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8/09] 우리말) 엉터리 자막 몇 개

조회 수 4442 추천 수 98 2010.08.09 13:09:35
같은 방송에서 누군가 '어메니티'라고 이야기하니까
자막에 '즐길거리'라고 다듬어서 나왔습니다. 참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주말에 텔레비전에서 본 잘못된 말 몇 가지 짚어 보겠습니다.

토요일 아침 08:38, KBS1에서 사회자가 "그닥 도움이 안 된다"고 했습니다.
요즘 누리집에서 "그러한 정도로는 또는 그렇게까지는"이란 뜻을 나타내는 부사 '그다지'를 '그닥'으로 쓰는 일이 잦더군요.
이는 잘못된 표현으로 표준어인 '그다지'로 써야 합니다.

토요일 저녁 7:41, KBS2에서 "나름 잘나가는 가수"라고 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나름'은 의존 명사입니다.
의존 명사는 의미가 형식적이어서 다른 말 아래에 기대어 쓰는 게 일반적입니다.
나름이다, 나름대로, 나름이지, 나름으로처럼 쓰는 게 좋다고 봅니다.

같은 방송에서 누군가 '어메니티'라고 이야기하니까
자막에 '즐길거리'라고 다듬어서 나왔습니다. 참 좋습니다. ^^*

일요일 아침 7:40, KBS2에서 산악인 엄홍길 씨 이야기를 다루면서 '고난이도 동작'이라고 자막이 나왔습니다.
난이도는 쉽고 어려운 정도인 난도와 이도를 합친 말입니다.
굳이 따지자면
어떤 기술이 해내기 매우 어려운 상태임을 뜻할 때 '고난도의 기술' 또는 '난도 높은 기술'은 맞지만 '고난이도'로 쓰는 건 틀립니다.
그러나
'고난도의 기술'이나 '난도 높은 기술'이라는 말보다는
'어려운 기술', '까다로운 기술', '하기 어려운 기술'이라고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일요일 아침 8:46, MBC에서 출연자가 "집하고 배는 틀리다."라고 말했고, 자막도 그렇게 나왔습니다.
집과 바다에 있는 배는 서로 틀린 게 아니라 다른 겁니다.

오늘도 여전히 더울 거라고 합니다.
사람에 따라 더위를 많이 타는 사람도 있고, 좀 덜 타는 사람도 있을 겁니다.
이건 누군가 틀린 게 아니라 각자 다른 겁니다.
오늘은 나와 다른 남을 더 생각하는 하루로 살고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어메니티는 여러가지 뜻을 포함한 낱말로 단순히 즐길거리라고만 번역할 수는 없지만,
방송에서는 즐길거리 위주로 나와서 그렇게 번역한 것 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방귀 뀌다와 방구 끼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랜만에 저희 집 애들 이야기 좀 해 볼까요?
제 아들은 이제 겨우 네 살입니다. 그래 봐야 35개월입니다.
이제 막 말문이 트여 제법 말을 잘합니다. 두 살 위 누나와 말다툼도 잘합니다. ^^*

오늘 아침에 누나가 방귀를 뀌니
"에이~~~ 방귀!"라고 정확하게 소리를 냅니다.
방송에서도 흔히 방구라고 하는데 저희 집 애들은 '방귀'라고 정확하게 소리를 냅니다.
또, 끼다고도 안 하고 뀌다고 합니다.
'방구 끼다'는 말을 많이 들었을 것 같은데도 '방귀 뀌다'고 합니다.
어린아이가 발음하기에는 다소 어려울 것 같은데도 애써 정확하게 소리냅니다. 기특하게도...^^*

방구가 아니라 방귀가 맞다는 것은 몇 번 말씀 드린 것 같네요.
오늘은 뀌다와 끼다를 갈라볼게요.

'뀌다'는 "(방귀를) 몸 밖으로 내어 보내다"는 뜻입니다.
말 그대로 방귀를 뀌는 거죠.

'끼다'는
안개가 끼다, 때가 끼다, 깍지를 끼다처럼
때나 먼지 등이 엉겨붙다는 뜻과 다른 것을 덧붙이거나 겹치다는 뜻으로 씁니다.

소리가 비슷한 '꾸다'는
'꿈'과 관련된 이름씨와 함께 쓰여 "꿈을 보다."는 뜻입니다. 꿈을 꾸는 거죠.

방귀 뀐 놈이 성낸다고 합니다.
오늘은 방귀를 뀌고 나면 먼저 사과할 줄 아는, 부끄러움을 아는 하루로 지내고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2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58
1636 [2013/01/24] 우리말) 잊힌과 잊혀진 머니북 2013-01-24 3675
1635 [2013/01/23] 우리말) 백조와 고니 머니북 2013-01-23 3476
1634 [2013/01/22] 우리말) 사거리와 네거리 머니북 2013-01-22 3843
1633 [2013/01/21] 우리말) 땡땡이 무늬 머니북 2013-01-21 3816
1632 [2013/01/18] 우리말) 해 질 녁 머니북 2013-01-18 3342
1631 [2013/01/16] 우리말) 야미 머니북 2013-01-17 3438
1630 [2013/01/16] 우리말) 현수막과 횡단막 머니북 2013-01-16 3387
1629 [2013/01/15] 우리말) 사돈 머니북 2013-01-15 3929
1628 [2013/01/14] 우리말) 동장군 머니북 2013-01-14 3635
1627 [2013/01/11]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3-01-11 3967
1626 [2013/01/10] 우리말) 편지를 읽고... 머니북 2013-01-10 3216
1625 [2013/01/09] 우리말) 중소氣UP! 머니북 2013-01-09 3589
1624 [2013/01/08] 우리말) 휴마트 머니북 2013-01-08 3557
1623 [2013/01/07] 우리말) 북과 북돋우다 머니북 2013-01-07 3221
1622 [2013/01/04] 우리말) 쇄정이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머니북 2013-01-04 3127
1621 [2013/01/03] 우리말) 어안이 벙벙하다 머니북 2013-01-03 3688
1620 [2013/01/02] 우리말) 제야 머니북 2013-01-02 3335
1619 [2012/12/31] 우리말) 운김 머니북 2013-01-02 3756
1618 [2012/12/28] 우리말) 매무시와 매무새 머니북 2012-12-28 3013
1617 [2012/12/27] 우리말) 길 머니북 2012-12-27 3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