-09-23 3518
1249 [2011/01/17] 우리말) 많이와 꽤 moneybook 2011-01-17 3518
1248 [2008/11/05] 우리말) 반보기 id: moneyplan 2008-11-05 3517
1247 [2008/10/02] 우리말) 한글날을 앞두고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6 3517
1246 [2008/08/11] 우리말) 애오라지 id: moneyplan 2008-08-13 3517
1245 [2010/03/17] 우리말) 찌푸리다 id: moneyplan 2010-03-17 3516
1244 [2013/08/08] 우리말) '우편 번호' 띄어쓰기 머니북 2013-08-08 3515
1243 [2010/03/19] 우리말) 훈민정음이 세계문화유산? id: moneyplan 2010-03-19 3515
1242 [2008/03/31]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8-03-31 3515
1241 [2007/12/27] 우리말) 맥쩍다와 맛적다 id: moneyplan 2007-12-27 3515
1240 [2013/07/29] 우리말) 두남두다 머니북 2013-07-29 3513
1239 [2013/04/22] 우리말) 보니 -> 천생 머니북 2013-04-22 3513
1238 seernews 운영자의 링크(link)가 있는 이야기 id: moneyplan 2008-11-11 3513
1237 [2016/06/02] 우리말) 바다로 나간 우리말 머니북 2016-06-07 3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