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8/19] 우리말) 민얼굴과 맨얼굴

조회 수 3255 추천 수 92 2010.08.19 07:49:42
민얼굴이나 맨얼굴이나 뜻이 같다면, 둘 가운데 하나만 사전에 올려 쓰임을 막을 게 아니라,
둘 다 사전에 올려 복수표준어로 만들어 주는 것도 우리말을 풍부하게 해주는 게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안녕하세요.

잘 주무셨나요?
이번 주말까지 막바지 열대야가 있을 거라고 합니다.
요즘 을지연습 기간이다 보니 회사에서 밤을 새울 때가 잦습니다.
새벽에 잠시 눈을 붙이고 일어나 보면 부스스한 머리에 눈곱 낀 얼굴을 서로 보게 됩니다.
누구랄 것도 없이 부스스한 얼굴을 남에게 보여주기는 싫을 겁니다.

"화장하지 않은 여자의 얼굴"은 '민낯'이라고 합니다. 사전에 따르면 여자에게만 쓸 수 있는 낱말입니다.
"꾸미지 않은 얼굴"은 '민얼굴'입니다. 이 낱말은 여자나 남자 모두에게 쓸 수 있습니다.

요즘은 '맨얼굴'이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사전에는 없는 낱말인데 조어법에는 맞는 말입니다.
앞가지(접두사) '맨-'은 일부 이름씨(명사) 앞에 붙어 "다른 것이 없는"의 뜻을 더합니다.
맨발, 맨땅, 맨주먹 따위로 쓰입니다.

민얼굴이나 맨얼굴이나 뜻이 같다면, 둘 가운데 하나만 사전에 올려 쓰임을 막을 게 아니라,
둘 다 사전에 올려 복수표준어로 만들어 주는 것도 우리말을 풍부하게 해주는 게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러나
'쌩얼'이라는 낱말은 좀 거시기 합니다.
민얼굴, 맨얼굴에 견줘 쌩얼을 좀 싸구려처럼 느껴지지 않나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엉터리 자막]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오늘은 오랜만에 텔레비전에서 본 엉터리 말 몇 개 알아볼게요.

6월 26일(금) 밤 11:20, MBC
다르다와 틀리다를 가르지 못한 채 썼습니다.
같은 방송 11:33,
1Kg이라고 나왔습니다. 무게 단위는 KG이나 Kg가 아니라 kg입니다.

토요일, SBS, 오전 9:37
반죽이나 밥, 떡 따위가 끈기가 많다는 뜻을 이야기하면서
'차지다'고 해야 할 것을 '찰지다'고 했습니다.

일요일, KBS2, 저녁 6:24,
'트롯'이라고 했습니다.
대중가요의 하나인 성인가요는 트롯이 아니라 트로트입니다.

일요일 저녁 6:34, KBS2,
어떤 한 가지 일에 몹시 열중하는 사람 또는 그런 일은 마니아(mania)인데,
'메니아'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5분 뒤 '6. 13'이라고 나왔습니다. 월 다음에 점을 찍듯이 일 다음에도 점을 찍어 '6. 13.'이라고 해야 합니다.

일요일 저녁 MBC, 6:57,
'안절부절 하는...'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마음이 초조하고 불안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다고 할 때는 '안절부절못하다'고 해야 합니다.

일요일 저녁 KBS, 7:44,
'가방을 매다'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어깨에 걸치거나 올려놓다는 뜻의 낱말은 '매다'가 아니라 '메다'입니다.

일요일 저녁 KBS, 7:52
정답을 맞추고...라고 했습니다.
그것도 고등학생들이 주로 보는 도전골든벨에서...
입은 맞추는 것이고, 정답은 맞히는 것입니다.

주말에 애들과 놀다 잠시 텔레비전을 봤는데도 이렇습니다.
도대체 어디에 정신을 팔고 방송을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텔레비전 보는 사람을 만만하게 보는 게 아니라면 이렇게 엉터리 자막을 내 보내지는 않을 것 같기도 합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5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87
1616 [2011/12/06] 우리말) 딸내미와 싸움 머니북 2011-12-06 3675
1615 [2015/06/11] 우리말) 나들못 머니북 2015-06-12 3674
1614 [2013/01/03] 우리말) 어안이 벙벙하다 머니북 2013-01-03 3674
1613 [2010/12/20] 우리말) 움츠리다 moneybook 2010-12-20 3674
1612 [2009/04/20] 우리말) 탈크와 탤크 id: moneyplan 2009-04-20 3674
1611 [2007/04/24] 우리말) 대충 잘하라는 게 어때서? id: moneyplan 2007-04-24 3674
1610 [2012/12/05] 우리말) 거슬르다 -> 거스르다 머니북 2012-12-05 3673
1609 [2012/05/01] 우리말) 전기료와 전기세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2-05-02 3673
1608 [2008/10/28] 우리말) 명함 만들기 id: moneyplan 2008-10-28 3673
1607 [2008/10/15] 우리말) 수군수군과 소곤소곤 id: moneyplan 2008-10-15 3673
1606 [2008/08/30] 우리말) 토요일이라 좀 널널하죠? id: moneyplan 2008-08-31 3673
1605 [2012/05/15] 우리말) 스승의 날 머니북 2012-05-15 3672
1604 [2011/06/13] 우리말) 헐수할수없다 머니북 2011-06-13 3672
1603 [2010/07/28] 우리말) 시르죽다 moneybook 2010-07-28 3672
1602 [2008/02/18] 우리말) 자막 틀린 거 몇 개 id: moneyplan 2008-02-18 3672
1601 [2014/12/17] 우리말) 삐지다와 삐치다 머니북 2014-12-17 3671
1600 [2013/05/02] 우리말) www 20년 머니북 2013-05-02 3671
1599 [2008/12/26] 우리말) 흥청거리다와 흔전거리다 id: moneyplan 2008-12-26 3671
1598 [2017/08/14] 우리말) 갑질에 대한 짧은 생각2 머니북 2017-08-16 3670
1597 [2017/02/09] 우리말) 안갚음과 앙갚음 머니북 2017-02-10 3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