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1/04] 우리말) 됨새

조회 수 3158 추천 수 94 2010.11.04 16:49:31
"농작물이 잘되고 못된 상황"을 작황(作況)이라고 합니다.
이 작황에 해당하는 우리말이 바로 '됨새'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찌하다 보니 편지도 보내지 못하고 벌써 오후가 되었네요.
왜 이렇게 바쁘게 사는지 모르겠습니다. ^^*

얼마 전 뉴스에서 보니 배추 값이 많이 내렸고,
지금 밭에 있는 배추 작황에 따라 김장하는 비용이 달라질 거라고 하네요.

"농작물이 잘되고 못된 상황"을 작황(作況)이라고 합니다.
이 작황에 해당하는 우리말이 바로 '됨새'입니다.

배추 됨새가 좋으면 값이 내려갈까 걱정이고,
됨새가 나쁘면 농민들이 울까 걱정입니다.
그러나 배추값이 떨어지는 것을 사 먹는 사람이 보면 또 좋은 일이고...

같은 일을 두고 농사짓는 사람과 사 먹는 사람의 생각이 다릅니다.
그럼 농업을 연구하는 저는 어느 편에 서야 하죠?
소비자? 농민?
어느 쪽에도 낄 수 없는 깍두기인가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고향 잘 다녀오셨나요?]

안녕하세요.

고향 잘 다녀오셨나요?
저는 돌아오면서 9시간 '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

명절에 고향 가면 언제나 느끼는 것이지만,
명절이라면서 왜 그리 조용하고,
어머니와 고향 분들은 왜 그리 늙으셨는지...
갈수록 고향에 찾아오는 사람이 줄어 마을이 조용하기만 합니다.
마을에 애들 떠드는 소리가 없습니다.

사람이 늙어 가는 무렵을 '늘그막'이라고 합니다.
이를 잘못 써서 '늙으막'이라고 하면 틀립니다.
모든 사람들이 늘그막에 손자들 재롱이라도 보셔야 하는데 하늘은 그마저도 쉬이 허락하지 않으시나 봅니다.

'늘그막'의 준말이 '늙마'입니다.
고향을 지키며 늙마를 보내고 계시는 분들의 유일한 소원은 손자들 재롱일 겁니다.
그것마저도 사치일까요?

늙어 버린 판을 '늙바탕'이라고 합니다. '늙판'이라고도 합니다.
부모님들이 늙바탕에 바라는 게 뭔지를 생각해 봅니다.

명절 때 고향 찾아오지 않아도 좋으니 그저 건강하게 잘 살기만을 바라시겠죠.
애들 데리고 오느라 고생스런데 왜 왔냐?
내년부터는 오지 않아도 된다. 그저 애들하고 건강하니 잘 지내거라...
설마 이런 말을 믿고
명절에 고향 가지 않으시고 식구들만 여행가시는 분들은 안 계시죠?

사람은 누구나 늙습니다.
누구나 부모가 되고, 누구나 늙마가 있고, 늙바탕이 옵니다.
내가 내 부모에게 외로움을 드렸는데,
그걸 보고 자란 내 자식이 나를 호강시켜줄까요?

고속도로에 몇 시간씩 갇혀 있으면 힘듭니다.
그래도 뭐에 홀린 듯 명절에는 꼭 고향을 찾습니다.
제가 앞으로 몇 년이나 더 고향을 찾을까요. 아마도 길어야 10년일 겁니다.
어머니가 돌아가시거나, 아니면 어머니가 도시로 올라오시거나 그러시겠죠.
그러기 전에 저는 열심히 고향에 가렵니다.
동구 밖에서 홀로 서 계실 어머니를 생각하면서 열심히 고향에 가렵니다.

고향에 다녀올 때마다 많은 생각을 합니다.
오늘도 하늘에는 휘영청 밝은 달이 떠 있겠죠?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71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232
256 [2007/06/26] 우리말) 판사는 ㄷㄹ지고 ㄷㄸ야합니다 id: moneyplan 2007-06-26 3565
255 [2007/06/25] 우리말) 제 아들이 ㄴㄱ네요 id: moneyplan 2007-06-25 3806
254 [2007/06/24] 우리말) 놀금 id: moneyplan 2007-06-25 3528
253 [2007/06/22] 우리말) 넘지 말아야 할 금도? id: moneyplan 2007-06-22 3718
252 [2007/06/21] 우리말) '몽골어'와 '몽골 어' id: moneyplan 2007-06-21 3911
251 [2007/06/20] 우리말) 벼룩시장 id: moneyplan 2007-06-20 3621
250 [2007/06/19] 우리말) 가족과 식구 id: moneyplan 2007-06-19 4166
249 [2007/06/19] 우리말) 다대기가 아니라 다지기입니다 id: moneyplan 2007-06-19 3835
248 [2007/06/18] 우리말) 맏과 맏이 id: moneyplan 2007-06-18 3571
247 [2007/06/14] 우리말) 담합이 아니라 짬짜미 id: moneyplan 2007-06-15 3756
246 [2007/06/14] 우리말) 암돼지가 아니라 암퇘지입니다 id: moneyplan 2007-06-14 3661
245 [2007/06/13] 우리말) 기일 엄수가 아니라 날짜를 꼭 지키는 겁니다 id: moneyplan 2007-06-14 3497
244 [2007/06/12] 우리말) 산통을 깨다 id: moneyplan 2007-06-12 3792
243 [2007/06/11] 우리말) 오늘은 수수께끼가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6-11 3696
242 [2007/06/08] 우리말) 버벅거리다 id: moneyplan 2007-06-08 3580
241 [2007/06/07] 우리말) 함박꽃 id: moneyplan 2007-06-07 3703
240 [2007/06/05] 우리말) 최대값과 최댓값 id: moneyplan 2007-06-05 3559
239 [2007/06/04] 우리말) 간인과 사잇도장 id: moneyplan 2007-06-04 4123
238 [2007/06/01] 우리말) 쌩얼과 민낯 id: moneyplan 2007-06-01 3514
237 [2007/06/01] 우리말) 맹세와 다짐 id: moneyplan 2007-06-01 3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