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9/17] 우리말) 답은 아람입니다

조회 수 3293 추천 수 85 2010.09.17 08:20:04
물질적인 선물은 못드리지만,
마음으로 드리는 선물은 많이 드리겠습니다.
한가위 잘 보내시길 빕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낸 문제 답은 '아람'입니다.
(아람 : 밤이나 상수리 따위가 충분히 익어 저절로 떨어질 정도가 된 상태. 또는 그런 열매)

그제와 어제 낸 문제로
이경진, 강봉구, 정원우, 정현식, 김세정, 김순표, 정주철, 신창기, 이준희, 김석원, 김호룡 님께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답을 보내시면서 주소를 같이 적으시고 왜 선물을 보내지 않으시냐는 분들이 있었습니다.
죄송합니다.
답을 맞히신 모든 분께 선물을 보내드리지는 못합니다.
먼저 답을 맞히신 다섯 분께만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나중에 제가 부자가 되면 그때는 많은 분께 선물을 보내드리겠습니다. ^^*

물질적인 선물은 못드리지만,
마음으로 드리는 선물은 많이 드리겠습니다.
한가위 잘 보내시길 빕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맛적다와 멋쩍다]

어제 편지를 보시고 몇 분이 댓글을 달아주셨습니다.
제가 애도 아닌데 그런 투정을 부려서 죄송합니다.
멋쩍네요.

흔히 어색하고 쑥스러울 때 멋쩍다고 합니다.
'멋쩍다'는 그림씨(형용사)로
그는 자신의 행동이 멋쩍은지 뒷머리를 긁적이며 웃어 보였다, 나는 그들을 다시 보기가 멋쩍었다처럼 씁니다.
이를 '멋적다'로 쓰시면 안 됩니다.

예전에는 '멋적다'로 적었습니다.
그러나 요즘 쓰는 한글맞춤법에는 적다(少)의 뜻이 없이 소리가 [쩍]으로 나면 '쩍'으로 쓴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멋쩍다가 멋이 적다는 뜻이 아니고, 소리도 멋쩍다로 나므로 '멋쩍다'로 쓰는 게 바릅니다.
맥쩍다, 해망쩍다, 겸연쩍다, 객쩍다, 수상쩍다, 미심쩍다, 미안쩍다 따위가 그런 겁니다.

그러나 맛적다는 다릅니다.
소리는 [맏쩍따]로 나지만 낱말 뜻에 적다(少)의 뜻이 살아 있는
"재미나 흥미가 거의 없어 싱겁다."는 뜻이므로
'맛적다'로 적는 게 옳습니다.

제가,
사람이 맛적으니 어제 일도 영 멋쩍네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58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04
1596 [2007/04/24] 우리말) 대충 잘하라는 게 어때서? id: moneyplan 2007-04-24 3679
1595 [2013/01/03] 우리말) 어안이 벙벙하다 머니북 2013-01-03 3678
1594 [2016/07/12] 우리말) 수근거리다 -> 수군거리다 머니북 2016-07-13 3677
1593 [2013/07/18] 우리말) 소강과 주춤 머니북 2013-07-18 3677
1592 [2011/06/13] 우리말) 헐수할수없다 머니북 2011-06-13 3677
1591 [2009/11/17] 우리말) 들러리 id: moneyplan 2009-11-17 3677
1590 [2009/11/09] 우리말) 안쫑잡다 id: moneyplan 2009-11-09 3677
1589 [2008/09/03] 우리말) 옥생각과 한글날 id: moneyplan 2008-09-03 3677
1588 [2013/05/02] 우리말) www 20년 머니북 2013-05-02 3676
1587 [2012/12/05] 우리말) 거슬르다 -> 거스르다 머니북 2012-12-05 3676
1586 [2012/05/15] 우리말) 스승의 날 머니북 2012-05-15 3676
1585 [2010/12/20] 우리말) 움츠리다 moneybook 2010-12-20 3676
1584 [2009/04/20] 우리말) 탈크와 탤크 id: moneyplan 2009-04-20 3675
1583 [2008/12/26] 우리말) 흥청거리다와 흔전거리다 id: moneyplan 2008-12-26 3674
1582 [2008/10/31] 우리말) 권커니 잣거니 id: moneyplan 2008-10-31 3674
1581 [2010/10/06] 우리말) 조찬 moneybook 2010-10-06 3673
1580 [2008/12/19] 우리말) 억장이 무너지다 id: moneyplan 2008-12-19 3673
1579 [2017/02/09] 우리말) 안갚음과 앙갚음 머니북 2017-02-10 3672
1578 [2009/02/16] 우리말) 나름대로... id: moneyplan 2009-02-16 3672
1577 [2007/08/02] 우리말) '리터당'은 '리터에'로... id: moneyplan 2007-08-02 3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