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1/10] 우리말) 미추룸하다

조회 수 4019 추천 수 102 2010.11.10 09:51:09
우리말에
'미추룸하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그림씨(형용사)로 "매우 젊고 건강하여 기름기가 돌고 아름다운 태가 있다."는 뜻으로,
어디로 보든지 미추룸하게 다 자란 처녀이다처럼 씁니다.


안녕하세요.

여기는 전주입니다.
2014년 말에 제 일터가 이곳 전주로 이사를 와야 합니다.
그와 연관된 여러 가지 일을 보고자 어젯밤에 전주에 왔습니다.

전주역에서 중학교 친구를 만났습니다.
가끔 연락은 하고 살았지만 이렇게 다시 만난 것은 15년이 넘었더군요.
오랜만에 본 친구는 미추룸한 중년이 되어 있었습니다.

제가 전주로 이사를 갈 때까지 자주 못 보겠지만,
전주로 이사 가서는 가장 자주 만나면서 지낼 친구입니다. ^^*

우리말에
'미추룸하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그림씨(형용사)로 "매우 젊고 건강하여 기름기가 돌고 아름다운 태가 있다."는 뜻으로,
어디로 보든지 미추룸하게 다 자란 처녀이다처럼 씁니다.

오랜만에 친구와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시간 가는 줄 몰랐습니다. ^^*

오늘도 자주 웃고 지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일몰보다는 해넘이가...]

안녕하세요.

제가 가을을 타나 봅니다.
자꾸 가을과 관련된 낱말이 떠오릅니다. ^^*

저는 같은 뜻이라면 되도록 한자말보다는 토박이말을 쓰는 게 좋다고 봅니다.
그게 듣는 사람도 좋지만, 말하는 사람도 좋지 싶습니다.
왜냐하면, 토박이말을 쓰면 삶의 여유를 찾을 수 있고 마음도 포근해지거든요.

볼까요?
일출 보러 동해에 가자보다는 해돋이 보러 가자고 하는 게 여유 있고 멋있어 보이며,
일몰 보러 서해에 가자보다는 해넘이 보러 가자고 하는 게 더 운치 있어 보이지 않나요?

서풍이 분다보다는 하늬바람이 분다고 하면 더 멋져 보이고,
야생화보다 들꽃이 더 향기가 좋을 것 같지 않나요?

저는
야채나 채소보다 푸성귀가 더 싱싱하게 느껴집니다.
이래서 우리말이 좋나 봅니다. ^^*

해가 막 넘어가는 무렵은 해질녘입니다.
해질녘보다 조금 앞선 시간은 해거름이라고 하는 게 좋겠네요.
그냥 왠지 가을이라... 해넘이, 해질녘 따위가 생각나네요.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0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29
1916 [2011/09/20] 우리말) 떨어뜨리다와 떨구다 머니북 2011-09-20 3878
1915 [2007/10/06] 우리말) 2007년 우리말 지킴이와 헤살꾼 id: moneyplan 2007-10-08 3878
1914 [2015/09/08] 우리말) 리터 단위 머니북 2015-09-08 3877
1913 [2010/09/27] 우리말) 박수치다와 손뼉치다 moneybook 2010-09-27 3875
1912 [2009/09/16] 우리말) 목메다와 목매다 id: moneyplan 2009-09-16 3875
1911 [2008/08/22] 우리말) 용고뚜리와 철록어미 id: moneyplan 2008-08-22 3872
1910 [2007/03/31] 우리말) 편지 몇 통 id: moneyplan 2007-04-02 3871
1909 [2012/06/04] 우리말) 선글라스 머니북 2012-06-04 3867
1908 [2007/03/12] 우리말) 써비스 쎈타는 서비스 센터로 id: moneyplan 2007-03-12 3866
1907 [2017/04/07] 우리말) 만발 -> 활짝 머니북 2017-04-10 3865
1906 [2011/04/18] 우리말) 내 남편과 우리 남편 moneybook 2011-04-18 3863
1905 [2011/04/15] 우리말) 우리나라와 저희 나라 moneybook 2011-04-15 3863
1904 [2007/06/21] 우리말) '몽골어'와 '몽골 어' id: moneyplan 2007-06-21 3863
1903 [2017/06/28] 우리말) 한판과 한 판 머니북 2017-06-29 3862
1902 [2015/12/03] 우리말) 지레/지례 머니북 2015-12-07 3862
1901 [2017/05/29] 우리말) 잘못 쓴 한국어 바로잡기 머니북 2017-05-31 3858
1900 [2007/07/02] 우리말) 선호가 아니라 좋아함입니다 id: moneyplan 2007-07-02 3858
1899 [2007/10/29] 우리말) 비거스렁이 id: moneyplan 2007-10-29 3857
1898 [2008/10/12] 우리말) 기다와 아니다 id: moneyplan 2008-10-13 3855
1897 [2009/11/30] 우리말) 축하합니다와 축하드립니다. id: moneyplan 2009-11-30 3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