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8/23] 우리말) 댓글 두 개

조회 수 3206 추천 수 111 2010.08.23 09:29:48
농가에서는 '어정칠월, 동동 팔월'이라고 했습니다.
음력 칠월은 별일이 없이 어정거리다가 지나가 버린다는 뜻이고,
음력 팔월은 매우 바빠 언제 지나갔는지도 모르게 빨리 지나간다는 뜻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이 처서입니다.
처서에 비가 오면 독 안의 곡식도 줄어든다는 속담이 있는데 오늘 비가 온다니 걱정입니다.
처서 밑의 비는 괜찮지만, 처서 뒤의 큰비나 태풍은 애써 가꿔놓은 농사를 망칠 수가 있기에 예부터 걱정을 많이 했습니다.
농가에서는 '어정칠월, 동동 팔월'이라고 했습니다.
음력 칠월은 별일이 없이 어정거리다가 지나가 버린다는 뜻이고,
음력 팔월은 매우 바빠 발을 동동 구르다 언제 지나갔는지도 모르게 빨리 지나간다는 뜻입니다.
이제 수확까지 큰 비나 바람 없이
따사로운 햇볕에서 곡식과 과일이 잘 익으면 좋겠습니다.
예부터 조상님들은
이 처서가 지나면 따가운 햇볕이 누그러져서 풀이 더 자라지 않는다고 보고,
논두렁을 베고 산소의 풀을 깎는 벌초를 했습니다.
저도 다음나 다다음주 쯤 고향에 벌초하러 갈 생각입니다. ^^*


지난 주에 보낸 우리말 편지를 보시고 주 아무게 님이 보낸 편지를 소개하겠습니다.

(앞 글 없앰)
이제 추석이 한 달 정도 남았다고 합니다. 벌써 며칠 전부터 추석 차례상과 물가에 대해 방송하고 있습니다.
오늘 아침KBS1라디오방송에서도 "올 추석 차례상은 4인 가족 기준으로 ~" 얼마 정도 들 거라고 하는 것을 들었습니다.
차례란 명절날 아침에 조상님께 올리는 제사가 아닙니까?
따라서 차례상은 조상님께 올리는 제사음식인데 이 음식을 준비하는데 살아있는 가족 수를 '4인 가족이니, 5인 가족이니'하고 들먹이는 것은 맞지 않은 표현이라 생각합니다.
차라리 '차례'라는 말을 빼고 "이번 추석을 지내려면 4인 가족 기준으로 ~"얼마 정도 들 것이라고 하는 것이 더 맞을 것 같습니다.
명절이 돌아와 차례상 지낸다고 조상을 위하는 척 조상 핑게를 대고 차례상 음식 장만하는데 가족 수를 대고 있으니......
이러고도 공영방송의 기자 또는 PD나 아나운서의 자격이 있는지 모르겠군요.
앞으로 추석이 돌아 올때까지 한 달여 동안 거의 날마다 몇 번씩 이런 엉터리 방송을 들을 것 같으니 미리 겁이 납니다.
사실 이번 뿐이 아닙니다. 작년에도 또 재작년에도 그 앞에도 추석이나 설 명절이 가까워 오면 꼭 이런 엉터리 방송을 듣게 됩니다.
국민을 대표하여 성박사님께서 방송 좀 제대로 하라고 방송국에 일갈 하셨으면 하고 부탁하고자 저의 의견을 보냅니다.
물론 '우리말편지'에도 이런 내용을 쓰셔서 '차례와 차례상'의 의미와 가족 수와는 무관하다는 것을 확실하게 짚어 설명해 주셨으면 하고 부탁합니다.
현대 핵가족에서는 명절이 와도 전통적인 의미가 담긴'차례'를 지내지 않고 있는 가정이 상당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그런 가정에서도 명절은 쇠겠죠. 다만 차례상만 차리지 않을테니까요.
국민들이 언어생활하는데 헷갈리지 않도록 성 박사님께서 명쾌하게 짚어 주시기를 바랍니다.



최 아무게 님이 보내주신 편지도 소개합니다.

"보통은 '드림'보다 '올림'이 더 공손해 보입니다."라는 의견을 주셨는데
제 개인의견으로는 <올림>은 수직적 인간관계가 보편적이던 시대에 알맞는 표현이고
수평적 인간관계가 중요해진 요즈음엔 <드림>으로 쓰는 것이 더 나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드림>을 주로 쓰고 있지요.
즉, 서로가 상대방의 인격을 존중하고 인정하는 그런 사회에서는 올림이란 표현이 어색하단 생각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총리후보로도 거론되던 아주 유명한 안모박사님은 어머니께서 어린이 때부터 아들인 자기에게 공대말을 썼다고 하시더군요.
괜히 시비 걸어 보았습니다 ^^
즐겁고 행복한 주말 보내십시오.

우리말 편지를 꼼꼼히 읽어보시고 관심을 갖고 고쳐주셔서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하이브리드]

안녕하세요.

우산 챙겨오셨죠?

오늘처럼 비가 오는 날은 자전거를 타고 나올 수가 없습니다. 이럴 때는 차가 좋죠. ^^*
요즘 기름 값이 비싸니까 차를 살 때 하이브리드차를 사야 한다고 하네요.
하이브리드...

언젠가 퍼지와 클러스터 이야기를 해 드렸죠?
오늘은 하이브리드 이야기를 해 볼게요.

먼저,
사전에 있는 하이브리드(hybrid)의 뜻은 '잡종'입니다.
원래 이 말은 집돼지와 멧돼지의 변종교배를 나타내는 것으로
집돼지와 멧돼지를 교배해 나온 잡종 돼지를 표현할 때 쓰던 낱말입니다.

곧, "서로 다른 두 가지가 섞여 있음. 또는 그런 물건"의 뜻으로 쓰게 되어
'하이브리드 카'는 휘발유와 전기를 번갈아 동력으로 사용하여 연비를 높이고 유해가스 배출량을 줄인 차를 뜻합니다.
하이브리드 컴퓨터니 하이브리드 칩이니 하는 것도 모두 그런 뜻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2004년 12월에 하이브리드를 갈음하는 우리말로 '어우름'을 뽑았습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하이브리드'와 '어우름'모두 올라 있지 않습니다.

'에너지'는 이미 우리말로 굳어버린 외래어입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는 아직 우리말로 굳지 않았습니다.
빨리 하이브리드를 갈음할 좋은 우리말을 찾거나 만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요즘 에너지 이야기를 많이 합니다. 이럴 때 이 낱말을 다듬으면 좋다고 봅니다.
나중에는, 이 말이 굳어버리고 나면 우리말로 바꿀 수 없습니다.
하이브리드가 우리말(외래어)로 자리를 잡아버리게 됩니다.

제가 아무런 힘이 없네요.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3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507
2376 [2015/11/04] 우리말) 벗바리 머니북 2015-11-05 3030
2375 [2017/03/06] 우리말) 홍두깨 머니북 2017-03-07 3033
2374 [2008/07/14] 우리말) 아름답다 id: moneyplan 2008-07-14 3034
2373 [2009/03/30] 우리말) 서머하다 id: moneyplan 2009-03-30 3034
2372 [2009/12/11] 우리말) 잎과 닢 id: moneyplan 2009-12-11 3034
2371 [2016/07/26] 우리말) 어떻게/어떻해 머니북 2016-08-10 3034
2370 [2013/05/07] 우리말) 꽃비와 꽃보라 머니북 2013-05-07 3035
2369 [2012/11/26] 우리말) 흐리멍텅 -> 흐리멍덩 머니북 2012-11-26 3035
2368 [2009/05/21] 우리말) 이모씨 id: moneyplan 2009-05-21 3036
2367 [2010/12/09] 우리말) 미친 존재감 moneybook 2010-12-09 3036
2366 [2016/02/26] 우리말) 대보름날 윷놀이 머니북 2016-02-27 3036
2365 [2017/03/15] 우리말) 꽃보라 머니북 2017-03-15 3037
2364 [2009/07/09] 우리말) 도리기와 도르리 id: moneyplan 2009-07-09 3038
2363 [2010/11/16] 우리말) 연패 moneybook 2010-11-17 3038
2362 [2014/04/08] 우리말) 구름다리와 섬다리 머니북 2014-04-08 3038
2361 [2009/03/2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3-25 3039
2360 [2012/04/18] 우리말) 벚꽃 이야기 머니북 2012-04-18 3039
2359 [2014/01/29] 우리말) 커피 나오셨습니다 머니북 2014-01-29 3040
2358 [2015/11/02] 우리말) 생무지 머니북 2015-11-02 3040
2357 [2008/08/19] 우리말) 여태와 여직 id: moneyplan 2008-08-19 30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