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1/19] 우리말) 트네기

조회 수 3074 추천 수 47 2010.11.19 10:59:19
마루는
어떤 사물의 첫째 또는 어떤 일의 기준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수요일 한겨레 신문에 난 글을 하나 소개합니다.

이봉원 님이 '독자칼럼'에 실을 글로
'트위터리안'을 '트내기'로 바꿔쓰자는 내용입니다.
http://www.hani.co.kr/arti/opinion/readercolumn/449125.html

‘네티즌’이 우리말 ‘누리꾼’으로 많이 정착돼 가고 있습니다. 아주 반가운 현상입니다. 그런데 최근 트위터를 쓰는 사람들을 ‘트위터리안’이라 하는데 이 말도 우리말로 ‘트내기’라고 하면 어떨까요?
‘트다’란 말은 ‘1. 막혔던 것을 통하게 하다’, ‘2. 서로 스스럼없는 관계를 맺다’는 뜻으로 쓰이는 순수한 우리말입니다. 그리고 ‘내기’ 역시 순수한 우리 토박이말로, 어느 고장 사람이라고 할 때 붙이는 접미사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사람’을 ‘서울내기’라고 하잖아요? ‘트내기’라는 새 말을 쓰자고 제안합니다.


참으로 좋은 제안이라고 생각합니다.
외래어를 안 쓸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외래어를 받아들이면서 우리 조상의 삶과 문화를 담아 우리 것으로 만들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봅니다.
클러스터, 어젠다, 하이브리드... 이런 말도 우리 것으로 바꿔서 받아들이는 게 좋다고 봅니다.
UFO를 정체불명의 비행체라고도 하지만,
누군가 우리네 정서를 담아 비행접시라고 했기에 그것은 우리말이 된 겁니다.

'트위터리안'도 '트내기'라고 자주 쓰면 우리말이 된다고 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한글날을 앞두고 문제를 냈습니다]

먼저 알려 드릴 게 하나 있습니다.
다음 주 월요일부터 우리말편지의 '보낸 사람'이 '우리말123, jhsung@korea.kr'로 나타납니다.
예전에 쓰던 urimal123@naver.com을 제 일터에서 쓸 수 없게 되어 어쩔 수 없이 그렇게 바꿨습니다.
혹시 다음 주 월요일치 우리말 편지가 오지 않으면 휴지통을 뒤져보십시오.
쓰레기편지로 오해받고 곧바로 휴지통에 들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

앞으로 제가 urimal123@naver.com을 안 쓰고 jhsung@korea.kr만 쓰겠다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네이버나 다음 편지를 일터에서 볼 수 없기에
일터에서는 jhsung@korea.kr을 쓰고,
집에서는 urimal123@naver.com이나 urimal123@hanmail.net을 쓰겠다는 겁니다.

다음 주 목요일이 한글날입니다.
제 나름대로 한글날을 기리고자 오늘은 문제를 하나 낼게요.

잘 아시는 것처럼 한글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우리 문화유산입니다.
우리 문화의 꽃이죠.
우리가 가진 재산 가운데 가장 소중한 것이라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겁니다.

자 문제를 낼게요.
재산 가운데 가장 값나가는 물건 또는 음식 가운데서 가장 맛있는 음식을 뜻하는 두 자로 된 우리말을 맞히시는 겁니다.
우리가 날마다 쓰는 말 가운데서 ㅇㅇ같은 우리말이 얼마나 되는가를 살펴봄도 헛일은 아닐 것이다처럼 씁니다.
알짜배기를 떠올리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맨 먼저 답을 보내주신 분께 우리말 편지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답은 '답장'으로 보내지 마시고 편지 맨 밑에 있는 '의견 쓰기'로 보내주십시오.

다음 주 한글날도 문제를 내겠습니다.
그날은 문제 정답을 보내주신 모든 분께 선물을 드리겠습니다.
좀 부담스럽지만,
백 명이건 천 명이건 답을 맞히신 모든 분께 선물을 드릴 생각입니다.

일단 오늘 답을 맞히신 분께 먼저 선물을 드리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84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408
136 [2006/09/20] 우리말) 살사리꽃이 하늘거릴까 하늘댈까? id: moneyplan 2006-09-20 6058
135 [2014/08/08] 우리말) 딸따니 머니북 2014-08-11 6060
134 [2006/12/20] 우리말) 세모가 아니라 세밑! id: moneyplan 2006-12-20 6061
133 [2007/09/06] 우리말) 지킴이와 지기의 반대말 id: moneyplan 2007-09-06 6062
132 [2009/03/31] 우리말) 꾀와 꽤 id: moneyplan 2009-03-31 6083
131 [2006/09/12] 우리말) 필자가 아니라 글쓴이! id: moneyplan 2006-09-12 6088
130 [2006/09/15] 우리말) 게슴츠레 졸린 눈 id: moneyplan 2006-09-15 6102
129 [2007/01/12] 우리말) '들쳐메다'가 아니라 '둘러메다'입니다 id: moneyplan 2007-01-12 6109
128 [2006/10/02] 우리말) 낯선 편지 id: moneyplan 2006-10-02 6117
127 [2013/09/30] 우리말) 굉장히 머니북 2013-09-30 6134
126 [2007/11/06] 우리말) 할는지와 할런지 id: moneyplan 2007-11-07 6143
125 [2012/07/11] 우리말) 왔다리 갔다리 머니북 2012-07-11 6144
124 [2006/09/11] 우리말) 납골당 >> 봉안당 id: moneyplan 2006-09-11 6158
123 [2009/10/06] 우리말) 내숭 id: moneyplan 2009-10-06 6178
122 [2007/03/19] 우리말) 설거지와 설것이 id: moneyplan 2007-03-19 6181
121 [2007/01/30] 우리말) 발자국과 발자욱 id: moneyplan 2007-01-31 6195
120 [2017/11/27] 우리말) 오늘까지만 우리말 편지를 보냅니다 머니북 2017-11-27 6235
119 [2012/10/09] 우리말) 오늘은 한글날 머니북 2012-10-09 6263
118 [2008/03/11] 우리말) 초승달과 초생달 id: moneyplan 2008-03-11 6370
117 [2013/09/24] 우리말) 압화와 누름꽃 머니북 2013-09-25 6392