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1/10] 우리말) 미추룸하다

조회 수 3621 추천 수 102 2010.11.10 09:51:09
우리말에
'미추룸하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그림씨(형용사)로 "매우 젊고 건강하여 기름기가 돌고 아름다운 태가 있다."는 뜻으로,
어디로 보든지 미추룸하게 다 자란 처녀이다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여기는 전주입니다.
2014년 말에 제 일터가 이곳 전주로 이사를 와야 합니다.
그와 연관된 여러 가지 일을 보고자 어젯밤에 전주에 왔습니다.

전주역에서 중학교 친구를 만났습니다.
가끔 연락은 하고 살았지만 이렇게 다시 만난 것은 15년이 넘었더군요.
오랜만에 본 친구는 미추룸한 중년이 되어 있었습니다.

제가 전주로 이사를 갈 때까지 자주 못 보겠지만,
전주로 이사 가서는 가장 자주 만나면서 지낼 친구입니다. ^^*

우리말에
'미추룸하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그림씨(형용사)로 "매우 젊고 건강하여 기름기가 돌고 아름다운 태가 있다."는 뜻으로,
어디로 보든지 미추룸하게 다 자란 처녀이다처럼 씁니다.

오랜만에 친구와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시간 가는 줄 몰랐습니다. ^^*

오늘도 자주 웃고 지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일몰보다는 해넘이가...]

안녕하세요.

제가 가을을 타나 봅니다.
자꾸 가을과 관련된 낱말이 떠오릅니다. ^^*

저는 같은 뜻이라면 되도록 한자말보다는 토박이말을 쓰는 게 좋다고 봅니다.
그게 듣는 사람도 좋지만, 말하는 사람도 좋지 싶습니다.
왜냐하면, 토박이말을 쓰면 삶의 여유를 찾을 수 있고 마음도 포근해지거든요.

볼까요?
일출 보러 동해에 가자보다는 해돋이 보러 가자고 하는 게 여유 있고 멋있어 보이며,
일몰 보러 서해에 가자보다는 해넘이 보러 가자고 하는 게 더 운치 있어 보이지 않나요?

서풍이 분다보다는 하늬바람이 분다고 하면 더 멋져 보이고,
야생화보다 들꽃이 더 향기가 좋을 것 같지 않나요?

저는
야채나 채소보다 푸성귀가 더 싱싱하게 느껴집니다.
이래서 우리말이 좋나 봅니다. ^^*

해가 막 넘어가는 무렵은 해질녘입니다.
해질녘보다 조금 앞선 시간은 해거름이라고 하는 게 좋겠네요.
그냥 왠지 가을이라... 해넘이, 해질녘 따위가 생각나네요.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692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499
1576 [2010/10/18] 우리말) 있습니다와 있음 moneybook 2010-10-18 2851
1575 [2010/10/19] 우리말) 끼적이다 moneybook 2010-10-19 3296
1574 [2010/10/20] 우리말) 틀린 말 몇 가지 moneybook 2010-10-20 3062
1573 [2010/10/21] 우리말) 연합뉴스 기사 moneybook 2010-10-21 3944
1572 [2010/10/22] 우리말) 탓과 덕 moneybook 2010-10-22 3910
1571 [2010/10/25] 우리말) 매무새와 매무시 moneybook 2010-10-25 3374
1570 [2010/10/2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moneybook 2010-10-26 3215
1569 [2010/10/27] 우리말) 장난감과 놀잇감 moneybook 2010-10-27 3122
1568 [2010/10/28] 우리말) 얼마큼 moneybook 2010-10-28 2869
1567 [2010/10/29] 우리말) 우리말 사랑꾼과 해침꾼을 추천해주세요 moneybook 2010-10-29 3724
1566 [2010/11/01] 우리말) 거치적거리다 moneybook 2010-11-01 3133
1565 [2010/11/02] 우리말) 가치와 개비 moneybook 2010-11-02 3180
1564 [2010/11/03] 우리말) 소라색 moneybook 2010-11-03 3333
1563 [2010/11/04] 우리말) 됨새 moneybook 2010-11-04 2970
1562 [2010/11/05] 우리말) 초련 moneybook 2010-11-05 3673
1561 [2010/11/08] 우리말) 첫과 첫눈 moneybook 2010-11-08 3280
1560 [2010/11/09] 우리말) 만듬과 만듦 moneybook 2010-11-09 3624
» [2010/11/10] 우리말) 미추룸하다 moneybook 2010-11-10 3621
1558 [2010/11/11] 우리말) 서두르다 moneybook 2010-11-11 3419
1557 [2010/11/12] 우리말) 내로라하다 moneybook 2010-11-13 3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