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에 떠 있는 자료를 소개합니다.

[숫자로 살펴보는 우리말]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지난주 토요일이 한글날이었습니다.
국립국어원에 떠 있는 자료를 소개합니다.

[숫자로 살펴보는 우리말]
전 세계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 7천7백만, 세계 13위
사전 종류 125종, 표준국어대사전 수록 낱말 51만 단어
한국어 보급 기관 전 세계에 2,177개, 수강생 251,361(2008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능력시험 아시아권에서 12만 명 이상 응시, 9만 명 합격
한국 학생 읽기 능력 세계 1위
한국인의 문해율 98.3%
국어능력검정시험 응시자 15만 명(2005~2009)
국립국어원에 접수된 우리말 질문 30,749건(2009)
국립국어원에서 다듬은 낱말(순화어) 20,784개(1991~2002)
외래어 표기 심사 10,047개(1991~2009)

말로만 떠드는 게 아니라 실천하는 우리말 사랑을 기대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늘상과 늘]

안녕하세요.

주말 잘 쉬셨나요?
비가 와서 그런지 제법 쌀쌀하네요.

오늘은 공무원 비상소집이라 좀 일찍 나왔습니다.
'늘상' 보내던 우리말 편지니 오늘도 보내야겠죠? ^^*

'늘'이라는 어찌씨(부사)가 있습니다.
"계속하여 언제나"라는 뜻으로
그는 아침이면 늘 신문을 본다, 다시 뵈올 때까지 늘 건강하십시오처럼씁니다.
이 '늘'을 '늘상'이라고 쓰기도 하는데 이는 잘못입니다.
아마도 항상 이나 노상의 '상'을 떠올려 '늘상'이라고 쓰시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표준어는 '늘상'이 아니라 '늘'입니다.

문법으로 보면
뜻이 같은 형태가 몇 가지 있을 때, 그 가운데 어느 하나가 압도적으로 널리 쓰이면,
그 낱말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그에 따라 늘상, 느루, 장근, 장창은 표준어가 아니고 '늘'이 표준어입니다.

'늘' 하던 대로 오늘도 우리말 편지를 보냅니다.
그리고 '언제나' 그렇듯이 내일 아침에도 우리말 편지를 보낼 것이고,
'노상' 이렇게 살아갈 겁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20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747
776 [2011/03/22] 우리말) 뭘로와 뭐로 moneybook 2011-03-22 3389
775 [2011/02/21] 우리말) 수우미양가 moneybook 2011-02-21 3389
774 [2009/02/13] 우리말) 오늘도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2-13 3389
773 [2013/04/01] 우리말) 이르다와 빠르다 머니북 2013-04-01 3388
772 [2009/03/20] 우리말) 칠 대 일 id: moneyplan 2009-03-23 3387
771 [2012/11/19] 우리말) 낙엽과 진 잎 머니북 2012-11-19 3382
770 [2012/03/09] 우리말) 전단지 머니북 2012-03-09 3382
769 [2011/02/28] 우리말) 돋우다와 돋구다 moneybook 2011-02-28 3382
768 [2010/06/16] 우리말) 16강은 떼 논 당상 moneybook 2010-06-16 3382
767 [2008/12/16] 우리말) 부룩이 뭔지 아세요? id: moneyplan 2008-12-16 3382
766 [2008/08/18] 우리말) 늘상과 늘 id: moneyplan 2008-08-18 3382
765 [2014/07/29] 우리말) 안전하지 않은 안전사고 머니북 2014-07-29 3381
764 [2014/06/18] 우리말) 하룻강아지 머니북 2014-06-18 3379
763 [2009/10/26] 우리말) 희아리가 뭔지 아세요? id: moneyplan 2009-10-26 3379
762 [2007/09/18] 우리말) 저는 선물을 받지 않습니다 ^^* id: moneyplan 2007-09-18 3379
761 [2009/09/25] 우리말) 대중요법과 대증요법 id: moneyplan 2009-09-25 3378
760 [2009/07/29] 우리말) 감기다 id: moneyplan 2009-07-29 3378
759 [2011/03/15] 우리말) 꽃샘과 꽃샘추위 moneybook 2011-03-15 3376
758 [2010/09/09] 우리말) 히히덕거리다와 시시덕거리다 moneybook 2010-09-09 3376
757 [2013/01/02] 우리말) 제야 머니북 2013-01-02 3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