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생각에
이렇게 헷갈리는 '박수치다'보다 '손뼉치다'가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뜻이 겹치지도 않고, 알아듣기 쉽고, 말하기 좋고... ^^*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선수들이 17세 이하 여자월드컵에서 우승했습니다.
일요일 아침에 손에 땀을 쥐며 텔레비전 앞을 떠나지 못했습니다.
참으로 멋진 겨루기를 한 우리나라 선수들이 자랑스럽습니다.
제 힘껏 손뼉을 치며 축하하고 박수치며 고맙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기쁨, 찬성, 환영을 나타내거나 장단을 맞추려고 두 손뼉을 마주치는 것을 '박수'라고 합니다.
움직씨(동사)로는 '박수하다'입니다.
우리는 '박수치다'고 자주 하지만 '박수하다'가 맞습니다.
拍手에 이미 치다는 뜻이 들어 있으므로 '박수치다'고 하면 뜻이 겹치게 됩니다.
역전앞이나 처가집, 고목나무가 되는 거죠. ^^*
그래서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박수하다'만 올라 있고 '박수치다'는 오르지 않았습니다.

제 생각에
이렇게 헷갈리는 '박수치다'보다 '손뼉치다'가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뜻이 겹치지도 않고, 알아듣기 쉽고, 말하기 좋고... ^^*

고맙습니다.

보태기)
1.
'박수하다'는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는데,
'손뼉치다'는 올라 있지 않습니다.
저는 박수치거나 박수하는 것보다 손뼉을 치는 게 더 좋습니다.
'손뼉치다'를 움직씨(동사)로 사전에 올리는 게 좋다고 봅니다.

2.
'손에 땀을 쥐다'는 관용구를 일본에서는
手に汗をにぎる[데니 아세오 니기루]라고 합니다.
그래서 그 표현이 일본에서 들어왔다고 보시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그런 표현이 우리나라에서 일본으로 갔는지, 일본에서 우리나라로 넘어왔는지...
짧은 제 생각으로는
말과 문화는 달라도 기본적인 삶과 관련된 것은 서로 비슷할 수가 있다고 봅니다.
그냥 제 생각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뜯어먹다와 뜯어 먹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무척 더울 것 같네요. 여름에는 좀 더워야 한다지만 이건 좀...^^*

오늘은 중복입니다.
날씨가 덥다고 너무 차가운 것만 좋아하면 속까지 차져 좋지 않다고 합니다.
그래서 선조님은 삼계탕으로 속을 보했나 봅니다.
오늘 삼계탕 드실 분 많으시겠죠?

오늘은 '뜯어먹다'와 '뜯어 먹다'를 갈라볼게요. 삼계탕을 생각하면서...

'뜯어먹다'는 '뜯다'와 '먹다'를 합친 말로
"남의 재물 따위를 졸라서 얻거나 억지로 빼앗아 가지다."는 뜻의 한 낱말입니다.
오늘은 선배들이나 뜯어먹어야겠다, 너는 왜 그렇게 나를 못 뜯어먹어서 안달이냐?처럼 씁니다.

한편
'뜯어 먹다'는
붙어 있는 것을 떼거나 찢어서 먹다는 뜻으로
제가 닭고기를 뜯어 먹은 거죠. ^^*

뜯다에는 "질긴 음식을 입에 물고 떼어서 먹다."는 뜻도 있어서
'갈비를 뜯다'고 하면 갈비뼈에 붙은 고기를 찢거나 떼어서 먹는다는 뜻입니다.

우리말은 단 한 자만 띄어 써도 뜻이 이렇게 달라집니다.
이렇게 쓰나 저렇게 쓰나 뜻만 통하면 된다는 것은 말이 안 됩니다.
무책임합니다.
우리말을 제대로 써야 우리 문화가 바로 서고,
우리말을 깨끗하게 써야 우리 삶이 바로 섭니다.

갈비 이야기하다 보니 갈비가 먹고 싶네요.
한우 갈비로......^^*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19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793
1436 [2009/09/28] 우리말) 주말에 본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9-28 3518
1435 [2008/12/01] 우리말) 알심 id: moneyplan 2008-12-01 3518
1434 [2007/09/27] 우리말) 가없는 사랑 id: moneyplan 2007-09-27 3518
1433 [2007/07/30] 우리말) 담백한 게 아니라 깔끔한 것 입니다 id: moneyplan 2007-07-31 3518
1432 [2017/03/07] 우리말) 혹은과 또는 머니북 2017-03-08 3517
1431 [2013/01/29] 우리말) 왔다리갔다리 머니북 2013-01-29 3517
1430 [2010/02/26] 우리말) 헝겁과 헝겊 id: moneyplan 2010-02-26 3517
1429 [2007/05/01] 우리말) 두남두다 id: moneyplan 2007-05-02 3517
1428 [2017/08/11] 우리말) 갑질에 대한 짧은 생각 머니북 2017-08-16 3516
1427 [2016/11/01] 우리말) 우렁잇속 머니북 2016-11-01 3516
1426 [2008/02/11] 우리말) 조문기 선생님의 빈소 id: moneyplan 2008-02-11 3516
1425 [2007/08/14] 우리말) '벼리'와 비슷한 뜻의 낱말 id: moneyplan 2007-08-14 3516
1424 [2017/01/13] 우리말) 옥의 티 머니북 2017-01-13 3515
1423 [2011/04/26] 우리말) 야식은 밤참으로 ^^* moneybook 2011-04-26 3515
1422 [2007/05/30] 우리말) 세리머니가 아니라 뒤풀이입니다 id: moneyplan 2007-05-30 3515
1421 [2017/01/09] 우리말) 멀찍이와 가직이 머니북 2017-01-09 3514
1420 [2014/01/06] 우리말) 원체 머니북 2014-01-06 3514
1419 [2016/06/13] 우리말) 손 없는 날 머니북 2016-06-15 3513
1418 [2013/05/23] 우리말) 때마침과 하필 머니북 2013-05-23 3513
1417 [2013/02/12] 우리말) 홀몸노인과 홀로노인 머니북 2013-02-12 3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