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8/18] 우리말) 언어예절

조회 수 3141 추천 수 89 2010.08.18 09:06:07
국립국어연구원에서 펴낸 '표준화법 해설'을 파일로 붙입니다.
hwp가 아니라 pdf 파일입니다.



안녕하세요.

새벽부터 소나기가 오더니 낮에는 무척 더울 거라고 합니다.
이제 이 더위도 곧 물러갈 겁니다.
물러가기 전에, 있는 동안이라도 더위와 싸우지 말고 친하게 지내다 보내줍시다.
그래야 내년에 또 보죠. ^^*

아시는 것처럼 말에도 예절이 있습니다.
그런 예절을 1992년에 국립국어연구원에서 '표준화법 해설'이 표준입니다.
벌써 20년 가까이 되었네요. 아마도 국립국어원에서 곧 개정할 것 같습니다.

국립국어연구원에서 펴낸 '표준화법 해설'을 파일로 붙입니다.
hwp가 아니라 pdf 파일입니다.

말에도 지켜야 할 예절이 있고,
사람끼리도 지켜야 할 예절이 있으며,
자연에게도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예절이 있다고 봅니다.
오늘은 자연의 고마움을 느끼면서 하루를 지내고 싶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그냥 제 아들 이야기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이 토요일, 내일 일요일이 제 아들 생일입니다.
나이는 네 살이지만 이제 겨우 36개월 됐습니다.
두 돌이 좀 지나니 말문이 트이기 시작하더니 이제는 제법 말을 잘합니다.
누가 따로 말하는 것을 가르쳐준 것도 아닌데 무척 잘합니다.

저희 어머니는 그런 애를 보고, 몸속 어딘가에 말이 들어 있다가 때가 되면 한꺼번에 나온 거라고 하십니다.
배워서 저렇게 하려면 그 어린 나이에 어떻게 그렇게 빨리 배울 수 있겠냐면서...

옛 어르신은 말을 배운다고 하지 않고 말문이 트인다고 했습니다.
자전거 타는 것처럼 배워서 되는 게 아니라 본래 안에 있던 게 한순간에 드러나는 것이라고 본 거죠.

'트이다'는 "식물의 싹, 움, 순 따위가 벌어지다"나 "막혀 있던 것을 치우고 통하게 하다"는 뜻인 '트다'의 입음움직씨(피동사)입니다.
어린아이에게 말이라는 어떤 싹이나 그런 유전자가 안에 들어 있다가 때가 되면 한꺼번에 나온다고 본 거죠.

제가 봐도 그런 것 같습니다.
어린아이들은 주위에서 말을 듣고 배운다지만
자라는 여건이 다른데도 말문은 두 살쯤 되면 다 트입니다.
부모가 키우건 든 할머니가 키우건 그 쯤되면 다 말문이 트입니다.
그래서 저도 저희 어머니 말에 동감합니다.
애들은 어딘가에 말을 품고 있다고 두 돌쯤 지나면 내뱉기 시작하는 거라고...^^*

우리 조상은 참으로 현명하십니다.
우리는 애가 태어나자마자 한 살을 줍니다.
어머니 배 속에 있을 때부터 나이를 세기 시작하니 태어나자마자 두 살이 되는 거죠.
곧, 배 속의 태아도 사람으로 본 겁니다. 그래서 태교를 그렇게 중요하게 생각하셨겠죠.

또,
옛날에는 자녀를 많이 낳아 길렀습니다.
가난한데도 많이 낳아 길렀습니다.
왜 그리 많이 낳으셨냐고 묻는다면 아마도 저절로 생겼다고 할 것이고
애들은 태어나면서 자기 먹을 것은 다 가지고 나오니 걱정할 게 없다고 하실 겁니다.

저도 요즘 그런 생각을 많이 합니다. ^^*
제 애들이 다 자기 먹을 것을 갖고 태어났다고 봅니다.
저는 제 아들과 딸이 차가운 머리보다는 따뜻한 가슴을 가진 애로 자랐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라고, 눈치보다는 배려를 먼저 알고 나눔과 베풂을 먼저 아는 아이로 자라라고,
오늘도 오후에 애들과 함께 흙 밭에서 뒹굴고 놀 생각입니다.

저는 세상에서 제일 깨끗하고 진실한 것이 해와 흙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해야 햇빛을 받는 것밖에 할 수 없지만,
흙은 만지고 놀면서 즐길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흙이 좋습니다.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18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742
316 [2011/01/21] 우리말) 늦장과 늑장 moneybook 2011-01-21 3112
315 [2014/12/04] 우리말) 도 긴 개 긴/도찐개찐 머니북 2014-12-04 3111
314 [2014/02/21] 우리말) 야로/개염/더펄이 머니북 2014-02-21 3111
313 [2015/09/09] 우리말) 여탐과 예탐 머니북 2015-09-11 3110
312 [2011/03/08] 우리말) 첫날 밤과 첫날밤 moneybook 2011-03-08 3110
311 [2017/06/14] 우리말) 우둥우둥 머니북 2017-06-14 3109
310 [2014/04/10] 우리말) 정부 보도자료 평가단 머니북 2014-04-10 3108
309 [2010/11/16] 우리말) 연패 moneybook 2010-11-17 3107
308 [2009/09/10] 우리말) 마찬가지 id: moneyplan 2009-09-10 3107
307 [2012/01/26] 우리말) 에멜무지로 머니북 2012-01-27 3106
306 [2008/12/29] 우리말) 광명역 주차장에... id: moneyplan 2008-12-29 3106
305 [2013/05/07] 우리말) 꽃비와 꽃보라 머니북 2013-05-07 3105
304 [2009/12/30] 우리말) 댓글 소개 id: moneyplan 2009-12-30 3105
303 [2008/11/1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1-18 3105
302 [2016/04/29] 우리말) 주접스럽다 머니북 2016-04-29 3104
301 [2014/06/25] 우리말) 끌탕 머니북 2014-06-26 3104
300 [2010/09/24] 우리말) 꽤 쌀쌀 moneybook 2010-09-24 3104
299 [2015/12/28] 우리말) 무엇이든 '가져야' 할까? 머니북 2015-12-28 3103
298 [2010/11/19] 우리말) 트네기 moneybook 2010-11-19 3103
297 [2009/05/21] 우리말) 이모씨 id: moneyplan 2009-05-21 3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