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9/17] 우리말) 답은 아람입니다

조회 수 3366 추천 수 85 2010.09.17 08:20:04
물질적인 선물은 못드리지만,
마음으로 드리는 선물은 많이 드리겠습니다.
한가위 잘 보내시길 빕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낸 문제 답은 '아람'입니다.
(아람 : 밤이나 상수리 따위가 충분히 익어 저절로 떨어질 정도가 된 상태. 또는 그런 열매)

그제와 어제 낸 문제로
이경진, 강봉구, 정원우, 정현식, 김세정, 김순표, 정주철, 신창기, 이준희, 김석원, 김호룡 님께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답을 보내시면서 주소를 같이 적으시고 왜 선물을 보내지 않으시냐는 분들이 있었습니다.
죄송합니다.
답을 맞히신 모든 분께 선물을 보내드리지는 못합니다.
먼저 답을 맞히신 다섯 분께만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나중에 제가 부자가 되면 그때는 많은 분께 선물을 보내드리겠습니다. ^^*

물질적인 선물은 못드리지만,
마음으로 드리는 선물은 많이 드리겠습니다.
한가위 잘 보내시길 빕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맛적다와 멋쩍다]

어제 편지를 보시고 몇 분이 댓글을 달아주셨습니다.
제가 애도 아닌데 그런 투정을 부려서 죄송합니다.
멋쩍네요.

흔히 어색하고 쑥스러울 때 멋쩍다고 합니다.
'멋쩍다'는 그림씨(형용사)로
그는 자신의 행동이 멋쩍은지 뒷머리를 긁적이며 웃어 보였다, 나는 그들을 다시 보기가 멋쩍었다처럼 씁니다.
이를 '멋적다'로 쓰시면 안 됩니다.

예전에는 '멋적다'로 적었습니다.
그러나 요즘 쓰는 한글맞춤법에는 적다(少)의 뜻이 없이 소리가 [쩍]으로 나면 '쩍'으로 쓴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멋쩍다가 멋이 적다는 뜻이 아니고, 소리도 멋쩍다로 나므로 '멋쩍다'로 쓰는 게 바릅니다.
맥쩍다, 해망쩍다, 겸연쩍다, 객쩍다, 수상쩍다, 미심쩍다, 미안쩍다 따위가 그런 겁니다.

그러나 맛적다는 다릅니다.
소리는 [맏쩍따]로 나지만 낱말 뜻에 적다(少)의 뜻이 살아 있는
"재미나 흥미가 거의 없어 싱겁다."는 뜻이므로
'맛적다'로 적는 게 옳습니다.

제가,
사람이 맛적으니 어제 일도 영 멋쩍네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70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222
716 [2017/02/08] 우리말) 분수와 푼수 머니북 2017-02-09 3391
715 [2016/03/23] 우리말) 손목시계 머니북 2016-03-23 3391
714 [2012/10/29] 우리말) 가마리 머니북 2012-10-29 3391
713 [2010/11/12] 우리말) 내로라하다 moneybook 2010-11-13 3391
712 [2010/10/07] 우리말) 아침과 아침밥 moneybook 2010-10-07 3391
711 [2007/10/12] 우리말) 짬짜미 id: moneyplan 2007-10-13 3391
710 [2016/07/18] 우리말) 구슬르다 -> 구슬리다 머니북 2016-07-19 3390
709 [2010/05/13] 우리말) 삐끼 id: moneyplan 2010-05-13 3390
708 [2016/06/29] 우리말) 눈바래다 머니북 2016-06-29 3389
707 [2013/06/17] 우리말) 자장면과 짜장면(2) 머니북 2013-06-17 3389
706 [2009/08/15] 우리말) 광복절 맞아 김영조 소장님의 글을 소개합니다 id: moneyplan 2009-08-17 3389
705 [2007/11/14] 우리말) 커닝 종이쪽지 id: moneyplan 2007-11-14 3389
704 [2016/05/12] 우리말) 염두 머니북 2016-05-12 3388
703 [2014/07/29] 우리말) 맨드리 머니북 2014-07-29 3388
702 [2012/04/03] 우리말) 꽃샘잎샘 머니북 2012-04-03 3388
701 [2012/02/29] 우리말) 적산가옥? 머니북 2012-02-29 3388
700 [2016/11/07] 우리말) 기분 좋은 전자메일 머니북 2016-11-12 3387
699 [2014/11/03] 우리말) '자랑차다'와 '가열차다' 머니북 2014-11-03 3387
698 [2014/06/24] 우리말) 체신과 채신 머니북 2014-06-24 3387
697 [2010/09/30] 우리말) 돕다와 거들다 moneybook 2010-09-30 3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