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0/18] 우리말) 있습니다와 있음

조회 수 2960 추천 수 92 2010.10.18 09:29:14
당연히 움직씨 없다 이름씨꼴은 '없음'이지 '없슴'이 아닐고,
'있다'의 이름씨꼴은 '있음'이지 '있슴'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월요일 아침이라 정신없이 바쁘네요.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로
우리말 편지를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있습니다와 있음]

안녕하세요.

하늘이 참 맑고 깨끗하네요. ^^*
이렇게 기분 좋은 소식이 신문에 났네요.
정운찬 서울대 전 총장님이 하신 말씀입니다.
http://media.daum.net/society/people/view.html?cateid=1011&newsid=20080823033307540&cp=hankooki&RIGHT_TOPIC=R10

오늘은 좀 쉬운 것으로 시작할게요.
대부분이 아시는 내용인데도 '읍니다'와 '습니다'를 잘못 쓰시는 분이 뜻밖에 많네요.
어제 받은 편지에서도 '읍니다'와 '있슴'을 봤습니다.

다 하시는 것처럼 예전에는 '읍니다'였지만 1989년부터는 '습니다'가 표준어입니다.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 가운데 하나가 널리 쓰이면, 그 가운데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에 따라
'읍니다'를 버리고 '습니다'를 표준어로 삼았습니다.
여기까지는 거의 다 아십니다.

그런데 '읍니다'를 버리고 '습니다'를 표준어로 삼고 보니,
많은 사람이 이름꼴(명사형) 씨끝(어미) '음'을 '슴'으로 쓰는 엉뚱한 잘못을 저지르고 있습니다.
'있습니다'고 쓰고 이를 줄여 '있슴'이라고 쓰는 겁니다.

'-음, -ㅁ'은
자음 밑에서는 '-음'을,
모음 밑에서는 '-ㅁ'을 써 낱말을 이름씨(명사)로 만드는 씨끝(어미)입니다.
'읍니다/습니다'와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읍니다'를 '습니다'로 바꿨으니까 '-음'도 '-슴'으로 적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것은 아니죠?
움직씨(동사) 먹다의 이름씨꼴은 '먹음'이지 '먹슴'이 아니고,

당연히 움직씨 없다 이름씨꼴은 '없음'이지 '없슴'이 아닐고,
'있다'의 이름씨꼴은 '있음'이지 '있슴'이 아닙니다.
이런 기본이 틀리면 좀 창피하지 않을까요? 저라면 창피할 것 같습니다.

설마하니...
맞춤법이 너무 자주 바뀌니까 공부한 게 다 소용없어졌다고요? 그래서 헷갈리신다고요?
1989년에 바뀌고 1954년에 바뀌었으며, 그전에는 1920년대에 바뀐 적이 있습니다.
몇년에 태어나셨는데 맞춤법이 '자주' 바뀐다고 하시나요?
적어도 1950년 이후에 태어나신 분이 '맞춤법이 자주 바뀌어...'라는 말씀을 하시면 안 됩니다.  ^^*

누군가 그러시더군요.
좋은 일이 많아서 자주 웃는 게 아니라,
자주 웃어서 좋은 일이 많이 생긴다고...

오늘도 많이 웃으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6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602
2616 [2006/08/30] 우리말) 휘뚜루마뚜루 id: moneyplan 2006-08-30 8771
2615 [2012/07/16] 우리말) '당분간'은 '얼마 동안'으로 머니북 2012-07-16 8638
2614 [2011/12/12] 우리말) 절대절명 => 절체절명 머니북 2011-12-12 8603
2613 [2012/07/30] 우리말) 여자 양궁 7연패 머니북 2012-07-30 8601
2612 [2006/08/29] 우리말) 농촌진흥청에 들러주세요 id: moneyplan 2006-08-29 8534
2611 [2007/08/30] 우리말) 지킴이와 지키미 id: moneyplan 2007-08-31 8516
2610 [2017/05/17] 우리말) 색깔과 관련된 우리말 머니북 2017-05-18 8463
2609 [2006/08/28] 우리말) 정답을 맞히고 답안지와 맞춰라 id: moneyplan 2006-08-28 8440
2608 [2006/08/31] 우리말) 제 얼굴이 그을렸어요 id: moneyplan 2006-08-31 8426
2607 [2012/08/30] 우리말) 연배 머니북 2012-08-30 8279
2606 [2009/08/11] 우리말) 올림, 드림, 배상 id: moneyplan 2009-08-14 8276
2605 [2006/08/27] 우리말) 무좀 때문에 발가락이 자꾸... id: moneyplan 2006-08-28 8272
2604 [2017/11/23] 우리말) 비닐·마지노선·헹가래 중 순우리말은? 머니북 2017-11-23 8268
2603 [2011/10/26] 우리말) 새초롬하다와 새치름하다 [1] 머니북 2011-10-26 8257
2602 [2013/03/15] 우리말) 낯빛과 안색 머니북 2013-03-16 8216
2601 [2007/08/01] 우리말) 리터의 단위는 특수문자나 필기체로 쓴 ℓ이 아닙니다 id: moneyplan 2007-08-01 8076
2600 [2013/03/11] 우리말) 명함 영문이름 머니북 2013-03-11 7976
2599 [2008/04/14] 우리말) 화무는 십일홍이요, 달도 차면 기우나니라 id: moneyplan 2008-04-14 7962
2598 [2006/09/01] 우리말) 나염이 아니라 날염입니다 id: moneyplan 2006-09-01 7912
2597 [2012/09/04] 우리말) 물보낌 머니북 2012-09-04 78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