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0/21] 우리말) 연합뉴스 기사

조회 수 4408 추천 수 81 2010.10.21 10:32:45
어제 인터넷에서 본 기사를 연결합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인터넷에서 본 기사를 연결합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0/10/20/0200000000AKR20101020166900001.HTML?did=1179m

기사를 이렇게 잇는 것도 불법인가요?
혹시 불법이라면 좀 봐주세요.
제가 무슨 돈을 벌겠다고 이러는 게 아니니... ^^*

고맙습니다.



이경재 "맞춤법 틀리는 문화부의 한글사랑"
연합뉴스 | 입력 2010.10.20 16:34


(서울=연합뉴스) 김범현 기자 = 한글의 주무 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가 공식 문서에서조차 맞춤법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 이경재(한나라당) 의원이 20일 국립국어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09년 공공기관 서식.문서의 국어사용 실태조사'에 따르면 문화부는 21개 서식에서 총 95건의 오류가 지적됐다.

문화부가 지난달 15일 홈페이지에 게재한 한 보도자료에서는 한 페이지에 4건의 오류가 발견되기도 했다.

`이야깃거리'를 `이야기 꺼리'로, `베스트'를 `베트스'로, `그치지'를 `거치지'라고 각각 잘못 표기한 것.

또한 문화부의 `한글' 영문 표기도 제각각이었다.

문화부 청사 앞에 걸린 올해 한글날 기념 포스터에는 `한글'을 `Hangeul'로 표기한 반면, 문화부 영문 홈페이지의 `한글 배우기' 코너에서는 `Hangul'로 적어놓고 있었다.

이경재 의원은 "중국이 동북공정에 이어 휴대전화 한글자판의 국제표준화를 발표하며 한글공정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라며 "문화부가 한글을 올바로 전승.홍보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DMZ, 디엠지와 디엠제트]

안녕하세요.

그제 더그아웃 이야기를 보내드렸더니 많은 분이 외래어표기법이 어렵다고 말씀하시네요.
예, 맞습니다. 어렵습니다. 그리고 현실에 맞지 않은 것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
그런 거 하나 볼까요?

남한과 북한 사이에 휴전선이 있고, 군사 충돌을 막고자 그 휴전선 앞뒤로 2km를 비무장지대로 만들었습니다.
그걸 demilitarized zone이라 하고 DMZ라고도 합니다.
바로 이 'DMZ'를 뭐라고 읽어야 할까요?

디엠지? 디엠제트?
디엠제트라고 하면 왠지 좀 촌스럽고 '디엠지'라고 해야 할 것 같지 않나요?
이것도 네이버에서 뒤져보니 디엠지는 905건, 디엠제트는 16,025건이 나오네요.

국립국어원에서 1988년에 만든 외래어 일반 용어 표기 용례집에는 알파벳 명칭이 들어 있습니다.
그에 따라 d는 디로 읽고, m은 엠으로 읽으며, z는 제트로 읽어야 합니다.
따라서 DMZ는 디엠제트가 맞습니다.
좀 어색하죠?

그런 게 또 있습니다.
1분 동안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회전 속도 단위가 rpm입니다.
이를 알피엠이라 읽으면 안 되고 아르피엠이라고 읽어야 바릅니다.
이 또한 어색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제 생각에, 국어를 전공하지 않은 농사꾼인 제 생각에,
알파벳 명칭은 현실에 맞게 바뀌어야 한다고 봅니다.
현재 많이 쓰는 소리(발음)를 인정하는 게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4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584
2196 [2016/07/20] 우리말) 한식 메뉴판 바로잡기 머니북 2016-08-10 4263
2195 [2008/03/27] 우리말) 짓북새를 놓으며 짓먹다 id: moneyplan 2008-03-27 4262
2194 [2013/09/05] 우리말) 부딪치다/부딪히다 머니북 2013-09-05 4260
2193 [2009/04/28] 우리말) 팔순... id: moneyplan 2009-04-28 4258
2192 [2007/09/14] 우리말) 노래지다와 누레지다 id: moneyplan 2007-09-14 4253
2191 [2007/10/05] 우리말) 저는 개으릅니다 id: moneyplan 2007-10-05 4252
2190 [2007/03/08] 우리말) 꽃샘추위가 물러갈 거라네요 id: moneyplan 2007-03-08 4249
2189 [2015/01/21] 우리말) 중년과 장년 머니북 2015-01-21 4247
2188 [2016/05/23] 우리말) 두루뭉술과 빠삭 머니북 2016-05-23 4241
2187 [2011/12/09] 우리말) 안전사고 머니북 2011-12-09 4229
2186 [2013/07/03] 우리말) 아등바등 머니북 2013-07-03 4227
2185 [2007/01/09] 우리말) 동지나해 id: moneyplan 2007-01-10 4227
2184 [2007/05/02] 우리말) 양반다리와 책상다리 id: moneyplan 2007-05-02 4225
2183 [2012/03/28] 우리말) 봄 내음 머니북 2012-03-28 4224
2182 [2010/03/12] 우리말) 오지와 두메산골 id: moneyplan 2010-03-12 4224
2181 [2007/02/12] 우리말) 동서남북? 새한마높! id: moneyplan 2007-02-12 4220
2180 [2013/11/15] 우리말) 잠 이야기 머니북 2013-11-15 4219
2179 [2012/05/07] 우리말) 너섬둑길과 여의도(2) 머니북 2012-05-07 4218
2178 [2015/12/24] 우리말) 올해 보낸 우리말 편지를 묶었습니다 머니북 2015-12-24 4217
2177 [2014/12/29] 우리말) 삐치다와 삐지다 머니북 2014-12-29 4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